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교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이 문서는 '''조선교육 제도'''(朝鮮-敎育制度)를 다룬다. == 개설 == 조선 시대에도 관료로서 출세할 수 있는 정상적인 방법은 우선 ...
 
잔글 {{합병|조선의 교육기관}}{{정리 필요}}
1번째 줄:
이 문서는 '''[[조선]]의 [[교육 제도]]'''(朝鮮-敎育制度)를 다룬다.
 
{{합병|조선의 교육기관}}{{정리 필요}}
== 개설 ==
 
조선 시대에도 관료로서 출세할 수 있는 정상적인 방법은 우선 과거에 합격하는 데 있었으므로 자연히 교육도 과거의 준비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또한 과거의 고시 과목이자 건국 초기부터 정교(政敎)의 근본이념으로 채택된 유학(儒學)은 입신양명(立身揚名)의 유일한 도구로 양반 계급이 감독하였다. 따라서 교육도 대부분 과거의 응시자격을 구비하고 있는 양반의 자제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들은 대개 어릴 때 서당에서 유학의 초보적인 지식을 배우고 15~16세 이전에 서울은 [[학당]], 곧 4학(四學)에, 지방은 [[향교]](鄕校)에 들어가서 공부하여 몇 년 뒤에 과거의 소과(小科)에 응시, 여기에 합격하면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하는 자격을 얻었다.
14번째 줄:
이와 같이 유학을 중심으로 한 문과 계통의 교육 기관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무과(武科) 계통의 교육 기관은 전혀 없는 상태였다. 이것은 조선 사회가 문(文)을 숭상하고 무(武)를 경멸한 결과 생긴 당연한 현상이었다.
 
그리고 특수 분야인 잡과(雜科)계통의 교육 기관으로서는 태종 때에 이학(吏學)·역학(譯學)·음양풍수학(陰陽風水學)·의학(醫學)·자학(字學)·율학(律學)·산학(算學)·악학(樂學) 등의 교육을 위한 시설을 두었다. 그러나 잡과는 특수한 신분층이 이를 세습하였기 때문에 그 수가 그리 많지 않았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한학(漢學 : 한어[[중국어]])·몽학(蒙學 : [[몽고어]])·여진학(女眞學 : [[만주어]])·왜학(倭學 : [[일본어]])은 사역원(司譯院)과 어는 특정한 지방에서 의학(醫學)은 전의감·혜민서와 지방의 각 고을에서, 천문학·지리학·명과학(命課學)은 관상감에서, 주학(籌學 : 산학)은 호조(戶曹)에서, 율학(律學)은 형조와 지방의 각 고을에서, 화학(畵學)은 도화서(圖畵署)에서, 도학(道學)은 소격서(昭格署)에서 각각 일정한 수의 학생을 가르쳤다.
 
== 개화기의 교육 ==
한편 고종 때 미국 선교사들이 세운 [[육영공원]](育英公院)·[[배재학당]](培材學堂)·[[이화학당]](梨花學堂) 등은 근대 서구적(西歐的)인 교육 제도로의 전환점을 이루었다.
 
== 함께 보기 ==
* [[조선의 과거 제도]]
 
==주석==
<references/>
 
{{글로벌세계대백과}} <!-- 〈조선 왕조의 통치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