작은껍질화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진화적 중요성 번역
에디아카라기의 작은껍질화석 번역
81번째 줄:
| pmid = 17832833
|bibcode = 1992Sci...257..367B }}</ref> 마찬가지로 껍질을 가졌으며 클라우디나와 유사한 화석인 [[시노튜불리테스]]는 종종 클라우디나와 같은 장소에서 발견되지만 시노튜불리테스에서는 이러한 구멍을 찾아볼 수 없다. 게다가 클라우디나에서 보이는 구멍의 분포를 보면 크기에 따른 선택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구멍이 가장 큰 껍질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포식자의 "선택적" 공격에 대한 이러한 증거를 보면 포식에 대한 반응으로 새로운 종이 생겨났을 수 있으며 이것이 초기 캄브리아기에 동물들이 급속히 다양해진 이유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곤 한다.<ref name="Bengtson1992PredatorialBorings" />
 
==작은껍질화석의 종류==
===에디아카라기의 작은껍질화석===
{{multiple image
| image1 = Cloudina.svg| width1 = 98 | caption1 = [[클라우디나]]
| image2 = Namacalathus.svg| width2 = 107 |caption2 = [[나마칼라투스]]의 컴퓨터 모델
}}
[[에디아카라기]]의 작은껍질화석은 그 형태에 있어서 다양하지 못한 편이다.<ref name="Bengtson2004"/>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광물화된 관 형태가 일반적이며 이런 형태들이 섞여 컬렉션을 이룬다. 이 화석의 구조와 조성은 다양한 편이다. 표본들은 [[유공충]]류, [[자포동물]], [[다모류]] 그리고 날개갯지렁이류 [[환형동물]], [[성구동물]] 등 여러 분류군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 name="Bengtson2004"/> [[클라우디나]]의 "튜브" 는 8~150m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겹쳐진 원뿔 모양이며 [[탄산칼슘]]으로 생광물화되어 있으나 원뿔들 사이 간격은 광물화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ref name="Grant1990Cloudina">{{저널 인용|이탤릭체=예| author = Grant, S.W. | year = 1990 | title = Shell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Cloudina, a potential index fossil for the terminal Proterozoic | journal = American Journal of Science | issue = 290–A | pages = 261–294 | issn = | doi = | url = http://lib.bioinfo.pl/pmid:11538690 | accessdate = 2008-07-19 | pmid = 11538690 | volume = 290-A | 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110522041703/http://lib.bioinfo.pl/pmid:11538690 | archive-date = 2011-05-22 | url-status = dead }}</ref><ref name=Germs1972>{{저널 인용|이탤릭체=예
| doi = 10.2475/ajs.272.8.752
| author = Germs, G. J. |date=October 1972 | title = New shelly fossils from Nama Group, South West Africa
| journal = American Journal of Science | volume = 272 | pages = 752–761
| issue = 8
| bibcode = 1972AmJS..272..752G}}</ref> [[시노튜불리테스]]는 길고 가느다란 관을 만들었고, 이 관은 더 유연했으나 아마도 광물화된 융기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ref name="ChenBengtsonEtAl2007TubeStructureOfSinotubulites">{{저널 인용|이탤릭체=예
| year=2007 |author1=Chen, Z. |author2=Bengtson, S. |author3=Zhou, C.-M. |author4=Hua, H. |author5=Yue, Z.
| title=Tube structure and original composition of Sinotubulites: shelly fossils from the late Neoproterozoic in southern Shaanxi, China
| journal=Lethaia |doi=10.1111/j.1502-3931.2007.00040.x
| volume=41 | page=37
}}</ref>
 
[[나마포이키아]]는 [[해면동물]], 또는 [[산호]]와 유사한 유기체였을 것으로 보이며 탄산칼슘을 이용해 길이가 최고 1m에 달하는 집을 만들었다.<ref name="Wood2002Namapoikia">{{저널 인용|이탤릭체=예
| title=Proterozoic Modular Biomineralized Metazoan from the Nama Group, Namibia
| author1=Wood, R.A. |author2=Grotzinger, J.P. |author3=Dickson, J.A.D. | journal=Science | date=28 June 2002
| pages=2383–6 | doi=10.1126/science.1071599
| volume=296
| pmid=12089440
| issue=5577 |bibcode = 2002Sci...296.2383W }}</ref>
 
[[골침]]은 [[규산염]]으로 만들어진 가시, 혹은 가시가 별 모양으로 뭉쳐진 것으로 [[해면동물]]의 유해로 생각된다.<ref name="Bengtson2004"/><ref>{{저널 인용|이탤릭체=예
| author=Brasier, M.D., Green, O., and Shields, G.
| title=Ediacarian sponge spicule clusters from southwestern Mongolia and the origins of the Cambrian fauna
| journal=Geology |date=April 1997 | volume=25 | issue=4 | pages=303–306
| url=http://geology.geoscienceworld.org/cgi/content/abstract/25/4/303 | accessdate=2008-07-19
| doi=10.1130/0091-7613(1997)025<0303:ESSCFS>2.3.CO;2
|bibcode = 1997Geo....25..303B }}</ref><ref>{{저널 인용|이탤릭체=예
| title=Long-Expected Sponges from the Neoproterozoic Ediacara Fauna of South Australia
| author1=Gehling, J.G. |author2=Rigby, J.K. |lastauthoramp=yes | journal=Journal of Paleontology | volume=70
| issue=2 |date=March 1996 | pages=185–195
| jstor=1306383
| doi=10.1017/S0022336000023283 }}</ref>
 
[[나마칼라투스]]는 아마도 [[해파리]]나 [[산호]]와 가까운 관계인 [[자포동물]]이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30mm 정도 되는 기둥을 가진 포도주잔처럼 생긴 집을 만들었다. 이런 것을 "줄기가 달린 껍질" 형태라고 부른다.<ref name=Grotzinger2000>{{cite journal
| author = Grotzinger, J.P. |author2=Watters, W.A. |author3=Knoll, A.H. | year = 2000
| title = Calcified metazoans in thrombolite-stromatolite reefs of the terminal Proterozoic Nama Group, Namibia
| journal = Paleobiology | volume = 26 | issue = 3 | pages = 334–359
| url = http://paleobiol.geoscienceworld.org/cgi/content/abstract/26/3/334 | accessdate=2008-07-19
| doi = 10.1666/0094-8373(2000)026<0334:CMITSR>2.0.CO;2
| issn = 0094-8373
}}</ref>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