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임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중시조 = 임세춘(林世春), 임언수(林彦脩)
|집성촌 = [[광주광역시]] [[광산구]] [[등임동]]<br>[[전라남도]] [[나주시]]</br>[[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br>[[전라북도]] [[순창군]]<br>[[충청남도]] [[부여군]]<br>[[경상북도]] [[김천시]]<br>[[충청남도]] [[연기군]]<br>[[경상북도]] [[안동시]]
|인물 = [[임견미]], [[임치 (고려)|임치]], [[임정 (1356년여말선초)|임정]], [[임득의]], [[임건]], [[임경업]], [[임병찬]], [[임예환]], [[임기호]], [[임광원]], [[임내현]], [[임인배]], [[임영호]], [[임해규]], [[임나연]]
|년도 = 2015
|인구 = 225,872명
12번째 줄:
'''평택 임씨'''(平澤 林氏)는 [[경기도]] [[평택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문하시중 [[임견미]](林堅味)의 아버지인 '''임언수'''(林彦脩)를 1세조로 하는 계통과 조선 태종조에 형조판서에 오른 [[임정 (1356년여말선초)|임정]](林整)의 증조부인 '''임세춘'''(林世春)을 1세조로 하는 두 계통이 있다.
 
== 역사 ==
18번째 줄:
 
=== 전객령계 ===
1세조 '''임세춘'''(林世春)은 고려 말 세자전객령(世子典客令) 겸 연희궁부사(延禧宮副使)를 지냈다. 그의 증손인 [[임정 (1356년여말선초)|임정]](林整) 조선 태종조에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이르렀다. [[시호]]는 공혜(恭惠)이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ca_11304028_001 태종실록 25권, 태종 13년 4월 28일 병자 1번째기사]</ref>
 
[[임정임정의 (1356년)|임정]](林整)의 8대손인7대손인 [[임경업]](林慶業) 1624년(인조 1) [[이괄의 난]]을 진압하여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에 녹훈되고 [[정묘호란]] 이후 친명배청(親明排淸) 무장(武將)으로 활약하였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다.
 
=== 충정공계 ===
1세조 '''임언수'''(林彦修) 아들아들인 [[임견미]](林堅味)가 고려 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르는 등 귀한 신분이 되자 임언수(林彦修)가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으로 봉해졌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2325 『고려사』 권126, 열전39]</ref>
 
== 과거 급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