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교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이 문서는 '''[[조선]]의 [[교육 제도]]'''(朝鮮-敎育制度)를 다룬다.
 
{{합병|조선의 교육기관|조선의 교육기관}}{{정리 필요}}
 
조선 시대에도 관료로서 출세할 수 있는 정상적인 방법은 우선 과거에 합격하는 데 있었으므로 자연히 교육도 과거의 준비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또한 과거의 고시 과목이자 건국 초기부터 정교(政敎)의 근본이념으로 채택된 유학(儒學)은 입신양명(立身揚名)의 유일한 도구로 양반 계급이 감독하였다. 따라서 교육도 대부분 과거의 응시자격을 구비하고 있는 양반의 자제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들은 대개 어릴 때 서당에서 유학의 초보적인 지식을 배우고 15~16세 이전에 서울은 [[학당]], 곧 4학(四學)에, 지방은 [[향교]](鄕校)에 들어가서 공부하여 몇 년 뒤에 과거의 소과(小科)에 응시, 여기에 합격하면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하는 자격을 얻었다.
 
== 성균관과 학당 ==
{{본문|조선의 교육기관}}
서울에 있는 성균관과 학당(4학)은 중앙 정부에 직속되고 향교는 각 주현(州縣)에서 관할하던 관학(官學)으로서, 상호간에 상하의 연락 계통이 서 있는 것은 아니었고, 각각 독립된 교육 기관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즉 성균관의 입학 자격은 생원(生員)·진사(進士)였지만 생원·진사는 사학이나 향교를 거치지 않아도 될 수 있었다. 또 성균관의 유생(儒生)에게는 문과(文科)<ref>대과(大科)</ref>에 응시하는 자격과 기타 여러 가지 특전을 주었으나 그렇다고 성균관을 거쳐야만 문과의 응시 자격이 부여되었던 것은 아니고 그밖에 사람들도 얼마든지 시험은 치를 수 있었다. 이들 관학 가운데서 성균관만은 말기까지 줄곧 최고 학부로서의 시설과 권위를 유지하였으나 사학과 향교는 후세에 점점 쇠퇴하여서 유명무실하게 되고 그 대신 사숙(私淑)으로서 [[서당]](書堂) 이외에 [[서원]](書院)이 기세를 떨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