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라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0번째 줄:
'''야마라자'''({{llang|sa|यमराज}}) 또는 '''야마'''({{llang|sa|यम}}), 불교식으로 '''염마왕'''({{한자|閻魔王}}) 또는 '''염마'''({{한자|閻魔}})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사후세계]]를 관장하는 신이다.
 
힌두교 경전인 [[베다]]에 처음으로 등장하며 [[산스크리트어]]는 '''야마'''(यम, Yama)이다. [[티베트어]]로는 '''신제'''(གཤིན་རྗེ།, Shinje)라고 쓰며, [[중국어]]로는 '''염라왕'''(閻羅王, Yanluowang){{.cw}}'''염마왕'''(閻魔王) 또는 '''염'''(閻, Yan)이라 쓰며,<ref>{{sfn|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T.1509|loc=제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5n1509_p0072b09 T25n1509_p0072b09 - T25n1509_p0072c04]. 부루사담먁바라제(富樓沙曇藐婆羅提)|ps=<br>"復名「富樓沙曇藐婆羅提」:「富樓沙」秦言「丈夫」,「曇藐」言「可化」,「婆羅提」言「調御師」——是名「可化丈夫調御師」。 佛以大慈大悲大智故,有時軟美語,有時苦切語,有時雜語,以此調御令不失道。如偈說:<br>
  「佛法為車弟子馬,  實法寶主佛調御,<br>
   若馬出道失正轍,  如是當治令調伏。<br>
   若小不調輕法治,  好善成立為上道,<br>
   若不可治便棄捨,  以是調御為無上。」<br>
復次,調御師有五種:初父母兄姊親里;中官法;下師法,今世三種法治;'''後世閻羅王治''';佛以今世樂、後世樂及涅槃樂利益,故名師。上四種法治人不久畢壞,不能常實成就;佛成人以三種道,常隨道不失。如火自相不捨乃至滅,佛令人得善法亦如是,至死不捨。以是故,佛名可化丈夫調御師。 問曰: 女人,佛亦化令得道,何以獨言丈夫? 答曰: 男尊女卑故,女從男故,男為事業主故。 復次,女人有五礙:不得作轉輪王、釋天王、魔天王、梵天王、佛,以是故不說。 復次,若言佛為女人調御師,為不尊重。若說丈夫,一切都攝。譬如王來,不應獨來,必有侍從。如是說丈夫,二根、無根及女盡攝,以是故說丈夫。 用是因緣故,佛名可化丈夫調御師。"}}</ref>{{sfn|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K.549, T.1509|loc=제2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272&startNum=87 87-89 / 2698]. 부루사담먁바라제(富樓沙曇藐婆羅提)|ps=<br>"또한 부루사담먁바라제(富樓沙曇藐婆羅提)<sup style="color: blue">159)</sup>라 한다. 진나라 말로 부루사<sup style="color: blue">160)</sup>는 ‘장부(丈夫)’이고, 담먁<sup style="color: blue">161)</sup>은 ‘교화할 수 있다[可化]’이며, 바라제162)는 ‘길들이는 이[調御師]’이니, 이는 ‘장부를 교화하고 길들이는 분’이 된다.
<br>부처님은 큰 자비와 큰 지혜로써 때로는 부드러운 말로, 때로는 간절한 말로, 때로는 잡된 말로 길들여서 도를 잃지 않게 하시는 까닭이니, 다음과 같은 게송이 있다.<br>
<br>  불법은 수레요 제자는 말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