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수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대수 구조|expanded=군}}
 
[[추상대수학]]에서, '''군'''(群, {{llang|en|group}})은 [[결합 법칙]]과 [[항등원]]과 각 원소의 [[역원]]을 가지는 [[이항 연산]]을 갖춘 [[대수 구조]]이다. [[모노이드]]의 특수한 경우이다. 수학적 대상의 대칭들의 집합은 군을 이루며,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등장하는 개념이다. 군을 연구하는 추상대수학의 분야를 '''[[군론]]'''(群論, {{llang|en|group theory}})이라고 한다. 역사적으로 군론은 [[대수 방정식]] 이론과이론, [[기하학]], [[수론]]에서 기원한다.<ref name="Rotman" />{{서적 인용
[[추상대수학]]에서, '''군'''(群, {{llang|en|group}})은 [[결합 법칙]]과 [[항등원]]과 각 원소의 [[역원]]을 가지는 [[이항 연산]]을 갖춘 [[대수 구조]]이다.<ref>{{매스월드|id=Group|title=Group}}</ref> 여기서 대수 구조는 일련의 [[연산 (수학)|연산]]을 갖춘 [[집합]]으로 정의되며,<ref name="BS">{{서적 인용|성=Burris|이름=Stanley N.|공저자=Hanamantagouda P. Sankappanavar|url=http://www.thoralf.uwaterloo.ca/htdocs/ualg.html|날짜=1981|제목=A course in universal algebra|출판사=Springer|zbl=0478.08001|mr=0648287 |isbn=978-1-4613-8132-7|총서=Graduate Texts in Mathematics|issn=0072-5285|권=78|언어=en}}</ref> 결합 법칙은 괄호를 넣는 방식이 연산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ref>{{서적 인용|저자1=赵春来|저자2=徐明曜|연도=2008|제목=抽象代数I|출판사=北京大学出版社|isbn=978-7-301-14168-7|쪽=3}}</ref> [[항등원]]은 곱셈의 1 또는 덧셈의 0과 같은 성질의 원소이며, 역원은 곱셈에서의 [[역수]] 또는 덧셈에서의 [[덧셈 역원|반수]]와 같다.
|성=Rotman
 
|이름=Joseph J.
군은 각 원소가 역원을 가지는 [[모노이드]]로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모노이드는 결합 법칙과 항등원을 가지는 이항 연산을 갖춘 대수 구조를 말한다.<ref>{{eom|title=Monoid}}</ref>
|제목=A First Course in Abstract Algebra with Applications
 
|판=3
수학적 대상의 대칭들의 집합은 군을 이루며,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등장하는 개념이다. 군을 연구하는 추상대수학의 분야를 '''[[군론]]'''(群論, {{llang|en|group theory}})이라고 한다. 역사적으로 군론은 [[대수 방정식]] 이론과 [[기하학]]과 [[수론]]에서 기원한다.<ref name="Rotman" />
|출판사=Prentice Hall
|위치=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isbn=0-13-011584-3
}}</ref>
 
== 정의 ==
줄 62 ⟶ 66:
:<math>\ker f=\{g\in G\colon f(g)=1_H\}</math>
:<math>\operatorname{im}f=\{f(g)\colon g\in G\}</math>
이다. 여기에서 <math>f</math>의 핵은 <math>G</math>의 [[정규 부분군]]이며, 상은 <math>H</math>의 [[부분군]]임을 알 수 있다. <math>f</math>가 단사 준동형 사상일 필요 충분 조건은 핵이 [[자명군]]인 것이며, 전사 준동형 사상일 필요 충분 조건은 상이 <math>H</math> 전체인 것이다.
이다. 여기에서 f의 핵은 G의 [[정규 부분군]](f(g<sup>−1</sup>ug) = f(g)<sup>−1</sup>f(u)f(g) = f(g)<sup>−1</sup>1<sub>H</sub>f(g) = f(g)<sup>−1</sup>f(g) = 1<sub>H</sub>)이며, 상은 H은 [[부분군]]임을 알 수 있다. 준동형사상 f가 [[단사 함수]]일 필요충분조건은 ker(f) = {1<sub>G</sub>}이다.
 
== 연산 ==
줄 341 ⟶ 345:
*{{서적 인용 | 성=Rotman|이름= Joseph | title=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groups | publisher=Springer | 날짜=1994 | isbn= 978-1-4612-8686-8|doi=10.1007/978-1-4612-4176-8|총서=Graduate Texts in Mathematics|권=148|issn=0072-5285|zbl=0810.20001|판=4|언어=en}}
* {{서적 인용 | 제목=Fundamentals of group theory. An advanced approach|성=Roman|이름=Steven|날짜=2012|doi=10.1007/978-0-8176-8301-6|출판사=Birkhäuser|isbn= 978-0-8176-8300-9|zbl=1244.20001|언어=en}}
* {{서적 인용 | 제목=Groups and symmetry|성=Armstrong|이름=Mark A. |총서=Undergraduate Texts in Mathematics|날짜=1988|doi=10.1007/978-1-4757-4034-9|isbn=978-0-387-96675-5|issn=0172-6056|출판사=Springer|언어=en}}
* {{서적 인용 | 제목=Visual group theory | 이름= Nathan|성= Carter|url=http://web.bentley.edu/empl/c/ncarter/vgt/|isbn=978-0-88385-757-1|총서=Classroom Resource Materials|출판사=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날짜=2009|언어=en}}
* {{서적 인용 | 제목=A course in group theory | 이름=John F.|성=Humphreys|url=https://global.oup.com/academic/product/a-course-in-group-theory-9780198534594|출판사=Oxford University Press|isbn=978-019853459-4|날짜=1996-07-11|언어=en}}
줄 369 ⟶ 373:
** {{nlab|id=Grp}}
** {{nlab|id=group theory|title=Group theory}}
 
{{전거 통제}}
 
[[분류: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