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삼국 시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 ?? 국왕<br />[[동명왕]]<br />[[잔왕]] || 28 국왕<br />[[동명성왕]]<br />[[보장왕]] || 읍군, 삼로 || 읍군, 삼로 || 다수
|-
| '''성립''' || [[기원전 2세기]] || [[기원전 37년]]<br />(주몽 졸본성 정착) || [[기원전 2세기3세기]] || [[기원전 3세기1세기]] || [[기원전 1세기]]
|-
| '''멸망''' || [[494년]]<br />(고구려에 합병) || [[668년]]<br />(평양성 함락) || [[1세기3세기]]<br />(고구려에 합병) || [[5세기6세기]]<br />(고구려에신라에 합병) || [[5세기6세기]]<br />([[신라]], [[백제]], [[가야]]로 각기 합병)
|-
|colspan=6 style="text-align:center;"|[[파일:History of Korea-001 ko.png|280px|border]]
21번째 줄:
{{한국사}}
 
'''원삼국 시대'''(原三國時代) 또는 '''열국 시대'''(列國時代)는 [[서력기원|기원]] 전후로부터 [[2세기|기원후 [[2세기]] 중반까지의 초기 [[철기 시대]] 이후를 말하며, 역사적으로는 [[고조선]]이 멸망 또는 쇠퇴하고 [[부여]]가 건국되는 시기부터 [[삼국 시대|삼국이 건립]]된 이후의 [[2세기]]에서 [[3세기]]에 걸친 시기에 해당한다.<ref>
국사교재연구회 편, 《한국사개설》, 학문사, 2000년.</ref> 한반도에서 철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기원전 300년부터 기원후 300년까지 600년을 원삼국이라 부르기도 한다.<ref name="korhist">
{{서적 인용
38번째 줄:
* [[부여]]([[동부여]], [[북부여]])
* [[고구려]]
* [[신라|사로국]](사로국)
* [[옥저]]([[동옥저]], [[북옥저]])
* [[동예]]
* [[삼한]]([[마한진한]], [[진한변한]], [[변한마한]])
* [[백제|십제]](십제국)
 
== 개관 ==
[[한사군|한의 군현]](郡縣)이 쇠퇴함에 따라 토착 사회의 여러 부족 국가는 통합의 추세를 보였다. 이런 형세 속에서 고대 국가로 등장하게 된 것이 이른바 [[신라]]·[[고구려]]·백제의[[백제]]의 삼국이었다. 그 당시 삼국은 각기 대륙의 [[남북조 시대|위진 남북조]](魏晉南北朝) 문화를 수용하고 문물제도를 정비하여 국가 체제를 갖추는 한편,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인 철기 문화를 재편성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삼국은 고대 국가적 체제를 갖출 때 동일한 세기 계층을 가진 것이 아니어서 고구려와 백제 사이에는 약 2세기, 고구려와 [[신라]]와는와 고구려는 약 3세기, [[신라]]와 백제와의백제의 사이에는 약 1세기 정도의 연차(年差)가 있었다. 이러한 연차는 곧 삼국이 부족 국가로 남아 있던 세년(歲年)의 길고 짧음을 비교케 하는 동시에 삼국 사회 발전의 지속상(持續相)을 엿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부여]] 계열의 일파로 고(故) 현도에서 일어난 [[고구려]]는 원래 주위에 많은 강적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과의 싸움 속에서 초기 부족 연맹을 형성하여 갔다. 6대 태조왕 때에는 부족 연맹 세력의 영도권이 확립되어 고대 국가 성립을 위한 일련의 노력을 기울였다.
61번째 줄:
십제 왕실은 고구려의 한 갈래로서 고구려의 시조 전설과도 관련이 있으나, 한강 유역에 고구려와 같은 6부족 조직의 기반이 없었기 때문에 고구려만큼 강력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사회가 지배 기구를 성립시킬 때, 자연히 낙랑·대방이 그 주위의 토착 사회에 준 영향력이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지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십제는 그 영역을 5방으로 나눠 정비할 때 고구려를 본받은 것 같으나 그렇지 않다. 즉 5방(五方)의 이름에서 부족명이 나타나지 않는다거나 8대성(八大姓)이 십제 왕실과 관련이 적은 세력이라든가가 그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관제에서도 고구려적인 성격보다 정비된 중국의 관제를 모방하여 6전(六典) 조직의 모습까지도 나타나고 있다.
 
동쪽의 고요한 나라였던 [[신라]]가 삼국의 세력 판도에 등장한 것은 고구려가 이미 그 절정을 맞이하려던 때였다.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발견에 의하면, 한국에서 청동기가 가장 많이 발견된 것은 대동강 유역과 경주 지역이다. [[신라]]는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박(朴)·석(昔)·김(金)씨의 시조 설화와 계보로 보아, 대략 3세기 전반에 강국으로 등장하였다. [[신라]]의 시조 설화는 고구려나 백제와는 달리 복잡하게 세가지로 나타나 있다. 이들 3성 부족이 [[경주|서라벌]] 일대에 자리 잡고 조직한 초기 부족 연맹에서는 박·석 양(兩) 부족이 토착적인 김부족(金部族)보다 우세하였으므로 부족 연맹장은 미추 이사금을 제외하고는 주로 박·석 양 부족에서 교대로 선출되다가 내물 마립간을 전후하여 김씨 세습권이 확립된 것 같다.
 
신라의[[신라]]의 6촌(六村)과 박·석·김 3부족과의 관계는 초기의 신라 부족 연맹이 박·석·김 3부족이 주체로 되어 있다가 다른 6부족과의 연맹관계로 성장하고, 그 뒤 3부족이 신라의 주체세력으로서 대연맹으로 확대되고, 고대 국가가 형성됨에 이르러서 주체부족들이 경주에서서라벌에서 귀족조직을 편성한 것이 6촌 설화로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신라]]는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박(朴)·석(昔)·김(金)씨의 시조 설화와 계보로 보아, 대략 3세기 전반에 강국으로 등장하였다. [[신라]]의 시조 설화는 고구려나 백제와는 달리 복잡하게 세가지로 나타나 있다. 이들 3성 부족이 경주 일대에 자리 잡고 조직한 초기 부족 연맹에서는 박·석 양(兩) 부족이 토착적인 김부족(金部族)보다 우세하였으므로 부족 연맹장은 미추 이사금을 제외하고는 주로 박·석 양 부족에서 교대로 선출되다가 내물 마립간을 전후하여 김씨 세습권이 확립된 것 같다.
 
신라의 6촌(六村)과 박·석·김 3부족과의 관계는 초기의 신라 부족 연맹이 박·석·김 3부족이 주체로 되어 있다가 다른 6부족과의 연맹관계로 성장하고, 그 뒤 3부족이 신라의 주체세력으로서 대연맹으로 확대되고, 고대 국가가 형성됨에 이르러서 주체부족들이 경주에서 귀족조직을 편성한 것이 6촌 설화로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논란 ==
고고학계에서 원초 삼국시대와 원사시대(Protohistory, [[선사시대]]와 [[역사시대]]의 중간)를 합해 규정한 용어가 '''원삼국 시대'''이다. 이 용어에는 우리 역사에서 이 시기에는 국가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뜻이 담겨 있고, 삼국시대 초기([[1세기]]~[[3세기]])를 부정하는 뜻이 된다.<ref name="korhist"/> 한편 명칭을 두고 고고학적으로 원삼국 시대에 나타나는 특징이 없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으나, 원삼국 시대라는 용어가 관행적으로 굳어져 용어가 하나로 통일되지는 않는다. '''열국 시대''' 또는 '''삼한 시대'''로도 불린다.<ref>〈[http://mnum.mokpo.ac.kr/yoonbo/07_1.asp 철기시대의 설정과 문제점] {{웨이백|url=http://mnum.mokpo.ac.kr/yoonbo/07_1.asp |date=20070929144539 }}〉, 최성락, 목포대학교 박물관, 1998년.</ref>
 
한편, 역사학계 비주류인 [[윤내현]]은 이 시기를 고조선의 제후국들이 독립하게 되어 작은 국가로 나뉘게 된다는 의미로 ‘열국 시대’로 지칭하고 있다. 그의 저술에 따르면 [[후조선]]의 왕 [[준왕|기준]]은 위만에게 왕권을 찬탈 당하여 바다를 건너 [[마한]]을 건국하며 고조선은 위만조선이라 일컫게 되었다고 한다주장한다. 그리고심지어 마한의 속국으로 [[진한]]과 [[변한]]이 건국되며, [[규원사화]]에서는 이 세력을 변진으로 부르며 고시(高矢) 씨의 후예로 본다고후예라고 주장한다. 작은 부족국가로 [[동예]]와 [[옥저]] 등이 건국되었다고 하며, 요서에 자리잡고 있던 고조선의 제후국인 [[숙신]](肅愼), [[예 (민족)|예]](濊), 옥저(沃沮) 등이 동쪽으로 이동하여 숙신은 [[아무르 강|흑룡강]]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읍루]]라 불리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예는 [[강원도]]에 정착하여 동예(東濊)라고 불리며, 옥저도 [[함경도]] 부근으로 이동하여 동옥저(東沃沮)라 불리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한편 [[대릉하]]에 자리잡고 있던 [[낙랑]]과 [[대방]]의 세력은 [[청천강]]과 [[대동강]]으로 이주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ref>윤내현, 《한국 열국사 연구》, 1999년.</ref> [[2020년]] 현재 해남 출신의 윤내현의 이와 같은 주장은 자의적인 사료 해석과 근거 부족을 이유로 일반적으로 학계에서 인정되지 않고 있다.<ref>송호정, 《단군, 만들어진 신화》</ref>
 
== 같이 보기 ==
줄 76 ⟶ 74:
* [[세 시대 체계]]
* [[한국의 고고학적 시대분류]]
* [[삼한]]
* [[부여]]
* [[동예]]
* [[옥저]]
* [[신라]]
 
== 각주 ==
줄 83 ⟶ 86:
{{역사 전후
| 나라 = [[한국]]
| 전 = [[고조선]] <br /> [[진국|진]]
| 후 = [[삼국 시대]]
| 현재문서 = 원삼국 시대
줄 92 ⟶ 95:
{{신라}}
 
[[분류:한국의 역사]]
[[분류:경상도의 역사]]
[[분류:한국의 고대사]]
[[분류:원삼국 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