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량 (동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유량'''(庾亮, [[289년]] ~ [[340년]])은 [[동진]](東晉)의 정치인이며, [[자 (이름)|자]]는 '''원규'''(元規)이다. [[영천군 (潁川郡중국)|영천군]] 언릉현(鄢縣) 출신이며, 동생은 명목황후(明穆皇后) [[유문군]](庾文君)이다.
 
== 생애 ==
[[서진]](西晉) 시대에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젊었을 때부터 수려한 외모와 위엄 있는 풍채, [[청담]](淸談)의 명수로 유명세를 떨쳤다. 이후 [[팔왕의 난]]과 [[영가의 난]]으로 중원이 전란에 휩싸이자, 가족들과 함께 [[회계군|회계(會稽)]]로 이주하였다.
 
이후 낭야왕(琅邪王) [[동진 원제|사마예]](司馬睿)가 진동장군(鎭東將軍)에 오른 뒤 [[건강 (지명)|건강]](建康)으로 부임한 뒤 유량의 여동생 [[유문군]](庾文君)을 아들 [[동진 명제|사마소]](司馬紹)에게 시집보냈으며, 사마예가 황제가 된 이후 급사중(給事中) · 황문시랑(黃門侍郞) · 산기상시(散騎常侍)를 역임한 뒤 [[왕돈]](王敦)의 추천으로 중령군(中領軍)이 되었다. 322년 사마소가 즉위하자 유량을 중서감(中書監)에 임명하려고 하였으나, 유량은 표를 올려 이를 고사하였다.
 
그 뒤 325년 사마소가 세상을 떠나자 [[왕도 (동진)|왕도]](王導)와 함께 유언을 받들어 [[동진 성제|사마연]](司馬衍)을 보좌했으며, 중서령(中書令)에 올랐다. 하지만 사마소의 사후 공신들의 논공행상 당시 [[조약 (동진)|조약]](祖約)의 원한을 사게 되었으며, 왕돈의 반란을 평정한 공을 세운 [[소준]](蘇峻)을 제거하기 위해 건강으로 부르려다 계획이 발각되어 소준은 조약과 연합한 뒤 [[소준의 난]]을 일으켰다. 유량은 반란군에게 패배해 동생 [[유익 (동진)|유익]](庾翼) 등과 함께 석두성(石頭城)에서 탈출해 평남장군(平南將軍) · 강주자사(江州刺史)인 [[온교]](溫嶠)를 의지했으며, 온교의 조언으로 무창(武昌)에서 주둔하던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 ·[[형주]][[자사 형주자사(荊州刺史관직)|자사]] [[도간 (동진)|도간]](陶侃)에게 구원을 요청하였다. 도간은 아들 도첨(陶瞻)이 소준에게 살해당한 것을 명분으로 유량과 협력하였으며, 소준이 거주하는 석두성을 공격해 329년 반란이 평정되었다.
 
소준의 난 토벌 이후 반란이 일어난 책임을 지고 중서령을 사직했으며, 후임에 동생 유빙(庾冰)을 천거한 뒤 스스로 평서장군(平西將軍) · 예주자사(豫州刺使)를[[예주]]자사를 맡아 무호(蕪湖)에 주둔하며 북방의 방어에 전념하였다. 이후 334년 도간이 사망하자 그의 후임으로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 · 형주자사(荊州刺史)를형주자사를 역임해 서부군단(西府軍團)을 지휘했으며, 북부군단(北府軍團)을 통솔하던 [[치감]](郗鑒)에게 편지를 보내 함께 조정에서 왕도를 몰아내자고 하였으나 치감이 반대하여 거병을 실행하지 않았다.
 
그 뒤 [[후조]](後趙)의 [[석륵]](石勒)이 사망하자 주둔지를 양양(襄陽)으로 옮겨 북벌을 꾀하였으나, 339년 북벌의 거점 역할을 하던 주성(邾城)이 후조의 [[석호]](石虎)에 의해 함락되면서 무산되었고 유량은 이에 책임을 지고 스스로를 안서장군(安西將軍)으로 강등시켰다. 같은 해 왕도가 사망하자 조정에서 유량을 [[사도 (관직)|사도]](司徒) ·[[양주 양주자사(揚州刺史안후이성) |양주]]자사· 녹상서사(錄尙書事)로 임명해 수도로 불러들이려 하였으나 유량은 이를 사양하였고, 이듬 해인 340년 사망하였다. 사후 [[태위]](太尉)로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강공(文康公)이다. 서부군단은 동생인 유익이 물려받았으며, 345년 유익의 사망 이후 [[환온]](桓溫)이 이를 계승하였다.
 
{{토막글|중국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