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성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9번째 줄:
=== [[김알지]]계 ===
*[[경주 김씨]](慶州 金氏) : 시조는 신라 대보공 '''[[김알지]]'''이다. '''신라 김씨''' 일부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경주시|경주]]를 본관으로 하여 분파하였다.<ref>[[경순왕]]이 [[고려]]에 항복 후 맞아들인 [[고려 태조]]의 첫째 딸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 및 아홉째 딸인 '''부인 왕씨''' 소생의 후손들이라 한다.</ref> 이들은 후대로 내려오면서 수십 개의 지파로 나누어졌다. 파조 이전의 상계는 각종 병란 및 외적의 침입 등으로 인해 문헌과 유적이 멸실되어 상고할 수 없다.
**벽상공신내사령공파​벽상공신내사령공파 : 파조 '''김예겸'''(金禮謙)은 [[고려]] 초 삼한벽상공신 내사령((三韓壁上功臣 內史令)을 역임하고 일파를 이루었다.<ref>후손 《김자류 묘지명 》(金子鏐墓誌銘. 1146년)에는 신라왕의 후예라 한다.</ref> <ref>《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3자로 추정되는 김영분(金永芬)의 후손이라 한다.</ref>
**평장사공파 : 파조 '''김봉모'''(金鳳毛)는 [[고려 신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정평공정평공의 시호를 받고 일파를 이루었다.<ref>《고려사》에 김알지의 후예라 한다.</ref> <ref>《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조선조 말에 발견된 《김은열 묘지명》에 등장하는 경순왕 4자로 추정되는 김은열의 그의 후손이라 한다.</ref>
**태사공파 : 파조 '''김인관'''(金仁琯)은 [[고려 예종]] 때 검교태자태사(檢校太子太師)를 역임하고 일파를 이루었다.<ref>《고려사》에는 [[헌강왕]]의 후예라 한다.</ref> <ref>《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또 《조선씨족통보》에는 경순왕의 후예 혹은 헌강왕의 7세손이라 한다.</ref>
**판도판서공파 : 파조 '''김장유'''(金將有)는 [[고려]] 말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하고 일파를 이루었다.<ref>《증보문헌비고》에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ref>
**장군공파 : 파조 '''김순웅'''(金順雄)은 [[고려]] 초 장군(將軍)을 역임하고 일파를 이루었다.<ref>《고려사》에는 [[원성왕]]의 후예라 한다.</ref> <ref>《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인 김은열(金殷說)의 후손이라 한다.</ref>
51번째 줄:
*[[울산 김씨]](蔚山 金氏) : 시조 '''[[김덕지]]'''(金德摯)는 신라 [[경순왕]] [[김부]]의 왕자로, [[935년]] 10월 부왕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려 할 때 불가함을 극력 간(諫)하였으나 받아들이지 않자 처자(妻子)를 버리고 형 [[마의태자|태자]]와 함께 [[금강산|개골산]]에 들어갔다. 이후 [[화엄종]]에 귀의하여 법수·[[해인사]]에 드나들며 망국(亡國)의 한을 달랬는데 승명이 [[범공]](梵空)이라 한다. 학성부원군(鶴城府院君)에 봉해졌다.<ref>학성(鶴城)은 [[울산]]의 별호라 한다. 이름은 사기(史記)에 전하지 않으나, 《하서 [[김인후]] 가장》·《김씨 분관록》·《증보문헌비고》등에 언급되어 있다.</ref>
*[[의성 김씨]](義城 金氏) : 초기 족보에 시조 '''김용비'''(金龍庇)는 [[경순왕]]의 후예로, 금자광록대부 태자첨사(太子詹事)를 지내고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졌다. [[의성군|의성]]의 고호가 문소(聞韶)인 관계로 혹칭 '''문소 김씨'''(聞韶 金氏)라고도 한다. 동생 수사공(守司空) '''김용필'''(金龍弼)도 분파하였다. 조선 후기 [[1784년]] 개성 어느 산기슭에서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명〉을 근거로 후손들이 [[경순왕]]의 제5자라는 '''김석'''(金錫)을 시조를 소원(遡源) 시켰다. 그는 [[고려 태조]]의 외손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 소생으로 [[고려]]조에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ref>경신보 간행 때 선계를 『경순왕-석-일-홍술-국-경진-언미-습광-공우-용비』(錫-逸-弘術-國-景珍-彦美-襲光-公瑀-龍庇)로 연결되는 8대를 소원(遡源) 시키고 올바르게 연결 했는지 모르겠다며 잘못이 없는지 두렵다고 하였다.</ref> <ref>시조 김석(金錫)에 대해서도 경순왕 4자설과 5자설이 있으며, 《의성김씨족보(義城金氏族譜)》등에는 경순왕의 4자로 기록되어 있으나, 최근 세보(世譜)인 《신라김씨 2천년사》·《조선씨족통보》·《동국만성보》·《신라김씨분파연원도》등에는 5자로 기록되어 있다.</ref>
*[[언양 김씨]](彦陽 金氏) : 초기 족보에 시조 '''김수'''(金壽)는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조에 신호위 별장 동정(同正 別將)을 역임했다. 이후 조선 후기 [[1784년]] 개성 어느 산기슭에서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명〉을 근거로 후손들이 [[경순왕]]의 제7자라는 '''김선'''(金鐥)을 시조를 소원(遡源) 시켰다. 그는 그는[[고려 태조]]의 외손(外孫)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 소생으로 [[고려]]조에 언양군(彦陽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삼척 김씨]](三陟 金氏) : 초기 족보에 시조 '''김위'''(金偉)는 [[경순왕]] 후예로, 고려조에[[고려]]조에 지양주사(知襄州事)를 역임했다.<ref>《씨족원류》·《증보문헌비고》·《조선씨족통보》등의 문헌에도 시조가 지양주사 '''김위'''(金偉)라 한다.</ref> 일설에 시조가 [[경순왕]] 손자 '''김위옹'''(金渭翁)으로 [[고려]]조 삼한벽상공신으로 실직군왕에 봉해지고 실직 일대를 식읍으로 받았다고 한다. 실직(悉直)은 [[삼척군|삼척]](三陟)의 고호라 한다.<ref>조선 후기 [[1784년]] 개성 어느 산기슭에서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명〉을 근거로 후손들이 [[경순왕]]의 제8자라는 '''김추'''(金錘)를 시조로 소원(遡源) 시켰다. 그는 [[고려]]조에 삼척군(三陟君)에 봉해졌다고 한다.</ref>
*[[나주 김씨]](羅州 金氏) : 시조 '''김운발'''(金雲發)은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조에 사정(司正)을 지냈다.<ref>일설에 그는 고려조에 문하시중을 역임하고 나주군에 봉해졌다고 한다.</ref> <ref>《조선씨족통보》에 시조 '''김운발'''의 아버지는 [[경순왕]]의 계자(막내 아들)로 역사에 이름이 전하지 않는데, 나라가 망하자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해인사]]에 머물렀다가 죽었다고 한다.</ref> 후손 '''김대경'''(金臺卿)이 [[나주시|안로현]](나주의 고호)에 유배되면서부터 후손들이 [[나주시|나주]]에 세거하게 되었다.<ref>'''금성 김씨'''로 분적한 후손들이 '''김대경'''을 시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나주시|금성]]은 [[나주시|나주]]의 고호이다.</ref> <ref>최근 들어 일부 후손들이 시조 '''김운발'''의 아버지인 [[경순왕]]의 막내 아들이 [[1784년]]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명》에 나오는 제2자 '''굉'''(鍠)(개명 '''황'''(湟))과 동일인이라 한다. 그러나 묘지명 원문에는 2자 '''김굉'''(개명 '''김황''')과 4자 '''김은열'''은 [[고려 태조]]의 외손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 소생으로 고려 조에 평장사를 역임하고 공이 있는 신하여서 특별히 장지를 성북 십리 밖 오룡산 남쪽 삼십리 주변을 하사해 주었다고 하였다.</ref>
*[[구 안동 김씨]](舊 安東 金氏) : 시조 '''김일긍'''(金日兢)은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조에 태사대광(太師大匡)을 지냈다.<ref>일운 김일긍의 아버지 김숙승(金叔承)이 시조라 한다.</ref> 《김씨 분관록》에는 시조를 '''[[김방경]]'''(金方慶)이라 한다. 그는 고려 조에 [[삼별초]] 난을 평정하여 추충정난정원공신(推忠靖難定遠功臣) 상락공(上洛公)에 봉해지고 [[안동시|안동]](安東)을 식읍으로 받았으며, 충렬공(忠烈公)의 시호가 내려지고 숭의전(崇義殿)에 배향되었다. 혹칭 '''상락 김씨'''(上洛金氏)라고도 한다.
*[[수원 김씨]]((水原 金氏) : 시조 '''김품언'''(金稟言)은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조에 수성군(隨城君)에 봉해져 [[수원시|수원]](水原)으로 분적하였다. 수성은[[수원시|수원]]의 고호라 한다. 《김씨 분관록》에는 시조가 '''김변'''(金忭)이라 하며 그는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조에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져 수원으로 분적하였다고 한다.
84번째 줄:
 
=== 흉노계 ===
[[몽골]]의 [[흉노족]] 출신 [[김일제]](金日磾)는 [[한 무제]]에게 김(金)씨를 사성 받았다. 후한 말 인물 [[김위김선 (후한)|김선]], [[김선김위]] [[김일제]] 후손이라고 전한다.
 
=== 여진족 ===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귀화한 야인(野人)들 중 조선에 귀화한 김씨 중 가장 많은 것은 [[여진족]]에 뿌리를 둔 김씨이다.
 
[[1887년]] 김창희가 저술한 《김씨 분관록》 및 《증보문헌비고》에는 야인(野人)들이 투항하여 귀화함에 성씨를 하사하여 갑산(甲山), 부령(富寧)으로 관향(貫鄕)을 하였다고 하는데, 현재 [[여진족]]을 시조로 하는 김씨는 하나도 없다. 이런 현상은 모화사상(慕華思想) 때문일 것이다. 족보가 우후죽순(雨後竹筍)처럼 나오기 시작한 시기가 조선 중기 이후 모화사상이 팽배해 있을 때였다. 당시 만주 오랑캐라고 하면 멸시의 대상이었다. 설사 [[여진족]]이나 [[거란족]] 귀화인을 조상으로 둔 귀화인이라고 하더라도 이를 감추었을 것이다.<ref>金丁鉉 姓氏연구가, [https://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1306100059 우리나라엔 金씨가 왜 그렇게 많을까] {{웨이백|url=https://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1306100059 |date=20160305110429 }}, 월간조선, 2013년 6월</ref>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조선 세종|세종]] 이전에도 김씨 성을 하사받은 [[여진족]]들이 있다. 김고시가물(金高時加勿) 김광수(金光秀) 김대첩목아(金大帖木兒) 김동개(金同介) 등이 그들이다.
 
조선에 귀순한 [[여진족]]들에게 김씨 성을 내린 것은 12세기 [[여진족]] 아골타가 세운 금(金)나라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귀화한 여진족으로 김씨 성을 가지고 관직에 나간 사람이 많이 있다. 광해군(光海君) 때는 [[여진족]]이 조선 어디서든 살 수가 있어서 곳곳에서 그들을 볼 수 있다는 기록이 있다.
97번째 줄:
[[조선 세종|세종]] 때 6진(六鎭)을 개척하면서 귀화한 [[여진족]] 수백 명에게 김씨 성을 하사했다. 《조선왕조실록》 세종·세조 때 기록에 나타난 귀화 [[여진족]]의 이름을 보면 다음과 같다.
 
*[[조선 세종|세종]] 때 : 김거파(金巨波) 김고도개(金古道介) 김구음파(金仇音波) 김권로(金權老) 김대두마(金大豆麻) 김도을온(金道乙溫) 김생아(金生阿) 김소응거(金所應巨) 김속응합(金速應哈) 김시구(金時具) 김아을사(金阿乙沙) 김오광아(金吾光阿) 김자환(金自還) 김파보하(金波寶下) 김파을대(金波乙大) 김희주(金希主) 등.
 
*[[조선 세조|세조]] 때 : 김걸도혁(金乞都革) 김공소(金公疎) 김교합(金咬哈) 김다롱합(金多弄哈) 김마상개(金麻尙介) 김우리개(金于里介) 김상미(金尙美) 김아도을치(金阿都乙赤) 김아라(金阿喇) 김아랑합(金阿郞哈) 김아을가(金阿乙加) 김역류(金易留) 김우두(金于豆) 김우허내(金右虛乃) 김유리가(金留里加) 김윤적(金允績) 김이랑합(金伊郞哈) 김인을개(金引乙介) 김입성(金入成) 김주창개(金主昌介) 김지하리(金之下里) 김차독(金箚禿) 김지칭가(金只稱哥) 김자라노(金者羅老).
 
* [[청나라]] 멸망 후 왕족이 만주족 성씨 애신각라(愛新覺羅, 아이신교로)에서 아이신이 금을 뜻하여 한식 성씨 김(金, 진)으로 바꾸어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다.<ref>최근 KBS에서 푸이의 성을 '''아이신줘러'''라고도 했다.</ref>
 
=== 중국계 ===
[[1887년]] 김창희가 저술한 《김씨 분관록》 및 《증보문헌비고》에 귀화한 중국인(中國人) 후예들이 대원(大元), 공주(公州)로 관향(貫鄕)을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 중국 태고 때 인물인 소호금천씨는 김(金)씨였다. 중국 한족(漢族) 김씨들의 상당 수는 소호금천씨를 시조로 모시기도 한다. [[한무제]] 어머니인 효경황후 왕지의 전 남편은 김(金)씨였다.
* [[초나라]]와 관련이 있는 [[오월]]의 전(錢)씨는 진와 유사하게 발음되고 뜻도 금과 같이 돈(황금)을 뜻하여 [[전류 (오대)|전류]]의 자손들이 김(金)으로 개성하였다. [[초나라]] 근(靳)도 진으로 발음되어 진(金)씨가 되었다고 믿어 지기도 한다. [[원나라]] 때 일부 호족에게 김씨로 재본성하였다. [[송나라]] 때 중국에 들어온 [[유태인]]들이 김(金), 리(李), 애(艾), 장(张)씨 성을 등을 득성했다고 한다. 김(金)의 중국 남방 지방 광둥어는 감, 금이다.
* 여남 김씨 족보에는 6세기 동위 문무관 '''김응'''이 왕에게서 김씨 성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중국 기록에는 구체적으로 등장하지 않아 실존 인물인지는 알 수 없다. 족보에 따르면 755년 [[동위]] 관리 김응 후손 김충(金忠)은 [[당나라]] 사신으로 일본에 다녀 오다가 경북 영덕에 표착하였다고 한다. 신라 [[경덕왕]]은 김충(金忠)에게 '''남민'''(南敏)이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 '''남민'''(南敏)은 신라 여성과 결혼하고 영양으로 이거하여 [[영양 남씨]]를 창본하였다. 아들 '''김석중'''(金錫中)은 영양에 옮겨 정착하여 [[영양 김씨]]를 창본하였다. 이후 세보가 소실되어 영양 김씨는 '''김충황'''(金忠晃)을 1세조로 하였다. 다른 문헌에 영양 김씨의 시조는 고려조에 전서를 지낸 '''김윤철'''(金允轍)이다.
 
=== 일본계 ===
158번째 줄:
* [[김해 김씨|김해]]
* [[사성 김해 김씨|사성 김해]]
 
=== ㄴ ===
* [[나주 김씨|나주]]
줄 172 ⟶ 171:
* [[도강 김씨|도강]]
* [[동래 김씨|동래]]
 
=== ㅁ ===
* [[명주 김씨|명주]]
줄 240 ⟶ 238:
* [[월성 김씨|월성]]
* [[은율 김씨|은율]]
* [[일선 김씨|일선 (선산)]]
* [[의성 김씨|의성]]
* [[완도 김씨|의성]]
{{col-5}}
 
=== ㅈ ===
* [[장연 김씨|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