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728,790
번
InternetArchiveBot (토론 | 기여) (0 개의 출처 구조, 1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 |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
||
'''실계수 <math>n\,</math>차 다항식'''의 경우, 위의 따름정리를 적용하면 이 역시 복소수체 위에서 중근을 고려할 경우 <math>n\,</math>개의 근을 갖는다. 이 표현 형식은 곱하는 순서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유일하므로, 만약 허수부가 0이 아닌 근을 갖는다면 실수체 위에서는 그 근을 표현할 수 없다. 즉 실수체 위에서는 반드시 <math>n\,</math>개의 근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실수체 위에서 실계수 다항식을 기약다항식들로 인수분해할 때, 기약다항식이 갖는 최대의 차수는 <math>2</math>
:<math>(x - (a + bi))(x - (a - bi)) = ((x - a) - bi)((x - a) + bi) = ((x - a)^2 + b^2)\,</math>
와 같이 (<math>a, b</math>는 실수) 실계수 이차식으로 환원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