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상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한글 자모가 포함된 편집 요약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잔글 1.255.214.240(토론)의 편집을 InternetArchive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23번째 줄:
|지도_설명=고래상어의 분포
}}
'''고래상어'''({{lang|en|whale shark}})는 [[여과 섭식자|여과 섭식]] [[상어]]의 일종으로 현재 살아있는 어류 중 가장 크기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명은 '''린코돈 티푸스'''({{lang|la|''Rhincodon typus''}}). 확인된 개체 중 가장 큰 것은 길이가 18.8미터, 무게가 21.5톤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래상어가 14미터 보다 크고, 30톤 이상 나간다는 주장도 흔하게 볼 수 있다. 동물 사이에서 순전히 크기만 가지고 많은 기록을 가지고 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포유류가 아닌 현존하는 척추 동물 중 가장 크기가 크다는 것이다. [[판새류]]의 하위 분류인 고래상어과, 고래상어목의 유일한 종이다. 고래상어는 약 6천 만년 전부터 살아왔다.
안지율 바보바보바보바보
 
고래상어는 70년의 수명을 가지며, 열대 지방의 따뜻한 바닷물에서 발견된다.<ref name="fishbase"/> 고래상어는 아주 큰 입을 가지고 있으며, [[플랑크톤]]을 주식으로 살아간다. 영국 BBC 프로그램인 [[플래닛 어스]]는 고래상어가 작은 물고기 떼를 먹으며 살아가는 걸 촬영하였다. 또한, 고래상어가 물고기들이 알을 낳을 시기에 맞춰 작은 물고기들에게 접근해 그들의 알과 치어를 먹는 장면도 촬영하였다.<ref name=JurassicShark>''Jurassic Shark'' (2000) Jacinth O'Donnell가 제작;[[디스커버리 채널|Discovery Channel]]에서 방영, 2006년 8월 5일</ref>
안지율 멍청이멍청이멍청이멍청이
 
1828년 4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테이블 만]]에서 4.6미터 크기의 처음 포획된 이후, 다른 [[상어]]들로부터 구별되기 시작하였다. [[케이프 타운]]에 있는 영국 군대의 군의관이었던 [[앤드류 스미스 (동물학자)|앤드류 스미스]]가 다음 해에 고래상어를 기술하였다.<ref>{{웹 인용|url=http://elasmo-research.org/education/topics/ng_rhincodon_or_rhiniodon.htm|title=Rhincodon or Rhiniodon? A Whale Shark by any Other Name|last=Martin|first=R. Aidan|publisher=ReefQuest Centre for Shark Research}}</ref> 고래상어의 이름은 [[고래]]와 크기가 비슷하고<ref>{{웹 인용|last=Brunnschweiler|first=J.M.|title=Deep-diving behaviour of a whale shark ''Rhincodon typus'' during long-distance movement in the western Indian Ocean|doi= 10.1111/j.1095-8649.2008.02155.x}}</ref> [[수염고래]]와 여과 섭식하는 모습이 비슷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안지율 똥개똥개똥개똥개
 
안지율 못생김못생김못생김못생김
 
 
<ref>{{웹 인용|url=http://elasmo-research.org/education/topics/ng_rhincodon_or_rhiniodon.htm|title=Rhincodon or Rhiniodon? A Whale Shark by any Other Name|last=Martin|first=R. Aidan|publisher=ReefQuest Centre for Shark Research}}</ref>이름은 [[고래]]와 크기가 비슷하고<ref>{{웹 인용|last=Brunnschweiler|first=J.M.|title=Deep-diving behaviour of a whale shark ''Rhincodon typus'' during long-distance movement in the western Indian Ocean|doi= 10.1111/j.1095-8649.2008.02155.x}}</ref>
 
== 분포 ==
줄 51 ⟶ 46:
 
== 먹이 ==
고래상어는 [[돌묵상어]], [[넓은주둥이상어]]와 더불어 여과 섭식 [[상어]]이다. 고래상어는 작은 [[해조류]], [[요각류]]를 포함해 [[플랑크톤]], [[크릴]], 작은 물고기 , [[생선알]], 새끼 [[크리스마스섬홍게]]<ref name="Shark-cam captures ocean motion">{{뉴스 인용|author=Morelle, Rebecca |title=바다에서 움직이는 [[상어]]를 찍은 모습(Shark-cam captures ocean motion)|publisher=BBC News|accessdate=2009년 7월 30일|url=http://news.bbc.co.uk/2/hi/science/nature/7727136.stm | date=2008년 11월 17일}}</ref>, [[오징어]]와 같은 [[유영동물]]을 먹고 살아간다. 산란기에는 치어, 알, [[이리 (어류)|이리]]도 먹는다.<ref name="JurassicShark">''Jurassic Shark'' (2000) Jacinth O'Donnell가 제작;[[디스커버리 채널|Discovery Channel]]에서 방영, 2006년 8월 5일</ref>
이빨은 없으나, 이빨 흔적은 남아 있는데 이는 섭취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 돌묵상어와는 다르게, 능동적으로 먹이를 섭취하는 편이다.<ref name="fishbase" /><ref name="RQBM" />고래상어는 입을 크게 벌리고 앞으로 나아가면서 입에다 물과 먹이를 밀어 넣는 여과 섭식을 하거나 입을 벌리고 닫으면서 물을 흡입하고 아가미로 배출하는 흡힙 섭식을 한다. 어떤 경우에서든, 여과 기관은 물과 먹이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특이하고, 체와 같은 구조는 아가미를 더 갈고리 같게 만들었다고 추정된다. 고래상어의 먹이 분리는 [[십자류 여과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먹이가 목 뒤로 넘어갈 때, 물은 여과 기관에 평행하게 나가게 하는 방법이다.<ref>{{저널 인용|last=Motta|first=Philip J.|author2=et al. |title=Feeding anatomy, filter-feeding rate, and diet of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during surface ram filter feeding off the Yucatan Peninsula, Mexico|journal=Zoology|year=2010|volume=113|pages=199–212|doi=10.1016/j.zool.2009.12.001|url=https://docs.google.com/viewer?url=http%3A%2F%2Fwww.washingtonpost.com%2Fwp-srv%2Fnation%2Fpdfs%2FSharkfeedingpaper.pdf}}</ref> 이 섭취 방식을 통해 여과 기관의 표면에 생물들이 오손하는 행위를 최소화한다. 고래상어가 기침하는 모습도 목격되었는데, 이는 여과 기관은 깨끗하게 하기 위해 청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고래상어는 먹이와 번식을 위해 특정 지역으로 계속 이동한다.<ref name="fishbase"/><ref name="RQBM">{{웹 인용|author=Martin, R. Aidan.|title=Elasmo Research|publisher=ReefQuest|accessdate=2006년 9월 17일|url=http://www.elasmo-research.org/education/topics/d_filter_feeding.htm}}</ref><ref name="FLMNH">{{웹 인용|url=http://www.flmnh.ufl.edu/fish/Gallery/Descript/Whaleshark/whaleshark.html|title= Whale shark|publisher = Icthyology at the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accessdate=2006년 9월 17일}}</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