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융: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참고 문헌: 봇 ; 문단 정리, replaced: == 참고문헌 == → == 참고 문헌 == using AWB
편집 요약 없음
32번째 줄:
[[664년]]([[인덕]] 원년) 칙사 유인원의 주재로 신라의 [[김인문]]·[[김천존]]과 화친을 맹약했다.<ref>《삼국사기》6권 신라본기 제6 문무왕 4년</ref> 10월(음력) 대방주[[자사 (관직)|자사]](帶方州―) 겸 검교웅진도독 유인궤가 표를 올려 비로소 웅진도독이 되었고<ref>《자치통감》201권 당기 제17 고종 인덕 원년. 《자치통감》에는 웅진 [[도위]](都尉)라고 하였으나 도독의 오기이다. 《구당서》유인궤전과 《신당서》유인궤전에는 도독이라고 하였다.</ref> 이내 남부여군공에 봉해지고 웅진도총관 겸 마한도안무대사(馬韓道安撫大使)에 임명되어 유민들을 통치하였다.<ref name="카를 융" /> [[665년]] 유인원이 다시 칙사로 와서 신라 [[문무대왕]]과 취리산(就利山) 회맹을 주선하니 드디어 옛 땅 일부에 대한 지배를 용인받고<ref>《삼국사기》6권 신라본기 제6 문무왕 5년</ref> 1도독부 7[[주 (행정 구역)|주]] 51[[현 (행정 구역)|현]]을 획정하였다.<ref>《삼국사기》37권 잡지 제6 지리4 백제</ref> 직후에 유인궤와 함께 당나라로 건너가서 [[666년]]([[건봉]] 원년) 고종의 봉선(封禪)에도 참여하였다.
 
악화되던 나당관계가 고구려 멸망 후 표면화되면서 웅진도독부와 신라는 전투를 벌였고 결국 [[672년]]([[함형]] 3년)에 웅진도독부는 신라에 의해 축출되엇다축출되었다.<ref>《삼국사기》36권 잡지 제5 지리3 신라. 혹은 사비성을 함락시키고 소부리주(所夫里州)를 설치했다는 [[671년]]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7권 신라본기 제7 문무왕 11년</ref> 웅진도독부는 [[676년]]([[상원 (당 고종)|상원]] 3년) 고구려의 성이었던 [[건안성]](建安城)에 재설치되어 서주(徐州)와 연주(兗州) 등에 있던 남부여 유민들도 옮겨갔다.<ref>《자치통감》202권 당기18 고종 의봉 원년</ref> [[677년]]([[의봉]] 2년) [[나당전쟁]]에서 당나라가 완패하여 당나라 장수였던 부여융은 다시는 한반도에 돌아오지 못했다. 대신 광록대부(光綠大夫) 태상원외경(太常員外卿) 사지절(使持節) 웅진도독 대방군왕을 임명받아 [[요동]]에서 남부여 유민들을 억압했다.<ref>《구당서》199권上 열전 제149上 백제</ref> [[682년]]([[영순 (당)|영순]] 원년) 68세의 나이에 뤄양에서 병사해 [[북망산]]에 묻혔고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을 추증받았다.<ref name="카를 융" />
 
=== 사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