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20번째 줄:
 
=== 임진왜란 시기 ===
만력20년(1592) 6월, 조선으로의 일본군 침입에 대항하고자, 왜정(倭情)에 밝은 진린을 신기칠영연용참장(神機七營練勇參將)으로 기용<ref>『大明神宗顯皇帝實錄』 卷249 萬曆20년 6월 21일 2번째기사</ref>, 그해 10월 신추우부장(神樞右副將) 혹은 신기영우부장(神機營右副將)으로 기용,기용하였다.<ref>『大明神宗顯皇帝實錄』 원관에卷253 복직하였다.萬曆20년 10월 13일 2번째기사</ref> 만력21년(1593), 협수계진부총병서도독첨사(恊守薊鎮副總兵署都督僉事)에서 계료보정산동등처방해어왜부총병(薊遼保定山東等處防海禦倭副總兵)에 임명되었다.<ref>『大明神宗顯皇帝實錄』 卷256 萬曆21년 정월 7일 1번째기사</ref> 일본군이 조금 물러나자, 조정은 전쟁을 싫어하여 진린을 계료보정산동등처방해어왜부총병서도독첨사(薊遼保定山東等處防海禦倭副總兵署都督僉事)에서 협수조장등처(恊守潮漳等處)로 전근시켰다.<ref>『大明神宗顯皇帝實錄』 卷261 萬曆21년 6월 17일 3번째기사</ref> 만력21년(1593) 부총병(副總兵)에 임명되어 남오도(南澳島)에 주둔하였다. 만력25년(1597) 9월 9일, 부총병(副總兵)으로 기용되어 광동영(廣東營) 병사 5천을 이끌고 조선으로 가서 구원하는 명을 받았다. <ref>『大明神宗顯皇帝實錄』 卷314 萬曆25년 9월 9일 2번째기사</ref> 같은해 10월 17일, 광서(廣西) 잠계(岑溪) 이민족 토벌공이 있다는 이유로 진린에게 서도독첨사(署都督僉事)에서 도독첨사(都督僉事)로 정식 임명하였다.<ref>『大明神宗顯皇帝實錄』 卷315 萬曆25년 10월 17일 3번째기사</ref> 만력26년(1598) 2월 23일, 부총병도독첨사(副總兵都督僉事) 진린에게 어왜총병관(禦倭總兵官)에 임명하고 이를 상징하는 관린인 관방(關防)을 주조하여 지급하였다.<ref>『大明神宗顯皇帝實錄』 卷319 萬曆26년 2월 23일 1번째기사</ref>
 
만력25년(1597, 선조30년) [[정유재란]] 시 어위도총관 및 전군도독부도독(前軍都督府都督)으로서 5천 명의 수군을 거느리고 [[조선]]으로 들어와 [[전라도]] [[완도군]] [[고금도]]에서 [[이순신]](李舜臣)과 더불어 전공을 세워 광동백(廣東伯)에 봉해졌다. 처음에는 이순신과 불화가 있었지만 이순신이 진린에게 수급을 양보하는 등 공을 세우도록 도움을 주자 점차 이순신에게 감복하여 진정으로 이순신을 존경하게 되었다. 이후 명나라 조정에 [[이순신]]의 전공을 상세하게 보고하여 [[만력제]](萬曆帝)가 이순신에게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8가지 선물들]](영패(令牌), 도독인(都督印), 귀도(鬼刀), 참도(斬刀), 곡나팔(曲喇叭), 독전기(督戰旗), 홍소령기(紅小令旗), 남소령기(藍小令旗))을 보내도록 하는 데 일조를 했다. 전쟁 당시 사용했던 무기는 총으로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