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교황의 권력을 찾기위한 전쟁
십자군의 국가는 영어판에도 없는것으로 알고있는데 국가 까지는 아닌거 같습니다.
2번째 줄:
[[파일:Combat deuxième croisade.jpg|섬네일|350px|[[제2차 십자군]]의 전투.]]
{{전역상자 십자군|상태=uncollapsed}}
{{빈 문단}}'''십자군 전쟁'''(十字軍戰爭, {{llang|en|Crusades}})은 [[중세]] [[라틴 교회]]의 공인을 받은 원정대와 이슬람 군대 사이에 [[레반트|레반트 지역]]의 지배권을 놓고 벌어진 [[종교전쟁]]( 교황의 권력을 찾기위한 전쟁)이다. 좁은 의미의 십자군이라고 하면 [[성지]]를 [[이슬람]] 세력으로부터 탈환하기 위해 [[레반트|지중해 동해안]] 지역에서 진행된 전쟁들을 가리키나, 넓은 의미에서 중세의 기독교회에서 주동한 다른 전쟁들을 십자군으로 보는 관점 또한 존재한다. [[이교 (종교)|이교도]]나 [[이단]]의 토벌, 가톨릭 집단 내부의 분쟁, 정치적 이득 등 전쟁의 동기는 매우 다양했다. 십자군 시대에는 '십자군'이라는 말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1760년경을 전후하여 처음 사용례가 나타난다.
 
[[1095년]] [[교황 우르바노 2세]]가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제1차 십자군]]을 소환한 것을 최초의 십자군으로 본다. 당시 [[아나톨리아]]를 정복하고 있던 [[튀르크족]]에게 위협을 느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니노스|알렉시오스 1세]]를 위한 군사원조가 그 명분이었다. 우르바노 2세의 목적 중 하나는 무슬림들이 지배하고 있던 동지중해에 대한 순례자들의 안전보장이었지만 학자들은 이것이 우르바노 2세 및 우르바노 2세의 소환에 응하여 십자군에 참여한 이들의 진정한 동기였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우르바노 2세의 대전략은 아마 1054년 [[동서 교회의 분열]] 이래로 분열되어 있던 동방교회(정교회)와 서방교회(가톨릭)를 통합하여 자신이 그 통합된 기독교 세계의 수장이 되는 것이었을 것이다. 제1차 십자군의 성공으로 지중해 동해안에는 4개의 [[십자군 국가]]들([[에데사 백국]], [[안티오키아 공국]], [[예루살렘 왕국]], [[트리폴리 백국]])이 세워졌다. 우르바노 2세의 선동에 서유럽의 모든 계층이 열광적으로 호응했고, 이것이 이후 다른 모든 십자군들의 선례가 되었다. 십자군에 참여한 의용병들은 공개적으로 서원을 세우고 교회의 [[면벌부]]를 수여받았다. 예루살렘에서 천국으로 단체 승천하게 될 것을 기대하거나 자신의 모든 죄를 신이 사해줄 것을 희망한 이들도 있었다. 종교적 동기 외에도 [[봉건제|봉건적]]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 영광과 명예를 얻기 위해서, 또는 경제적 정치적 이득을 얻기 위해서 참여하는 이들도 있었다.
94번째 줄:
[[알비 십자군]](1209년–1229년)은 알비파라고도 하는 [[카타리파]] 이단을 박멸하기 위해 인노첸시오 3세가 소집한 십자군이다.<ref>{{Harvnb|Riley-Smith|1999|p=4}}</ref> 카타리파는 [[프랑스]] 남부에서 상당한 교세를 모으고 있었다. 십자군에게 카타리파는 잔인하게 진압당했고, 교세 중심지였던 [[툴루즈 백국]]은 프랑스 왕령에 속하게 되었다. 툴루즈 백작위의 유일한 추정상속인 [[잔 드 툴루즈 여백작|잔]]이 [[루이 9세]]의 남동생 [[알퐁스 드 푸아티에 백작]]과 결혼했고, 잔과 알퐁스 사이에 아이가 태어나지 못한 채 잔이 죽자 툴루즈 백국은 [[카페 왕조]]의 직할령으로 떨어졌다. 이것이 프랑스왕 입장에서 알비 십자군의 실제 동기 중 하나였으리라 짐작된다.<ref>{{Harvnb|Lock|2006|pp=163–65}}</ref>
 
=== 보스니아 십자군 ===
[[보스니아 십자군]]은 [[보스니아 교회|독립 보스니아 교회]] 토벌을 목적으로 한 십자군이다. 보스니아 교회는 [[보고밀파]] 이단으로 취급되었다. 1216년, 보스니아를 개종시키기 위한 사절이 파견되었으나 개종에 실패했다. 1225년 호노리우스 3세는 헝가리인들에게 [[보스니아]]에 십자군을 일으킬 것을 종용했다. 하지만 헝가리인들이 [[모히 전투]]에서 몽골에게 패배하면서 보스니아 십자군은 실패로 돌아갔다. 1234년 그레고리오 9세가 재차 십자군을 독려했지만 이번에는 보스니아인들이 헝가리인들을 격퇴해냈다.<ref>{{Harvnb|Lambert|1977|p=143}}</ref>
 
101번째 줄: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성전기사단]], [[구호기사단]], 이베리아 기사단이 이합집산하여 [[칼라트라바 기사단]]과 [[산티아고 기사단]]을 형성했고, 이들을 돕는 십자군 원정이 이루어졌다. 이베리아 반도의 기독교 왕국들은 1212년에서 1265년 사이에 [[무어인]], [[무와히드 칼리파조|무와히드조]] 등 무슬림 세력을 크게 몰아냈고, 교황이 승인한 이베리아 십자군들의 도움이 이를 뒷받침했다. [[그라나다 토후국]]은 1492년까지 존속했지만, 그라나다마저 멸망한 이후 무슬림과 유대인들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완전히 축출된다.<ref>{{Harvnb|Lock|2006|p=211}}</ref>
 
== 1414세기, 1515세기, 16세기 ==
=== 대 오스만 십자군 ===
[[파일:NikopolisSchlacht.jpg|섬네일|[[니코폴리스 전투]].]]
116번째 줄:
[[파일:Hussitenkriege.tif|섬네일|upright|1431년 [[도마츨리체 전투]]에서 십자군을 박살내는 후스파 군세.]]
[[후스 전쟁]]이라고도 하는 후스 십자군은 [[보헤미아 왕국]]에서 진행된 [[보헤미아 종교개혁]] 지도자 [[얀 후스]]의 추종자들을 이단으로 규정하여 토벌하려 한 십자군이다. 후스는 1415년 [[화형]]에 처해졌다. 15세기 초에 총 다섯 차례(1420년, 1421년, 1422년, 1427년, 1431년)의 대 후스파 십자군이 소집되었다. 하지만 이는 서로 교리 차이로 반목하던 후스파의 내부 종파들이 단결하여 침략자 십자군을 격퇴하는 결과를 낳았다. 후스 전쟁은 1436년 끝났지만 천주교회의 승리라고 할 수는 없는 방향으로 마무리되었다. 천주교회는 [[타보르파|급진 후스파]]를 제거하기 위해 온건 후스파를 받아들이고, 그들의 교리를 용인해주는 [[바젤 협정]]을 맺어야 했다.<ref>{{Harvnb|Lock|2006|pp=201–02}}</ref>
 
== 십자군 국가 ==
 
== 십자군의 유산 ==
줄 137 ⟶ 135:
{{전거 통제}}
 
[[분류:십자군|* ]]
[[분류:중세]]
[[분류:예루살렘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