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충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c progw12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Mc progw12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4번째 줄:
죽음충동 개념을 전개하기 전의 프로이트는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바란다」라는 [[양면가치|양가적 감정]]을 따르는 살해 욕구로부터 [[자살]]을 설명하려고 했다. 즉 「공격성({{lang|de|Aggression}})」의 내향이라는 해석이지만 이 시점에서는 설 자체는 삶충동의 종속적 위치에 머무른다. 한편 그의 「파괴성({{lang|de|Destruktion}})」이라는 말도 혼란을 부르기 쉬웠다.
 
「죽음의 본능」이전의 공격성의 설명은 매우 복잡하다. 예를 들면 [[1905년]]에 발표된 「성이론 3편」에서 [[리비도]]에는 본질적으로 [[세디즘사디즘]]·[[매저키즘]]적인 성질이 부수한다고 했다. 또 「정신분석학 입문」시대에서는 프로이트는 [[무의식]]과 [[의식]]의 대립이라는 구조로 생각했으므로 인간의 본질적 에너지인 리비도(성욕구)에 대항하는 것으로서 자아 보존욕구를 상정했다. 이 자아 보존욕구는 외계의 위험이나 불쾌한 상태로부터 피하기 위해서 리비도에 대항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 지배 감정이나 공격성이 표면에 나온다고 생각했다.<ref>자세한 것은 아놀드 고르드바그의 「자기심리학과 그 임상」의 제4장 등에 비교표가 있다.</ref>
 
또 정신분석의 [[임상]]에서도 죽음충동과 같은 것은 음성 치유 반응(분석에 반항해 의사에 저항하거나 증상을 오히려 악화시키는 것)으로부터 상정되었지만 그것이 도대체 무엇에 의해서 일으켜지는지는 수수께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