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 (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14세기 사람 삭제함
편집 요약 없음
49번째 줄:
 
== 치세 ==
[[1398년]] [[음력 9월 5일]]부터 [[1400년]] [[11월 28일]]까지 재위하는 동안 [[1398년]] [[음력 9월 5일]]부터 [[1399년]] [[12월 1일]]까지 친정하였지만 [[1399년]] [[12월 1일]]부터 [[1400년]] [[3월 14일]]까지 3개월간을 문하좌정승 [[심덕부]]가 [[섭정|실권]]하였으며 [[1400년]] [[3월 14일]]부터 [[1400년]] [[11월 28일]] 퇴위할 때까지 아우인 [[조선 태종|정안군]](훗날 [[조선 태종|태종]])이 [[왕세자]] 신분으로 [[대리청정]]을 하였다. 선양한 뒤에는 아우 [[조선 태종|태종]]이 '''인문공예 상왕'''(仁文恭睿 上王)으로 존호(尊號)를 올렸고, 사후 조선 중후기까지 시호인 '''공정대왕'''(恭靖大王)으로 불리다가 [[조선 숙종|숙종]] 때 정식으로 묘호와 시호를 올려 '''정종공정의문장무온인순효대왕정종 공정의문장무온인순효대왕'''(定宗恭靖懿文莊武溫仁順孝大王)이다.
 
== 생애 ==
78번째 줄:
 
=== 즉위 ===
[[1398년|태조 6년]] (1398, 42세1398년), [[음력 8월]]에 동생 [[조선 태종|정안군]](당시 32세)이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본래 왕위에 뜻이 없었던 영안군은 왕세자가 되기를 극구 사양하였으나, 태조의 장자 [[진안대군]](鎭安大君)은 이미 사망하였기 때문에 왕세자에 올랐다가책봉되었다. 이후 1개월 뒤인 [[1398년]] 음력 9월에9월, 태조의 양위로 [[경복궁]] [[근정전]]에서 조선 제2대 국왕으로 등극하였다. 정종은 우왕 3년 ([[1377년]]) 때부터부터 21년 동안 전쟁터를 누빈 군인 출신이며, 일찍이 정안군(태종)이 창업 대의에 가장 열정적이었던 것을 인정하였다. 또한 직접적으로 동생 정안군(태종)이 왕위에 오를 것을 추천하는 등 왕위에 관한 관심은 없었다고 전해진다.
 
=== 치세 ===
* [[1399년|정종 원년]] (13991399년)
** 3월에는 한양에서 개성으로 천도하였고,
*** [[집현전]]을 설치하여 경적(經籍)<ref>* 경적(經籍), 옛 성현들이 [[유교]]의 사상과 가르침을 적어 놓은 책. 《[[사서오경]](四書五經)》을 말한다.</ref> 의 강론을 담당케 하였다.
87번째 줄:
** 8월에는 분경금지법(奔競禁止法)을 제정하여 관인들이 권세가에 청탁하는 것을 방지하였고, (정·경 분리)
** 11월에는 법전을 정비하기 위하여 ‘[[한국 법제의 역사#조선의 법전 편찬 약사|조례상정도감]](條例詳定都監)’을 설치하였다.<br />(태조 때 펴낸 《[[경제육전]]》을 준수하여 치정할 것을 교시, 즉위교지(卽位敎旨)의 내용)
* [[1400년|정종 2년]] (14001400년)
** 2월에는 이른바 제2차 왕자의 난을 계기로 [[조선 태종|정안공]]을 왕세자로 책봉하고,
** 4월에는 사병(私兵)을 혁파하여 군사권을 [[삼군부|의흥삼군부]]로 집중시켰다. (1차 군·정 분리)
100번째 줄:
 
=== 양위와 여생 ===
정종은 왕자의 난을 이유로 수도를 한성에서 [[개경]]으로 옮겼으나 다음 해인 [[1400년|정종 2년]](1400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동생 [[조선 태종|정안공]]을 [[왕세자]]로 책봉하고<ref>*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ba_10202004_001&tabid=k 조선왕조실록 정종 3권, 2년(1400 경진 / 명 건문(建文) 2년) 2월 4일(기해) 1번째기사]</ref> 9개월 뒤인 음력 11월 13일에 왕세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上王)으로 물러났다. 맏형으로서 남아있는 형제들간의 반목을 일소하고 정치를 안정시키기 위한 선택이었으며, 재위중에는 형제간의 친목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재위중에,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133466&q=삼성 삼성](三省)이 [[회안대군]]을 탄핵하기위해 논의하려 할때, 동모제(同母弟, 친동생)의 형친(兄親)의 정으로서 논의를 미연에 차단 금지시켰다. 이후 상왕으로 물러난 정종은 [[인덕궁]](仁德宮)에서 거주하면서 사냥과 격구, 연회, 온천여행 등으로 세월을 보내다 [[1419년|세종 1년]](14191419년) [[음력 9월 26일]]에 63세의 나이에 승하하였다.
 
=== 사후 ===
사망한 뒤<ref>세종 5권, 1년(1419 기해 / 명 영락(永樂) 17년) 9월 26일(무진)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da_10109026_001&mTree=0&inResult=0&indextype=1 노상왕이 인덕궁에서 훙하다]</ref> 국상을 치를 때에도 왕의 국상은 후대왕이 상주가 되어야하는 원칙<ref>조선왕실의궤(朝鮮王室儀軌)의 원칙으로 조선왕실의궤(朝鮮王室儀軌)는 조선시대 600여 년에 걸친(1392∼1910) 왕실의 주요 행사(결혼식, 장례식, 궁중연회, 사신영접 등)가 시기별ㆍ주제별로 정리되어 있어 조선왕조의 의식변화 등을 알 수 있다. 조선왕조 국가의식의 핵심을 이루는 길례(吉禮, 제사), 가례(嘉禮, 혼인 등), 빈례(賓禮, 사신 접대 등), 흉례(凶禮, 장례 등), 군례(軍禮, 군사 훈련 등)를 기록하고 있다. 국가의식의 흐름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ref> 에서 벗어나 왕위계승자인 [[정안군]](→[[조선 태종|태종]])이 아닌 장자(長子)인 [[의평군]] 이원생(義平君 李元生)이 섭상주(攝喪主:대리상주)가 되었다.<ref>세종 5권, 1년(1419 기해 / 명 영락(永樂) 17년) 9월 26일(무진)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da_10109026_004&mTree=0&inResult=0&indextype=1 백관과 함께 인덕궁에 나아가 곡하다]</ref><ref>세종 5권, 1년(1419 기해 / 명 영락(永樂) 17년) 9월 27일(기사)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da_10109027_002&mTree=0&inResult=0&indextype=1 의평군 이원생을 대리상주로 하여 돌아간 왕의 소렴전을 올리다]</ref>
 
조선 조정에서는 바로 온인 공용 순효 대왕(溫仁恭勇順孝大王)이라는 시호를 올렸고 순효대왕이라고 불렀다가 [[명나라]]에서 공정이라는 시호를 올려 가져오자 공(恭)자가 두번 들어간다고 시호에서 공용(恭勇) 두 글자를 빼버렸다.<ref>{{웹 인용|url=http://sillok.history.go.kr/id/kda_10204013_004|제목=조선왕조실록|언어=ko|확인날짜=2017-06-25}}</ref> 이때부터는 묘효 없이 공정 온인 순효 대왕(恭靖溫仁順孝大王), 짧게 공정대왕(恭靖大王)이라 불렀다불렸다.
 
'''정종'''(定宗)이라는 묘호는 사후 250여년 후인 [[1681년]](숙종 7년), 제 6대제6대 [[조선 단종|단종]]과 함께 제 19대 [[조선 숙종|숙종]] 7년에 정해졌다. 정종(定宗)의 의미는 '[[조선 태조|태조]]의 업적을 계승하여 정국을 잘 다스렸으며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크게 염려하였다'는 뜻이다.
 
== 능묘 ==
139번째 줄:
|-
!부
|style="text-align:center|[[조선 태조|태조대왕]] 太祖大王
|[[전주 이씨|전주]]
|1335년 - 1408년
|style="text-align:center|[[조선 환조|환조대왕]] 이자춘 <small>桓祖大王 李子春</small><br>[[의혜왕후]] 최씨 <small>懿惠王后 崔氏</small>
|'''  조선의 초대 국왕 <br>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 '''
|-
!모
|style="text-align:center|[[신의왕후]] 한씨 神懿王后 韓氏
|[[안변 한씨|안변]]
|1337년 - 1391년
|style="text-align:center|안천부원군 [[한경 (조선)|한경]] <small>安川府院君 韓卿</small><br>삼한국대부인 [[삭녕 신씨]] <small>三韓國大夫人 朔寧 申氏</small>
|
|}
155번째 줄:
=== 왕비 ===
{| class="wikitable"
! rowspan="2" |정비
!시호
!본관
줄 161 ⟶ 162:
!비고
|-
|style="text-align:center|[[정안왕후]] 김씨 定安王后 金氏<br><small>순덕왕대비 順德王大妃</small>
|[[경주 김씨|경주]]
|1355년 - 1412년
|style="text-align:center|월성부원군 [[김천서]] <small>月城府院君 金天瑞</small><br>삼한국대부인 [[담양 이씨]] <small>三韓國大夫人 潭陽 李氏</small>
|''' 순덕왕대비 順德王大妃 '''
|}
 
줄 176 ⟶ 177:
!비고
|-
|!
|[[성빈 지씨]] 誠嬪 池氏
| rowspan="2" |[[충주 지씨|충주]]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생몰년 미상''
| rowspan="2" |[[지윤]] <small>池奫</small><br>[[순흥 안씨]] <small>順興 安氏</small>
|
|-
|! rowspan="5" |숙의
|[[숙의 지씨]] 淑儀 池氏
| rowspan="5" |
|-
|[[숙의 기씨]] 淑儀 奇氏
줄 191 ⟶ 192:
|  ?   - 1457년<ref>《[[세조실록]]》 8권, 세조 3년(1457년 명 천순(天順) 1년) 6월 13일 을사 3번째기사
----'''정석정 이융생의 어머니가 졸하니 부의하다'''</ref>
|
|
|-
|[[숙의 문씨 (정종)|숙의 문씨]] 淑儀 文氏
|[[남평 문씨|남평]]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생몰년 미상''
|
|
|
|-
|[[숙의 윤씨 (정종)|숙의 윤씨]] 淑儀 尹氏
|[[해평 윤씨|해평]]
|
|
|
|-
줄 210 ⟶ 207:
|  ?   - 1443년<ref>《[[세종실록]]》 102권, 세종 25년(1443년 명 정통(正統) 8년) 10월 2일 계미 3번째기사
----'''원윤 이종생의 어머니가 죽다'''</ref>
|
|
|-
|!궁주
|style="text-align:center|[[가의궁주]] 유씨 <br>嘉懿宮主 柳氏
|
|
|style="text-align:center|''생몰년 미상''
|
|
줄 231 ⟶ 227:
!비고
|-
|style="text-align:center|1
|1
|[[의평군]] 義平君
|원생 元生
줄 239 ⟶ 235:
|
|-
|style="text-align:center|2
|2
|[[순평군]] 順平君
|군생 羣生
줄 247 ⟶ 243:
|
|-
|style="text-align:center|3
|3
|[[금평군 (이의생)|금평군]] 錦平君
|의생 義生
줄 254 ⟶ 250:
|
|-
|style="text-align:center|4
|4
|[[선성군]] 宣城君
|무생 茂生
|style="text-align:center|'' 생몰년 미상''
|성빈 지씨
|오천군부인 정씨 烏川郡夫人 鄭氏<ref>[[정몽주]]의 손녀</ref><br>안강군부인 김씨 安康郡夫人 金氏<br>평산군부인 한씨 平山郡夫人 韓氏
|
|-
|style="text-align:center|5
|5
|[[종의군]] 從義君
|귀생 貴生
줄 270 ⟶ 266:
|
|-
|style="text-align:center|6
|6
|[[진남군 (1406년)|진남군]] 鎭南君
|종생 終生
줄 278 ⟶ 274:
|
|-
|style="text-align:center|7
|7
|[[수도군]] 守道君
|덕생 德生
줄 286 ⟶ 282:
|
|-
|style="text-align:center|8
|8
|[[임언군]] 林堰君
|녹생 祿生
줄 293 ⟶ 289:
|
|-
|style="text-align:center|9
|9
|[[석보군]] 石保君
|복생 福生
줄 300 ⟶ 296:
|
|-
|style="text-align:center|10
|10
|[[덕천군 (1397년)|덕천군]] 德泉君
|후생 厚生
줄 307 ⟶ 303:
|
|-
|style="text-align:center|11
|11
|[[임성군]] 任城君
|호생 好生
줄 313 ⟶ 309:
|
|-
|style="text-align:center|12
|12
|[[도평군]] 桃平君
|말생 末生
줄 319 ⟶ 315:
|
|-
|style="text-align:center|13
|13
|[[장천군]] 長川君
|보생 普生
줄 326 ⟶ 322:
|
|-
|style="text-align:center|14
|14
|[[정석군]] 貞石君
|융생 隆生
줄 333 ⟶ 329:
|
|-
|style="text-align:center|15
|15
|[[무림군]] 茂林君
|선생 善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