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프테리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4번째 줄:
| MeshID = D004165
}}
'''디프테리아'''(diphtheria)는 [[디프테리아균]]의 외독소에 의한 급성 감염 질환으로, 현재 법정전염병 제2군에 속한다.<ref name="CDC2012Pink">{{cite서적 book인용|url=https://www.cdc.gov/vaccines/pubs/pinkbook/dip.html|title=Diphtheria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last1=Atkinson|first1=William|date=May 2012|edition=12|publisher=Public Health Foundation|pages=215–230|isbn=9780983263135|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915204257/http://www.cdc.gov/vaccines/pubs/pinkbook/dip.html|archivedate=15 September 2016|url-status=live}}</ref> 감염 2~5일 후부터 [[외독소]] 배출에 따라 증상이 발생하며, 주로 인후통과 열로 증상이 시작한다. 증상은 경미한 수준에서 치명적인 수준까지 다양한데, 심각한 경우 목에 흰색 판이 형성되어 [[크룹]]이 발생한다.<ref name="CDC2012Pink" /><ref name="WHO2006">{{cite저널 journal인용|title=Diphtheria vaccine|journal=Wkly Epidemiol Rec|url=http://www.who.int/wer/2006/wer8103.pdf|date=20 January 2006|volume=81|issue=3|pages=24–32|pmid=16671240|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606054559/http://www.who.int/wer/2006/wer8103.pdf|archivedate=6 June 2015|url-status=live}}</ref> [[림프절]]의 비대증으로 인해 목이 붓는다. 피부, 생식기 등에도 디프테리아가 발생할 수 있다. [[심근염]], [[말초신경증|신경염]], [[단백뇨]]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출혈로 인한 [[혈소판 감소증]] 역시 나타나기도 한다. 심근염은 [[부정맥]]을, 신경염은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사망률은 5~10%이다.<ref name="CDC2012Pink" /><!-- Cause and diagnosis -->
 
주로 사람끼리 공기를 통해 전염되나, 오염된 물체에 닿음으로써 전염될 수도 있다.<ref name="CDC2012Pink" /><ref>{{cite서적 book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rGS7fCcloBQC&pg=PA54|title=Hospital airborne infection control|last1=Kowalski|first1=Wladyslaw|date=2012|publisher=CRC Press|location=Boca Raton, Florida|page=54|isbn=978143982196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221095743/https://books.google.com/books?id=rGS7fCcloBQC&pg=PA54|archivedate=21 December 2016|url-status=live}}</ref>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전염이 발생한다. 디프테리아균은 총 세 종류가 있는데, 각 종류에 따라 위험성에 차이가 있다.<ref name="CDC2012Pink" /> 목의 증상을 통해 진료하며 [[미생물 배양]]을 통해 확실하게 검증할 수 있다. 이전에 감염된 적이 있다 하더라도 재발할 수 있다.<ref name="WHO2006" /><!-- Prevention and treatment -->
 
[[디프테리아 백신]]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파상풍 백신]], [[백일해 백신]] 등과 함께 접종할 것과, 십년마다 재접종 할 것이 권장된다. 혈중의 항독소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제대로 방어력이 생겼는지 검증할 수 있다.<ref name="CDC2012Pink" /> 병원균에 노출된 경우 [[에리트로마이신]], [[벤질페니실린]] 등의 [[항생제]]를 통해 발병을 막을 수 있으며,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 [[기관절개술]]을 수행할 수도 있다.<ref name="CDC2012Pink" /><ref name="WHO2006" /><!-- Epidemiology and history -->
 
1980년에는 전세계적으로 10만명의 환자가 나타나던 것에 비해, 2015년에는 4천 5백명으로 그 수가 크게 감소했다.<ref name="WHO2015">{{cite web인용|url=http://www.who.int/immunization/monitoring_surveillance/burden/diphtheria/en/|title=Diphtheria|date=3 September 2014|website=who.int|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402121723/http://www.who.int/immunization/monitoring_surveillance/burden/diphtheria/en/|archivedate=2 April 2015|url-status=live|accessdate=27 March 2015}}</ref> 1980년 전에는 매년 백만명의 환자가 발생했던 것으로 여겨진다.<ref name="WHO2006"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인도,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ref name="WHO2006" /><ref>{{cite서적 book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73pYBAAAQBAJ&pg=PA2372|title=Mandell, Douglas, and Bennett's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date=2014|edition=8|publisher=Elsevier Health Sciences|page=2372|isbn=978032326373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221092112/https://books.google.com/books?id=73pYBAAAQBAJ&pg=PA2372|archivedate=21 December 2016|url-status=live}}</ref> 1990년에는 8천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에 비해, 2015년에는 2천 1백명으로 크게 감소했다.<ref name="GBD2015De">{{cite저널 journal인용|title=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journal=Lancet|last1=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first1=Collaborators.|date=8 October 2016|volume=388|issue=10053|pages=1459–1544|doi=10.1016/s0140-6736(16)31012-1|pmc=5388903|pmid=27733281}}</ref><ref name="GDB2013">{{cite저널 journal인용|title=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journal=Lancet|last1=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first1=Collaborators|date=17 December 2014|volume=385|issue=9963|pages=117–71|doi=10.1016/S0140-6736(14)61682-2|pmc=4340604|pmid=25530442}}</ref> 어린이가 주로 감염된다. [[선진국]]에서는 [[예방접종]]의 발달로 인해 발병률이 많이 감소했으나, 예방접종 비율이 감소할 때는 종종 나타나기도 한다.<ref name="WHO2006" /><ref>{{Cite저널 journal인용|title=Resurgence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in Venezuela as a Regional Public Health Threat in the Americas – Volume 25, Number 4 – April 2019 –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journal – CDC|journal=Emerging Infectious Diseases|last=Al|first=A. E. Paniz-Mondolfi et|year=2019|volume=25|issue=4|pages=625–632|language=en-us|doi=10.3201/eid2504.181305|pmc=6433037|pmid=30698523}}</ref> 미국에서는 1980년에서 2004년 사이에 57건만 보고되었다. [[히포크라테스]]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되었으며 세균은 1882년 에드윈 클레프스(Edwin Klebs)가 처음 동정하였다.<ref name="CDC2012Pink" />
 
== 증상 ==
[[파일:Dirty_white_pseudomembrane_classically_seen_in_diphtheria_2013-07-06_11-07.jpg|섬네일|편도선을 덮는 끈적거리는 회색 위막(僞膜)은 대표적인 병증이다.]]
[[파일:A_diphtheria_skin_lesion_on_the_leg._PHIL_1941_lores.jpg|섬네일|다리에 나타난 디프테리아 병변]]
디프테리아의 증상은 감염 후 며칠 내에 발생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38&nbsp;°C 이상의 고온, 오한, [[피로]]감, [[청색증]], 인후통, 발성장애, [[기침]], 두통, 삼킴곤란, [[호흡곤란]], [[과호흡]], 악취와 혈흔이 있는 코 분비물, [[임파선염]] 등이 있다.<ref>{{cite web인용|url=http://www.nhs.uk/Conditions/Diphtheria/Pages/Symptoms.aspx|title=Diphtheria—Symptoms—NHS Choices|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628170154/http://www.nhs.uk/Conditions/Diphtheria/Pages/Symptoms.aspx|archivedate=28 June 2015|url-status=live|accessdate=28 June 2015}}</ref><ref name="ncbi.nlm.nih.gov">{{cite web인용|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health/PMH0002575/|title=Updating PubMed Health|work=PubMed Health|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1017215603/http://www.ncbi.nlm.nih.gov/pubmedhealth/PMH0002575/|archivedate=17 October 2014|url-status=live|accessdate=28 June 2015}}</ref> 세균은 2~3일 내로 호흡기 조직에 침투하여 목과 코가 죽은 조직세포로 이루어진 두꺼운 회색 막으로 뒤덮인다. 이 막은 위막(僞膜)이라고 부른다. 코, 편도선, 성대, 목 등을 뒤덮음으로써 호흡과 삼킴에 어려움이 생긴다.<ref>{{cite web인용|url=https://www.cdc.gov/diphtheria/about/symptoms.html|title=Diphtheria Symptoms|date=10 April 2017|website=www.cdc.gov|language=en-us|accessdate=26 October 2017}}</ref> 부정맥, 근막염, 중추 및 말초신경 마비가 발생하기도 한다.
 
=== {{anchor앵커|디프테리아성 크룹|3=크룹}} 디프테리아 크룹 ===
후두의 디프테리아 감염은 목과 인후를 붓게 만들어 "황소 목"을 발생시킨다. 목구멍의 부음은 쇳소리, 개가 짖는듯한 기침, 그릉거림, 발성장애,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병증을 나타낸다. 이 증상은 디프테리아 크룹(diphtheritic croup),<ref name="loving">{{cite저널 journal인용|title=Something concern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alse croup|journal=[[JAMA (journal)|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last=Loving|first=Starling|url=https://books.google.com/books?id=-FQcAQAAMAAJ&pg=PA567|date=5 October 1895|volume=XXV|issue=14|pages=567–573|doi=10.1001/jama.1895.02430400011001d|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704192208/http://books.google.com/books?id=-FQcAQAAMAAJ&pg=PA567|archivedate=4 July 2014|url-status=live|accessdate=16 April 2014}}</ref> 진크룹(true croup)<ref name="cormack">{{cite저널 journal인용|title=Meaning of the Terms Diphtheria, Croup, and Faux Croup|journal=[[British Medical Journal]]|last=Cormack|first=John Rose|date=8 May 1875|volume=1|issue=749|page=606|doi=10.1136/bmj.1.749.606|pmc=2297755|pmid=20747853}}</ref><ref name="bennett">{{cite저널 journal인용|title=True and False Croup|journal=[[British Medical Journal]]|last=Bennett|first=James Risdon|date=8 May 1875|volume=1|issue=749|pages=606–607|doi=10.1136/bmj.1.749.606-a|pmc=2297754|pmid=20747854}}</ref> 등으로 불리며, 단순히 [[크룹]]으로 불리기도 한다.<ref name="beard">{{cite서적 book인용|url=https://archive.org/details/ourhomephysicia00beargoog|title=Our Home Physician: A New and Popular Guide to the Art of Preserving Health and Treating Disease|last=Beard|first=George Miller|year=1875|publisher=E. B. Treat|location=New York|pages=[https://archive.org/details/ourhomephysicia00beargoog/page/n567 560]–564|accessdate=15 April 2014}}</ref> 크룹은 [[디프테리아 백신]]이 관례적으로 접종되는 국가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제 크룹이라함은 디프테리아 뿐만 아니라 다른 무관한 바이러스성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유사 증상까지 포함하여 일컫는 말이 되어버렸다.<ref name="vanderpool">{{cite저널 journal인용|title=Recognizing croup and stridor in children|journal=American Nurse Today|last=Vanderpool|first=Patricia|url=http://www.americannursetoday.com/article.aspx?id=9752&fid=9722|date=December 2012|volume=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16174601/http://www.americannursetoday.com/article.aspx?id=9752&fid=9722|archivedate=16 April 2014|url-status=dead|accessdate=15 April 2014|number=12}}</ref>
 
== 전염 ==
주로 감염된 사람이 재채기를 하거나 기침을 할 때 공기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된다. 세균 입자들이 공중에 떠다닐 때 이를 흡입함으로써 감염이 일어난다.<ref>[https://www.cdc.gov/diphtheria/about/causes-transmission.html Diphtheria Causes and Transmission]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13123404/http://www.cdc.gov/diphtheria/about/causes-transmission.html|date=13 April 2014}}. U.S.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ref> 피부에 난 디프테리아성 병변과 접촉할 경우에도 전염이 일어날 수 있으나, 흔한 경우는 아니다.<ref>{{cite저널 journal인용|title=Epidemiological features of an outbreak of diphtheria and its control with diphtheria toxoid immunization|journal=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author1=Youwang Y.|author2=Jianming D.|year=1992|volume=21|issue=4|pages=807–11|doi=10.1093/ije/21.4.807|pmid=1521987|author3=Yong X.|author4=Pong Z.}}</ref> 감염된 사람과 접촉한 매개물에 남아있는 세균이 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디프테리아균의 일종인 ''Corynebacterium ulcerans''이 몇몇 동물들에서 발견되는 등 [[인수공통감염병]]으로 간주할 요소가 있긴 하나, 아직 신뢰할 정도로 검증되지는 않았다.<ref>{{cite저널 journal인용|title=Possible zoonotic transmission of toxigenic ''Corynebacterium ulcerans'' from companion animals in a human case of fatal diphtheria|journal=The Veterinary Record|author1=Hogg R. A.|author2=Wessels J.|year=2009|volume=165|issue=23|pages=691–2|doi=10.1136/vr.165.23.691|doi-broken-date=2020-01-31|pmid=19966333|author3=Hart A.|author4=Efstratiou A.|author5=De Zoysa G.|author6=Mann T.|author7=Pritchard G. C.}}</ref>
 
{{Clear}}
40번째 줄:
== 참고문헌 ==
 
* {{cite서적 book인용|title=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last=Holmes|first=R .K.|year=2005|editor1-last=Kasper|edition=16th|publisher=McGraw-Hill|location=New York|chapter=Diphtheria and other corynebacterial infections|isbn=978-0-07-139140-5|display-editors=etal}}
* "Antitoxin dars 1735 and 1740." ''The William and Mary Quarterly'', 3rd Ser., Vol 6, No 2. p.&nbsp;338.
* {{cite저널 journal인용|title=The History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journal=Pediatric Research|last=Shulman|first=S. T.|year=2004|volume=55|issue=1|pages=163–176|doi=10.1203/01.PDR.0000101756.93542.09|pmid=14605240}}
 
==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