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유전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수동 되돌리기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태그: 수동 되돌리기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1번째 줄:
[[파일:Pseudo gene schematic.png|섬네일|450px| 슈도진이 만들어지는 과정. DNA 복제과정의 실수나 DNA에 삽입된 RNA 절편을 예로 들고 있다.<ref name = "Max_1986">{{저널 인용| url = https://ncse.com/cej/6/3/plagiarized-errors-molecular-genetics | title = Plagiarized Errors and Molecular Genetics | vauthors = Max EE | journal = Creation Evolution Journal | volume = 6 | issue = 3 | pages = 34–46 | year = 1986 }}</ref><ref name = "Chandrasekaran_2008">{{저널 인용| vauthors = Chandrasekaran C, Betrán E | date = 2008 | title = Origins of new genes and pseudogenes. | journal = Nature Education | volume = 1 | issue = 1 | pages = 181 | url = http://www.nature.com/scitable/topicpage/origins-of-new-genes-and-pseudogenes-835 }}</ref>]]
 
'''.슈도진'''(Pseudogenes, 가짜 유전자)는 하나 이상의 이유로 기능을 상실하여 [[세포]]의 [[유전자 발현]]이나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지 않는 [[DNA]] 염기서열이다.<ref name="Biomed10.1186">{{저널 인용|vauthors= Vanin EF |title= Processed pseudogenes: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journal= Annual Review of Genetics |volume= 19 |pages= 253–72 |year= 1985 |pmid= 3909943 |doi= 10.1146/annurev.ge.19.120185.001345}}</ref> 슈도진의 발생은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누적된 결과로 나타나며 주된 발생 이유는 유전자의 중복 또는 누락이다.<ref>{{저널 인용|vauthors= Chang Y, Stuart A, et al. |title= Antigen presenting genes and genomic copy number variations in the Tasmanian devil MHC |journal= BMC Genomics |volume= 13:87 |pages= 87 |year= 2012 |doi= 10.1186/1471-2164-13-87|pmid= 22404855 |pmc= 3414760 }}</ref> 슈도진은 정상적인 유전자 발현 기능을 상실한 것이지만 때로는 부분적인 기능이 남아있어 [[비부호화 DNA]]와 비슷하게 유전자 발현을 [[유전자 발현 조절|조절]]하기도 한다. 슈도진은 [[유전자 다양성]]의 원인 가운데 하나이다. 많은 슈도진이 생리학과 병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ref name="pmid25391452">{{저널 인용|vauthors= Xiao-Jie L, Ai-Mei G, Li-Juan J, Jiang X |title= Pseudogene in cancer: real functions and promising signature |journal= Journal of Medical Genetics |volume= 52 |issue= 1 |pages= 17–24 |date= January 2015 |pmid= 25391452 |doi= 10.1136/jmedgenet-2014-102785}}</ref>
 
슈도진이라는 이름은 1977년 자크 C. 밀러 주니어가 쓰기 시작하였다.<ref name="pmid561661">{{저널 인용|vauthors= Jacq C, Miller JR, Brownlee GG |title= A pseudogene structure in 5S DNA of Xenopus laevis |journal= Cell |volume= 12 |issue= 1 |pages= 109–20 |date= September 1977 |pmid= 561661 |doi= 10.1016/0092-8674(77)90189-1}}</ref>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게놈]]에서 제외될 수 있고<ref name="Zheng">{{저널 인용|vauthors= Zheng D, Frankish A, Baertsch R, Kapranov P, Reymond A, Choo SW, Lu Y, Denoeud F, Antonarakis SE, Snyder M, Ruan Y, Wei CL, Gingeras TR, Guigó R, Harrow J, Gerstein MB |title= Pseudogenes in the ENCODE regions: consensus annotation, analysis of transcription, and evolution |journal= Genome Research |volume= 17 |issue= 6 |pages= 839–51 |date= June 2007 |pmid= 17568002 |pmc= 1891343 |doi= 10.1101/gr.5586307}}</ref> 종종 "쓰레기 DNA"(junk DNA)로 불린다. 슈도진은 별다른 기능 없이 계속해서 돌연변이를 겪기 때문에 생물의 [[진화]] 이력을 추적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위유전자'''(僞遺傳子)라고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