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김태서'''(金台瑞, ? ~ [[1257년]] [[6월 10일]])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김씨|전주]](全州)이다.문하시랑평장사 김봉모(金鳳毛)의 아들이며, [[김경손 (고려)|김경손]](金慶孫)의 아버지이다. 시호(諡號)는 문장(文莊)이다.
 
== 생애 ==
'''김태서'''(金台瑞)의 세계(世系)는 [[경주시|경주]]<ref>후대에 후손들이 [[전주 김씨]] 시조로 모시고 있다.</ref> 사람으로 세계는 [[신라]] 왕실에서 나왔다.<ref>《고려사》에는 김알지의 후예라 한다.《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ref>
 
아버지 김봉모(金鳳毛)는 용모와 태도가 아름다웠고, 여진어와 한어에 통달하여 매번 금(金)의 사신이 오면 반드시 그에게 접대하게 하여, 항상 동각에 거처하였다. [[고려 신종|신종]]때 추밀원부사에 임명되고 여러 번 벼슬이 올라 문하시랑평장사에 이르러 죽으니, 사흘 간 조회를 멈추었다. 시호를 정평(靖平)이라 하였다.<ref name="a">『고려사』 「김태서전」</ref>
과거에 급제한 후 [[고려 명종|명종]](明宗)·[[고려 신종|신종]]·[[고려 희종|희종]](熙宗)·[[고려 강종|강종]](康宗)·[[고려 고종|고종]](高宗)의 다섯 왕을 섬겼으며,<ref name="a">『고려사』 「김태서전」</ref>, [[1232년]](고종 19)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문과의 동지공거(同知貢擧)를 맡아, 문진(文振) 등 31명에게 급제를 준.<ref>『고려사』 「선거지」</ref> 이후, 관직이 수태보 문하시랑평장사(守太保 門下侍郞平章事)에 까지 올랐다가, 나이를 이유로 치사(致仕) 하였다.<ref name=a/>
 
과거에 급제한 후 [[고려 명종|명종]](明宗)·[[고려 신종|신종]]·[[고려 희종|희종]](熙宗)·[[고려 강종|강종]](康宗)·[[고려 고종|고종]](高宗)의 다섯 왕을 섬겼으며,<ref name="a">『고려사』 「김태서전」</ref>, [[1232년]](고종 19)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문과의 동지공거(同知貢擧)를 맡아, 문진(文振) 등 31명에게 급제를 준.<ref>『고려사』 「선거지」</ref> 이후, 관직이 수태보 문하시랑평장사(守太保 門下侍郞平章事)에 까지 올랐다가, 나이를 이유로 치사(致仕) 하였다.<ref name=a/>
 
그 뒤에 '오승적(吳承績)의 사건에 연좌'되어 집이 적몰(籍沒)되었으며, [[1257년]](고종 44) 졸하였다.
줄 13 ⟶ 15:
{{인용문2|“공(公)께서는 어찌하여 우리들의 생계를 빼앗습니까?”라고 했다.}}
 
그러나 장남 [[김약선]](金若先)이 [[최우|최이]]의 사위였기 때문에 유사(有司)에서 감히 탄핵하지 못했다고 한다못했다.<ref name=a/>
 
== 가족 관계 ==
줄 19 ⟶ 21:
*증조 : 김경보(金景輔, [[1069년]] ~ [[1150년]])<ref name=b>『김봉모 묘지명』</ref> : 북면도감판관
*조부 : 김세린(金世麟)<ref name=b/>, 초명 김작문(金作雯)<ref>『김경보 묘지명』에 기록된, 아들 이름이다.</ref>, 수사공 상서좌복야
**아버지 : 김봉모(金鳳毛, ? ~ [[1209년]]) : 감찰어사추밀원부사, 문하시랑동평장사, 판병부사, 태자태부문하시랑평장사, 정평공
**어머니 : 미상
***부인 : 병부상서·보문각학사·지제고 민식(閔湜, ? ~ [[1201년]])의 딸<ref>『씨족원류』</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