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가마쿠라 시대]]의 관백 [[니조 요시자네]](二条良実)는 동생 [[이치조 사네쓰네]](一条実経)에게 관백 직위를 물려주고 [[내람]](内覧, [[일본 천황]]에게 올리는 문서와 천황이 재가한 문서 일체를 먼저 볼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역직)에 임명되어서 태합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그 자손인 [[니조 요시모토]](二条良基)는 13년에 걸쳐 관백직을 지내어 직접적인 혈연관계가 없는 다른 가문의 당주가 관백이 된 뒤에도 태합을 칭하여 내람으로서 권세를 누려, 그 뒤 세 번이나 섭정에 재임명되었다.
 
가장 유명한 태합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로서, [[1591년]]에 양자 [[도요토미 히데쓰구]](豊臣秀次)에게 관백직을 물려준 뒤 태합을 칭하였다. 이게 얼마나 잘못된 것인가 하면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너무나 천한 신분이라서 [[쇼군정이대장군]]이 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지 스스로 태합의 자리에 오른 것이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일본을 다스려서는 안되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을 다스리기 위해서 쇼군의정이대장군의 자리에 오를 수 없는 자신의 비천한 신분으로 인해 쇼군에정이대장군에 오를 수 없어서 태합이라 칭한 것이다. 조선으로 따지자면 [[외거노비]] 개똥이가 조선 임금으로 즉위한즉위할 수 없다는 이유로 임금 직을 폐지하고 섭정을 하는 관직을 새로 만들어 취임한 것과 똑같은 게 바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태합이 된 것이다.
 
근세에 태합이라는 말로 불린 것이 히데요시 뿐이었기 때문에 태합이 고유명사로 오해되기 쉬우나, 실제로는 전임 섭정 또는 전임 관백 등에 대하여 보편적으로 쓰이는 명사이다. 사서에서는 히데요시를 도요토미(豊臣) 성에서 따온 풍태합({{Ruby-ja|豊太閤|ほうたいこう|호타이코}})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다. 그가 전국 규모로 실시한 검지(検地, 토지조사)는 당시부터 태합검지(太閤検地)라고 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