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량 (오호 십육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번째 줄:
여광은 저족 출신으로 [[전진 (오호십육국)|전진]](前秦)의 공신으로 수차례 무공을 세웠다. 전진의 [[부견]](苻堅)이 [[동진]](東晉)을 멸망시키기 위해 전쟁을 준비할 무렵 여광은 도독서토제군사(都督西討諸軍事)에 임명되어 서역 원정을 떠났다. [[383년]] 1월 원정길을 시작하여 하서(河西) 회랑을 진군, [[384년]] 7월 [[쿠차|귀현]](亀玆)을 정벌하고 서역 대부분을 영향권 아래 두었다. 이때 여광은 서역에 널리 이름이 알려진 승려 [[구마라습]](鳩摩羅什)을 받아들였으며 휘하 장병 및 구마라습의 희망에 따라 정벌을 멈추고 본국으로 귀환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이전인 383년 11월 경에 벌어진 [[비수대전]](淝水大戰)으로 부견은 몰락하고 전진이 혼란에 빠졌으며 여광에게는 [[385년]] 9월 [[가오창|고창]](高昌)을 점령한 이후에 소식이 전해졌다. 여광은 [[후진 (오호십육국)|후진]](後秦)의 양주자사를 주천(酒泉) 부근에서 격파한 후 고장(姑臧)에 입성한 후 양주자사-호강교위(涼州刺史・護羌校尉)를 자칭하며 사실상의 자립 정권을 세웠다.
 
[[386년]] 9월 여광은 부견의 사망 소식을 전해 듣고 문소황제(文昭皇帝)의 시호를 추증하였으며 10월에는 [[태안 (후량)|태안]](太安)이라 연호를 정하고 주천공(酒泉公)을 자칭했다. [[387년]] 12월에는 [[전량]](前凉)의 부흥을 기도한 [[장천탕]](張天錫)의 아들 장대예(張大豫)를 격파하고 옛 전량의 지배 지역을 대부분 장악하였다. [[389년]] 2월, 여광은 삼하왕(三河王)을 자칭하고 개원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396년]] 6월에 국호을 '''대량'''(大凉)으로 정하고 '''천왕'''(天王)에 즉위하였다.
 
그러나 여광의 후량 정권은 구세력의 반란이나 부하의 내분이 끊이지 않아 불안정하였다. [[397년]]에 [[남량]](南凉)과 [[북량]](北凉)이 자립하고 수도 고장에서도 반란이 일어나 후량은 혼란에 빠졌으며 [[서진 (오호십육국)|서진]](西秦)도 후량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여 포위 상태가 되었다. [[398년]]에는 고장을 수복하여 한숨을 돌린 후 계속해서 남량, 북량 등과 대립하였다. 여광은 [[399년]], 태자 [[여소]](呂紹)에게 양위하고 곧 병사하였다. 여광의 사후 후량 정권은 후계자 다툼이 격화되어 여소가 자살하고 [[여찬]](呂纂)이 즉위하였다. 여찬은 남량과 북량의 공격을 받아 수도 고장까지 위협당했으며 스스로도 주색에 빠져 후량 정권은 점차 약화되었다. [[401년]] 2월, 여찬은 일족인 여초(呂超)에게 살해되고 [[여융]](呂隆)이 즉위하였다. 그러나 후량의 황권은 매우 불안정하였으며 마침내 [[403년]], 후진에 의해 멸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