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영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깔끔하게! ;) using AWB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전거 통제 틀 추가; 예쁘게 바꿈
1번째 줄:
[[파일:Moto di uno ione in un elettrolita.svg|섬네일|right오른쪽|500px|전기영동 현상 내 두 가지 힘, 전기력(왼쪽 방향)과 마찰력(오른쪽 방향)]]
 
'''전기영동'''(電氣泳動, {{llang|en|Electrophoresis}}) 혹은 '''전기이동'''은 전극 사이의 전기장 하에서 용액 속의 전하가 반대 전하의 전극을 향하여 이동하는 화학현상이다. 스웨덴의 생물리학자 [[아르네 티셀리우스]]({{llang|en|Arne Tiselius}})가 1930년대 혈청 단백질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고안하였다. [[아르네 티셀리우스]]는 '''전기영동'''을 응용한 분석법 고안의 공로를 인정받아 194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다.<ref>http://www.nobelprize.org/nobel_prizes/chemistry/laureates/1948/</ref>
18번째 줄:
 
=== 정성적 성질 ===
스토크스 법칙에 따르면 반지름이 r인 구형 입자의, 점성인 유체 속 마찰계수는 다음과 같다.
 
[[파일:Electrophoresis 3.JPG|300px]]
28번째 줄:
즉, 전기영동은 ''이온의 크기 대비 전하량''에 따라 이동속력이 변하게 된다.<ref>{{웹 인용 |url=http://chromatographytoday.com/news/electrophoretic-separations/35/breaking_news/what_is_capillary_electrophoresis/32375/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6-01-1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04130640/http://chromatographytoday.com/news/electrophoretic-separations/35/breaking_news/what_is_capillary_electrophoresis/32375/ |보존날짜=2016-03-04 |url-status=dead }}</ref>
== 전기 삼투현상 ==
[[파일:electroosmosis.jpg|섬네일|right오른쪽|300px|전기 삼투현상의 전하분포도]]
일반적으로 전기 영동을 응용할 때 모세관 전기 영동법을 사용한다. 모세관은 실리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라노({{llang|en|Silanol}}) 작용기가 (-Si-OH) 내벽에 자리잡고 있다. 실라노 작용기가 음전하(-Si-O-)를 띠므로 용액 내 양전하들이 먼저 실라노 작용기 가까이에 정전기적 인력으로 부착된다. 고정층의 양전하는 실라노 작용기에 단단히 붙어있기 때문에 이동할 수 없다. 고정층과 이동층의 모든 전하량 합은 0이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층에서 실라노 작용기(음전하)가 양전하보다 많았던 만큼 이동층에서는 양전하의 숫자가 더 많아야 한다. 따라서 이동층은 전기적으로 양을 띠게 된다.
 
94번째 줄:
 
=== 마이셀 동전기 모세관 크로마토그래피(MEKC) ===
[[파일:MEKC.gif|섬네일|right오른쪽|680px|마이셀(micelle) 안에 들어간 용질의 전기장 속 이동(오른쪽)]]
 
'''마이셀 동전기 모세관 크로마토그래피'''({{llang|en|Micelle electrokinetic capillary chromatography, MEKC}})는 전기 영동 현상을 이용하여 중성 분자들 간을 분류하기 위한 화학분석 응용법이다.
130번째 줄:
* [https://web.archive.org/web/20180829062055/http://www.ceandcec.com/ CE 관련 웹사이트]
* [https://www.youtube.com/watch?v=T2RYgz7Akkg Capillary Electrophoresis Lecture]
{{전거 통제}}
 
[[분류:전자기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