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혁명: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함께보기 → 같이 보기)
Jeanchoi4 (토론 | 기여)
15번째 줄:
인간이 수동적인 피조물의 태도에서 벗어나 자연에 어떤 현상을 일어나게 할 수 있다는 이러한 지적(知的)전통은 우주에 대한 적극적 탐구를 자극하였고, 새로운 우주 체계의 가능성을 열었다. 특히,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코페르니쿠스]]가 처음으로 “태양이 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새로운 우주론인 ‘태양중심설’을 제시하였을 때, 당대의 천문학자들 대부분이 새로운 우주론으로 다가갈 수 있었던 기저에는 [[신플라톤주의]]의 역할이 있었다.
 
한편, [[프랑스]]와 [[북유럽]]에서는 [[종교 개혁]]이라는 새로운 운동이 전개되고 있었다. [[르네상스]]가 고대 학문의 부활을 내세웠다면, 종교 개혁은 부패하지 않은 순수한 신앙으로의 회귀를 추구했다. 개신교도(protestant)들은 교황과 성직자에게 고해성사를 하거나 성인(聖人)들에게 기도하는것이 아닌, 개개인이 하나님과하느님과 직접 교제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신성화 된 인간(성인 및 교황) 대신 인간으로서, 교황만이 읽을 수 있었던 성경을 모두가 읽을 수 있는 하나님의하느님의 말씀으로서 중심 연구 과제로 설정하였다. 이 운동은 결국 중세 사회의 기반이었던 가톨릭교회의 부패와 모순을 드러냄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 과학의 중심으로 삼았던 [[스콜라 철학]]의 퇴진을 촉발하였고, 새로운 과학의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 학문적 기술자의 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