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공간 (제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 문단 정리, replaced: == 참고문헌 == → == 참고 문헌 == (2) using AWB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분류:시간 영역 분석; 예쁘게 바꿈
2번째 줄:
 
== 상태변수 ==
[[파일:Typical State Space model.png|framed프레임|상태공간식의 블록 선도 표현]]
 
내부 상태 변수는 어떤 주어진 순간 전체 시스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스템 변수 부분집합이다. 어떤 주어진 시스템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상태변수 개수 <math>n</math> 은 보통 시스템의 미분방정식의 차수와 같다. 만일 시스템이 전달함수 형태로 주어진다면 최소 상태변수 개수는 전달함수의 분모의 차수와 같다. 중요한 것은 상태 공간 실현형태를 전달함수로 변환하면 어떤 내부 정보를 잃을 수도 있고, 전달함수는 안정되어 보이나 상태 공간 실현형태는 어느 점에서는 불안정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전자회로에서는 상태 변수의 개수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커패시터나 인덕터와 같은 에너지 저장 요소의 개수와 같다.
62번째 줄:
이 다항식의 근 ([[고윳값]])이 시스템 전달함수의 극(즉, 전달함수의 증폭비가 무한대가 되는 특이점)이다. 이 극은 시스템이 점근 안정인지 경계 안정인지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안정성을 판정하기 위한 다른 접근 방법은, 고윳값을 계산하지 않는 방법으로, 시스템의 [[랴푸노프 안정성]]을 해석하는 것이다.
영은 <math>\textbf{G}(s)</math>의 분자에서 찾을 수 있는 것으로 비슷하게 시스템이 최소 위상 여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은 '''입력&ndash;출력입력–출력 안정''' ([[BIBO 안정]] 참조)이면서도 심지어 내적 불안정일 수도 있다. 이는 어떤 경우인가 하면, 불안정한 극이 영에 의해 상쇄되는 경우이다.
=== 가제어성 ===
{{본문|제어 가능성}}
156번째 줄:
[[분류:제어공학]]
[[분류:제어이론]]
[[분류:시간 영역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