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음 (음운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내용을 "이음 == 같이 보기 == * 긴장도 (tenseness) * 경음과 연음 (fortis and nenis) * 유기음 * 성대진동 시작 시간 (voice onset time) *..."(으)로 바꿈
태그: 대체됨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이음
'''이음'''(異音, allophone) 또는 '''변이음'''(變異音)은 어떤 말소리가 여러 조건에서 다른 발음이 될 경우 언어 화자의 머릿속에는 같은 말소리로 인식되는 소리를 말한다. 즉 같은 [[음소]]로 인식되는 소리.
 
예를 들면 [[한국어]]의 [[음소]] {{IPA|/k/}} (/[[ㄱ]]/)는 어두에서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 {{IPA|[k]}}가 되고 [[유성음]]과 유성음 사이([[모음]]과 모음이나 [[비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IPA|[ɡ]}} 또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 {{IPA|[ɣ]}}가 되는데 한국인은 같은 소리로 인식한다. 이러한 경우 {{IPA|[k], [ɡ], [ɣ]}}는 {{IPA|/k/}}의 이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음은 [[상보적 분포]]를 하는 조건 이음과 그렇지 않은 자유 이음이 있다.
 
 
[[영어]]는 [[기식]]의 여부의 차이인 유기음과 [[무기음]]으로 [[자음]]의 [[음소]]를 구분하지 않으며, [[성대]]의 진동 여부인 [[유성음]]과 [[무성음]]으로만 자음의 음소를 구분한다. 이와 반대로 한국어에서는 자음을 구분할 때 유성음과 무성음 여부는 따지지 않지만, 기식의 강도 차이로 자음의 차이를 구별한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비슷한 음소인 b와 p를 구분할 때 그 소리가 유성음이면 b로 인식하고 무성음이면 p로 인식한다. 하지만 한국어에서는 비슷한 음소인 ㅂ, ㅃ, ㅍ를 구분할 때 기식의 강도 여부로 구분하지 성대의 진동 여부는 따지지 않는다. 그래서 단어의 맨 앞에 오는 ㅂ은 무성음으로 발음되므로 영어권 화자에게는 /p/로 인식되는 반면, 모음과 모음 사이의 ㅂ이나 유성음인 ㄴ, ㄹ, ㅁ, ㅇ 다음에 ㅂ이 올 경우 유성음으로 발음되어 /b/로 인식된다. 한국어 바보{{IPA|[ '''p⁽ʰ⁾''''''b'''o ]}}에서 앞의 ㅂ은 무성음, 뒤의 ㅂ은 유성음으로 발음되지만 한국어 화자에게는 모두 같은 /ㅂ/으로 들린다. 단, 한자어의 경우 유성음 ㄹ 다음에 ㄷ, ㅈ이 올 경우 된소리가 된다. ㄱ, ㅂ는 그대로 유성음이다.
 
 
한국어 화자의 경우 어두에서 강한 기음이면 거센소리, 약한 기음이면 예사소리, 무기음이면 된소리로 인식한다. 어중이나 어말의 경우 한국어나 영어나 판정 기준이 어두와는 다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다른 소리로 발음나지만 [[이음]](allophone)이므로 같은 [[음소]]로 인식한다. 영어의 경우 어두의 p와 s 뒤의 p의 발음이 다르다. 즉, pin의 p와 spin의 p의 발음이 다르다. 한국어 화자에게는 /핀/과 /스삔/처럼 들리지만 영어권 화자에게는 같은 /p/로 인식된다. 이런 것을 이음이라고 한다. 비슷한 현상이 sk에서도 일어나서 sky의 k는 어두의 k와 다른 발음이 나므로 sky가 한국인에게는 /스까이/처럼 들리지만 영어 화자에게는 어두의 k나 s 뒤의 k나 다 같은 /k/로 들린다.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