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용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39.116.60.136(토론)의 편집을 오모군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
태그: m 모바일 웹
1번째 줄:
.
'''형용사'''(形容詞, Adjective) 또는 '''그림씨'''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이다.
 
형용사의 많고, 적음과 문법은 언어마다 다르며 몇 가지의 유형으로 나뉜다. 형용사는 품사 중에 용언에 속한다.
먼저, 형용사에 속하는 단어의 수에 대해서는 많은 언어와 적지 않은 언어가 있다. 많은 언어에서는 적어도 수백의 형용사가 존재하며, 파생이나 차용에 따라서 새로운 형용사가 생기는 것도 있다. 적은 언어에서는 수어부터 수십어밖에 형용사가 없으며, 새로운 형용사가 생기는 것은 없다. 예를들면 [[이마스어]]에서는 kpa ‘크다’, yua ‘좋다’, ma ‘다른’의 세개밖에 형용사가 존재하지 않는다<ref>Foley 1991: 93.</ref>.
 
형용사의 문법적 행동에는 네 타입이 인정된다.
 
첫 번째 타입은 형용사와 동사가 문법적으로 닮아있다. 이러한 언어로는 [[한국어]], [[중국어]]([[관화]]), [[태국어]], [[베트남어]] 등이 있으며, 형용사는 동사와 같이 단독으로 술어가 된다.
 
두 번째 타입에서는 형용사와 명사가 문법적으로 닮아있다. 이 타입의 언어로는 [[라틴어]], [[스페인어]], [[핀란드어]], [[헝가리어]], [[이그보어]], [[케추아어족|케추아어]] 등이 있으며, 형용사는 단독으로 술어가 되지 않으며, 명사구 속밖에 나타날 수 없다. 형용사만으로 명사구를 구성할 수가 있다.
 
세 번째 타입은 [[베르베르어파|베르베르어]] 등이며, 형용사는 동사와도 명사와도 닮아있다. 예를 들면 형용사는 단독으로 명사구도 술어도 된다.
 
네 번째 타입의 언어로는 형용사는 동사와도 명사와도 닮아있지 않으며, 단독으로는 명사구도 술어도 될 수 없다. 이러한 언어로는 [[영어]] 등이 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타입의 언어가 많으며, 세 번째와 네 번째 타입은 적다. 첫 번째와 두 번째 타입의 언어에서는 형용사는 명사 또는 동사의 일부에 포함되는 것이 많다.
 
[[일본어]]에서는 형식 · 기원으로부터, 일반 형용사에 해당되는 것이 [[형용동사]]로 나뉘지<ref group="주">다만, 형용동사를 명사의 한 종류로 보는 세력이 실재한다</ref>만, 의미적으로는 특별한 차이는 없다. 일본어내의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국문법의 정의로는, 형용사, 형용동사로 품사분류되고 있기 때문에, 일본어내에서 일본어를 모어로 하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그것들의 호칭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JSL(제2언어로의 일본어) 교육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교육]] 문법에서는 연체형 어미를 기초로 두며, 각각 ‘イ형용사’ ‘ナ형용사’로 분류되고 있다.
 
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명사를 직접 형용하는 한정 용법과, 술어(의 일부)로 표현하는 서술(보어) 용법이 있다. 또 일부 언어에서는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적 용법도 있다(일본어 형용사의 연용형, [[독일어]] 등).
 
== 한국어의 형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