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이집트 혁명: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6번째 줄:
'''1952년 이집트 혁명'''은 [[무하마드 나기브]], [[가말 압델 나세르]] 등 자유 장교단의 혁명이자 개혁적 쿠데타이다.
 
쿠데타 전 이집트 사회는 왕정이었으며, 귀족 제도가 존재하였다. 토지는 소수의 귀족, 지주의 수중에 있었고, 다수의 농민은 소작농이었다. 이집트는 1922년 2월 28일에 영국으로부터 공식적으로 독립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대부분의 자본이 영국 대자본에 잠식된 상태였으며, 외교, 정치 영역에서는 영국의 공식적인 간섭을 받고 있었다. 여러 이유를사실을 종합할 때 이집트는 영국의 식민지 상태에 있는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낙후한 이집트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사상과, 서구 제국주의로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신념을 가진 진보적인 군 장교들과 하급 간부들은 자유 장교단을 조직하였고, 1952년에 쿠데타를 일으켜서 군주제와 귀족 제도를 폐지하고 공화국을 성립하였다. 또한 이집트에서 영국의 영향력을 차단하였다.<ref>{{Cite journal|last=Lahav|first=Pnina|author-link=Pnina Lahav|date=|title=The Suez Crisis of 1956 and its Aftermath: A Comparative Study of Constitutions, Use of Force, Diplomacy and International Relations|url=https://scholarship.law.bu.edu/cgi/viewcontent.cgi?article=1199&context=faculty_scholarship|journal=Boston University Law Review|volume=|pages=|via=}}</ref> 혁명 정부는 아랍 내셔널리즘과 반제국주의 의제를 채택하였다.
 
혁명 정부의 혁신적인 토지 개혁과 대규모 산업화 프로그램은 이집트를 10년 안에 산업 국가로 만들었다. 이 시기 이집트는 전례없는 인프라 구축과 도시화를 경험하였다. 1960년대 아랍 사회주의 진영에서 이집트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팔레스타인 해방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하였다. 반면, 미국,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을 비롯한 서구 진영은 이집트를 적성 국가로 분류하였다. 이집트의 범아랍주의 정신은 1970년 이후 안와르 사다트 정권이 출범하기 전까지 유지되었다. 안와르 사다트(Anwar Sadat) 정권 출범 이후 이집트는 서구와 타협하기 시작했고 사실상 범아랍주의 진영에서 이탈해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