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성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4번째 줄:
*[[언양 김씨]](彦陽 金氏) : 초기 족보에 시조 '''김수'''(金壽)는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조에 신호위 별장 동정(同正 別將)을 역임했다. 이후 조선 후기 [[1784년]] 개성 어느 산기슭에서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명〉을 근거로 후손들이 [[경순왕]]의 제7자라는 '''김선'''(金鐥)을 시조를 소원(遡源) 시켰다. 그는 그는[[고려 태조]]의 외손(外孫)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 소생으로 [[고려]]조에 언양군(彦陽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삼척 김씨]](三陟 金氏) : 초기 족보에 시조 '''김위'''(金偉)는 [[경순왕]] 후예로, 고려조에 지양주사(知襄州事)를 역임했다.<ref>《씨족원류》·《증보문헌비고》·《조선씨족통보》등의 문헌에도 시조가 지양주사 '''김위'''(金偉)라 한다.</ref> 일설에 시조가 [[경순왕]] 손자 '''김위옹'''(金渭翁)으로 [[고려]]조 삼한벽상공신으로 실직군왕에 봉해지고 실직 일대를 식읍으로 받았다고 한다. 실직(悉直)은 [[삼척군|삼척]](三陟)의 고호라 한다.<ref>조선 후기 [[1784년]] 개성 어느 산기슭에서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명〉을 근거로 후손들이 [[경순왕]]의 제8자라는 '''김추'''(金錘)를 시조로 소원(遡源) 시켰다. 그는 [[고려]]조에 삼척군(三陟君)에 봉해졌다고 한다.</ref>
*[[나주 김씨]](羅州 金氏) : 시조 '''김운발'''(金雲發)은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조에 사정(司正)을 지냈다.<ref>일설에 고려조에 문하시중을 역임하고 나주군에 봉해졌다고 한다.</ref> 후손 '''김대경'''(金臺卿)이 [[나주시|안로현]](나주의 고호)에 유배되면서부터 후손들이 [[나주시|나주]]에 세거하게 되었다.<ref>《조선씨족통보》에 시조 '''김운발'''의 아버지는 [[경순왕]]의 계자(막내 아들)로 역사에 이름이 전하지 않는데, 나라가 망하자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이름을 [[범공]]이라 하고 [[해인사]]에 머물렀다가 죽었다고 한다.</ref> <ref>최근 들어 일부 후손들이 시조 '''김운발'''의 아버지인 [[경순왕]]의 막내 아들이 [[1784년]]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명》에 나오는 제2자 '''굉'''(鍠)(개명 '''황'''(湟))과 동일인이라 한다. 그러나 묘지명 원문에는 2자 '''김굉'''(개명 '''김황''')과 4자 '''김은열'''은 [[고려 태조]]의 외손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 소생으로 고려 조에 평장사를 역임하고 공이 있는 신하여서 특별히 장지를 성북 십리 밖 오룡산 남쪽 삼십리 주변을 하사해 주었다고 하였다.</ref> 후손 '''김대경'''(金臺卿)이 [[나주시|안로현]](나주의 고호)에 유배되면서부터 후손들이 [[나주시|나주]]에 세거하게 되었다.<ref>'''금성 김씨'''로 분적한 후손들이 '''김대경'''을 시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나주시|금성]]은 [[나주시|나주]]의 고호이다.</ref>
*[[구 안동 김씨]](舊 安東 金氏) : 시조 '''김일긍'''(金日兢)은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조에 태사대광(太師大匡)을 지냈다.<ref>일운 김일긍의 아버지 김숙승(金叔承)이 시조라 한다.</ref> 《김씨 분관록》에는 시조를 '''[[김방경]]'''(金方慶)이라 한다. 그는 고려 조에 [[삼별초]] 난을 평정하여 추충정난정원공신(推忠靖難定遠功臣) 상락공(上洛公)에 봉해지고 [[안동시|안동]](安東)을 식읍으로 받았으며, 충렬공(忠烈公)의 시호가 내려지고 숭의전(崇義殿)에 배향되었다. 혹칭 '''상락 김씨'''(上洛金氏)라고도 한다.
*[[수원 김씨]]((水原 金氏) : 시조 '''김품언'''(金稟言)은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조에 수성군(隨城君)에 봉해져 [[수원시|수원]](水原)으로 분적하였다. 수성은[[수원시|수원]]의 고호라 한다. 《김씨 분관록》에는 시조가 '''김변'''(金忭)이라 하며 그는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조에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져 수원으로 분적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