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청년당: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2번째 줄: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은 [[1918년]] 8월 중국 [[상하이]]에서 창립<ref>{{웹 인용 |url=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DGT4808976962171&barcode=4808976962171&prePageNo=1&prePage=193&keyword=%EC%8B%A0%ED%95%9C%EC%B2%AD%EB%85%84%EB%8B%B9&preTab=02&isDaumSearchRefer=false#tab_preview |제목=《바로 잡아야 할 우리 역사...1(역비의책 16)》 p187, 역사비평사 |확인날짜=2011-02-19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20065606/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DGT4808976962171&barcode=4808976962171&prePageNo=1&prePage=193&keyword=%EC%8B%A0%ED%95%9C%EC%B2%AD%EB%85%84%EB%8B%B9&preTab=02&isDaumSearchRefer=false#tab_preview |보존날짜=2013-10-20 |url-status=dead }}</ref> 된 독립운동단체로, [[1919년]] [[3.1 운동]] 전후에 크게 활약하였다.<ref name="독립운동사사전"/><ref name="사전">《한국근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년</ref> 당수는 [[여운형]], 6인의 발기인은 [[여운형]], [[한진교]], [[장덕수]], [[김철 (1886년)|김철]], [[선우혁]], [[조동호]]이었으며, 그 밖에도 [[1919년]] 4월에 [[서병호 (1885년)|서병호]], [[김구]], [[이광수]], [[신명호]]<ref>{{웹 인용 |url=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DGT4808982064449&barcode=4808982064449&prePageNo=1&prePage=163&keyword=%EC%8B%A0%EA%B7%9C%EC%8B%9D+%EC%8B%A0%ED%95%9C%EC%B2%AD%EB%85%84%EB%8B%B9&preTab=02&isDaumSearchRefer=false#tab_preview |제목=한국민족운동과 민족문제 |확인날짜=2011-03-09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20065923/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DGT4808982064449&barcode=4808982064449&prePageNo=1&prePage=163&keyword=%EC%8B%A0%EA%B7%9C%EC%8B%9D+%EC%8B%A0%ED%95%9C%EC%B2%AD%EB%85%84%EB%8B%B9&preTab=02&isDaumSearchRefer=false#tab_preview |보존날짜=2013-10-20 |url-status=dead }}</ref> 등 신한청년당에 가담해 활동하였다.<ref name="조직">[https://search.i815.or.kr/Degae/DegaeEbook.jsp?set_id=36141&total_df=372&pos=89 1910년대 국외항일운동Ⅱ-중국·미주·일본 - 제1부 1910년대 중국관내 항일운동 제3장 대동단결선언과 신한청년당 p89]</ref>
 
당의 강령은 대한독립·사회개량·세계대동 세 가지였다.<ref name="강령">[https://search.i815.or.kr/Degae/DegaeEbook.jsp?set_id=36141&total_df=372&pos=93 1910년대 국외항일운동Ⅱ-중국·미주·일본 - 제1부 1910년대 중국관내 항일운동 제3장 대동단결선언과 신한청년당 p93]</ref> [[1918년]] [[12월]] 독립청원서를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게 전달했으며, [[1919년]] [[1월]]에는 [[우사 김규식|김규식]]을 [[파리강화회의]]에 파견해 조선의 독립을 요구했다.<ref name="강령"/> 또한 도쿄, 연해주, 미주와도 긴밀한 연락망을 구축했다.<ref>당의 강령은~: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1. 해방 그 날이 오면》(한길사, 2004) 23쪽.</ref> 이 신한청년당의 활약으로 일본에서는 유학생들이 [[2·8 독립 선언]]을, 한국에서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3·1운동]]을 일으키는 진원이 되었다.<ref name="도올"/><ref name="광장">[http://www.agora4u.org/agora4u/board.php?board=adv&page=4&command=list&command=body&no=57 계간 광장. 3호.]</ref> 이 단체의 구성원들은 [[1919년]] [[4월 11일]]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축을 이루었다.<ref name="광장"/>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들어선들어서자 파리에 있는 김규식을 외무총장으로 임명, 독립청원서를 제출케 했다.이후 [[1922년]] 12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자진해산 명령에 의해 해체되었다.<ref name="도올"><<도올이 본 한국독립운동사 제10부 황포의 눈물>>-EBS</ref>
 
== 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