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상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Zorro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fa:مکتب سوداگری
ToePeu bot (토론 | 기여)
잔글 -ns:그림 +ns:파일
1번째 줄:
[[그림파일:Lorrain.seaport.jpg|thumb|<small>중상주의 정책의 절정기였던 1638년 프랑스의 항구 풍경</small>]]
'''중상주의'''(重商主義)는 [[세계 경제]]와 [[무역]]의 총량이 불변이라는 가정 아래 [[자본]]의 공급에 의해 [[국가 (사회)|국가]]가 번영을 일으킬수 있다는 [[경제 이론]]이다. 역사적으로는 [[15세기]]에서 [[18세기]]까지 [[유럽]]의 국가들에서 채택되었던 국내 산업의 보호와 해외 식민지 건설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경제 정책들 역시 '''중상주의''' 또는 '''중상주의적 경제체제'''라 불린다. 중상주의를 [[경제 체제]]와는 별개의 것으로 파악하는 일부 학자도 있으나 대부분 중상주의를 초기 [[자본주의]]와 동일한 것으로 파악한다.
 
== 역사 ==
[[그림파일:Jean-Baptiste Colbert.jpg|thumb|[[장밥티스트 콜베르]] ]]
[[피터 테민]]과 같은 일부 [[경제사|경제 사학자]]들은 초기 [[로마 제국]] 시기에 농업 경제의 발전 결과 이미 산업화, 도시화, 자본 시장의 발전과 같은 [[시장 경제]]를 이루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로마 시대에 이미 모든 종류의 [[재화]]를 취급하는 [[시장 (경제)|시장]]이 존재하였으며, 부동산이나 선박을 거래하는 시장뿐만 아니라 이미 [[보험]] 상품을 취급하는 시장도 있었기에 로마 제국의 경제가 [[산업혁명]] 이전의 [[18세기]] [[영국]]의 경제나 [[17세기]] [[네델란드]]의 경제와 비견될 만하다고 주장한다.<ref>
[http://econpapers.repec.org/paper/nufesohwp/_5F039.htm 피터 테민, 초기 로마 제국의 시장경제 (영문)]</ref>
39번째 줄:
 
== 비판 ==
[[그림파일:AdamSmith.jpg|thumb|<small>[[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은 많은 부분을 중상주의 비판에 할애하였다.</small>]]
중상주의에 대해 비판한 대표적인 경제학자는 [[애덤 스미스]]와 [[데이비드 흄]]을 들 수 있다. 애덤 스미스 이전에 이미 [[두들리 노스]], [[존 로크]], [[데이비드 흄]] 등에 의해 중상주의의 결점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또한 18세기로 들어서면서 중상주의는 인기를 잃고 있었다. 중상주의는 [[절대우위]]와 [[비교우위]]에 입각한 [[무역]]의 이득을 설명할 수 없었다.(이 개념은 1817년 [[데이비드 리카르도]]에 의해 성립되었다.) 비교우위에 입각한 무역 이론은 무역국 상호에게 모두 이득을 줄 수 있다는 것이었으며, 무역은 더 이상 [[제로-섬 게임]]으로 이해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포루투갈이 보다 좋은 포도주를 생산하고 영국이 싼 옷감을 생산한다면 두 국가는 무역을 통해 상호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이러한 이론 역시 [[죄수의 딜레마]]를 근간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