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 군사 반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전개 과정: 공관 총격전으로 부상 당한 인원이 보안사가 아닌 동조하던 육본 인원임을 명시함.
→‎전개 과정: 하나회 측에서 최규하 겁쟁이라는 평가에 관한 부분을 사건에 중심일수도 있는 국무총리를 포함하여 보강함. 노태우 소장 앞에 불필요한 '또한'을 삭제함.
31번째 줄:
[[12월 12일]] 오후, 전두환은 박희도, 최세창, 장기오, [[차규헌]], [[노태우]], [[황영시]] 등 규합한 동조세력을 장세동이 있던 경복궁 내 수도경비사령부 여하 제30경비단 단장실로 모이도록 한 후 시내 일원을 장악하기로 한 계획을 지시, 논의했다.
 
{{출처|날짜=2020-03-24|같은 날 18시, 전두환은 [[최규하]] 대통령에게 육군참모총장 체포안에 대한 재가를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이와 동시에,}} 전두환의 지시를 받은 허삼수, 우경윤은 정승화 총장 연행계획을 진행했다. 19시, 이들은 정승화 총장을 체포하기 위해 수도경비사령부 33헌병대 50명을 투입했다.<ref>http://www.nocutnews.co.kr/news/1148681</ref> 33헌병대는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 병력이 경비하던 공관 내에서 보안사 차장의 보고라며 손님 대접까지 받으며 대기한다.<ref name="중앙일보증언">{{웹 인용 |url=https://news.joins.com/article/2146768|제목="총구 뺨에 닿인채 끌려갔다" 정승화 전육참총장이 말하는 「12·12사태」|날짜=1987-11-11|출판사=중앙일보}}</ref> 그리고 계엄사령관에게 뇌물 수수 혐의를 거론하고<ref name="중앙일보증언"/> 잠시후잠시 후 공관 내부를 제압한다.<ref name="시사저널반박">{{웹 인용 |url=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896|제목=“軍에 법을 무시하는 오점 남겨”|날짜=1990-01-21|출판사=시사저널}}</ref> 압송 도중에 건물 밖에서 공관 경비 해병대원들과 총격전을 치룬다.<ref name="시사저널반박"/> 이 총격전에서는 [[국군기무사령부|보안사]] 휘하 납치대의 [[대한민국 육군본부|육본]] 소속 지위관우경윤 대령 1명만 납치대 간의 오인 사격으로 인해서 총상을 입는다.<ref name="시사저널반박"/> 공관 정문은 대통령의 허락을 얻었다는 거짓말이 통했는지 오히려 협조를 받으며 순조롭게 통과한다.<ref name="중앙일보증언"/> 공관 경비병까지 연행을 당했는데<ref>{{웹 인용 |url=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1993062600711|제목=<정승화씨 12.12관련 증언요지>...(1)|날짜=1993-06-26|출판사=한국경제}}</ref> 상부에서 무단 연행으로 뒤늦게 알려와<ref name="중앙일보증언"/> 해병대가 공관을 재탈환하는 과정에서 반란군측 [[박윤관]] 일병이 사살당한다.<ref name="사병">{{뉴스 인용|저자=고나무·김선식|제목=잊혀진 죽음, 정선엽·박윤관 두 사병도 기억하라|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88473.html|날짜=2013년 5월 21일|확인날짜=2016년 2월 2일|출판사=한겨레}}</ref> 계엄사령관 공관에서 모두 3명이 사망, 20명이 중경상을 입는다.<ref>{{웹 인용 |url=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20595.html|제목=“수십년 ‘정치군인’ 세상에서 남편이 살아남은 건 기적”|날짜=2015-12-06|출판사=한겨레신문}}</ref> 19시 21분, 반란군은 정총장을 [[국군기무사령부|보안사]] 서빙고 분실로 강제 연행했다. 21시 30분경, 전두환, 유학성, 황영시 등은 {{출처|날짜=2020-03-24|다시}} 국무총리공관으로 가서 최규하 대통령에게 집단으로 정 총장의 연행·조사를 재가해 달라고 {{출처|날짜=2020-03-24|재차}} 요구하였으나 {{출처|날짜=2020-03-24|다시}} 사후 결재여서<ref name="펜앤드마이크총리">{{웹 인용 |url=https://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14346|제목=신현확 육성증언(上), 12.12 밤에 정승화 체포 재가 끝까지 반대|날짜=2019-01-10|출판사=펜앤드마이크}}</ref> 거절당했다. 그리고 결재와 관련한 의견들에 밤을 새우게 되는 밀고 당기기가 시작된다.<ref name="펜앤드마이크총리"/>
 
이후, 신군부 세력은 총장의 강제연행이 부당하다며 원상복귀를 주장하던 3군사령관 [[이건영 (1926년)|이건영]] 중장, 수도경비사령관 [[장태완]] 소장, 특전사령관 [[정병주]] 소장,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하소곤]] 소장 육군본부 헌병감 [[김진기]] 준장 등에 대해 하극상을 감행하고, 이들을 무력으로 제압하며 연행했다. 하나회 회원이던 박희도 준장이 이끄는 제1공수특전여단 병력과 최세창 준장이 지휘하던 3공수특전여단, 그리고 장기오 준장의 제5공수특전여단이 서울로 출동했다. 또한서울시내는 무슨 군부대가 어디를 점령했으며 국방부에서 총격이 났다는 소식을 접하고 대통령은 결재가 불가능하며 국방부 장관 결재가 없으니 국방부 장관을 데려오라고 요구한다.<ref name="펜앤드마이크총리"/> 밤 2시가 되어 사단 병력에 움직임이 보고되어 대통령은 사단장 노태우 소장한테 원대복귀를 명령한다.<ref name="펜앤드마이크총리"/> 그리고 우선적으로 내란은 막아야 한다는 생각에 양측의 접촉을 막아 놓는다.<ref name="펜앤드마이크총리"/> 그런 이후에야 국방부에 도착한 장관과 연락이 되는데 국방부장관은 대치 상태를 이유로 총리공관으로 가기를 거부한다.<ref name="펜앤드마이크총리"/> 사태가 급박해지자 국방부 장관한테 다시 연락하여 [[신현확|총리]]가 가면 오는 것으로 대통령은 확답을 받는다.<ref name="펜앤드마이크총리"/> 노태우 소장은 자신이 지휘관이던 9사단 29연대를 중앙청 앞에 집결시켰다.
 
1공수특전여단은 행주대교에 있던 30사단 병력을 무력화시킨 후 곧장 서울로 달려갔다. 얼마 후, 1공수특전여단은 국방부와 육군본부를 공격, 국방부 50헌병대 경비병력으로 근무하던 [[정선엽]] 병장을 사살한 후<ref name="사병"/> 국군 수뇌부를 체포했다. 이 과정에서는 총격전으로 국방부 건물 앞은 유리문 등이 부서지고 헌혈이 낭자하였다.<ref name="펜앤드마이크총리"/> 그리고 국방부 청사에서청사에 도착한 총리가 [[노재현]] [[국방부 장관]]을 찾은 후 최규하 대통령에게 끌고갔다끌고 갔다. 한편 3공수특전여단은 3여단의 영내에 있던 특전사령부 본부 건물을 완전히 장악하여 특전사령관 비서실장 [[김오랑]] 소령을 사살하고, 특전사령관 [[정병주]] 소장을 체포하였다.
 
결국 전두환의 의도대로 사태는 일단락되었다. 최규하 대통령에게는 세 차례 걸쳐 10시간 만인 13일 새벽 5시, 사후 재가가 이루어졌다. 12월 13일 오후, [[노재현]] 국방부 장관이 담화문을 통해 10.26 사건 연류 혐의로 정승화 총장을 연행하고 이와 연관된 일부 장성 또한 구속됐으며, 정승화의 육군참모총장과 계엄사령관직에 [[이희성 (1924년)|이희성]] 육군 대장으로 임명되었음을 발표했다. 12.12 사건 이후 전두환 보안사령관은 사실상 [[이희성 (1924년)|이희성]] 육군참모총장을 직접 임명하고 6인 위원회를 통해 군부의 인사를 조정하여 군의 주도권을 장악하고, 권력 공백기에 최고 실력자가 되었다.<ref>{{인용문2|(12.12 군사 반란 이후) [[전두환]]이 쪽지를 보여주었는데, 거기에 「육군참모총장 [[이희성 (1924년)|이희성]]」이라고 적혀 있기에 불쾌해서, '누구 마음대로 총장을 임명하느냐'고 화를 내었더니, [[유학성]]이 제 손을 잡아끌고 다른 방으로 데리고 가 「이 난국을 수습할 사람은 당신밖에 없으니 총장을 맡아 달라」고 간청하여 맡았다.|이희성 (1924년)|이희성|[[1995년]] 검찰 조사와 12.12 5.18 재판 2회 공판에서}}</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