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파일:Hunmin jeong-eum.jpg|섬네일|왼쪽|100px|[[훈민정음 언해]].]]
 
ㅇ받침은 훈민정음에는 종성이 없는 글자에 쓰는채워넣기 위한 글자였고, 지금의 ㅇ받침에 해당했던 것은해당하는 당시엔발음은 [[ㆁ]](옛이응)받침이었다받침으로 표기했다. 예를 들어 ‘{{첫가끝|솅조ᇰ}}’(世宗)의 첫글자는 ㅇ받침이므로 {{첫가끝|/셰/}}로 읽고 둘쨋글자는 옛이응 받침이므로 {{첫가끝|/종/}}으로 읽는 것이다. 하지만 [[[월인천강지곡]]》(1447) 등에서 ㅇ받침 대신 받침이 없는 글자를 쓰기 시작하면서 채워넣기 위한 ㅇ받침의 쓸모가 사라졌다. 이후 {{IPA|/ŋ/}}을 표현하기 위한 글자로 ㅇ받침과 ㆁ받침이 혼용되다가 17세기가 되어 ㅇ받침으로 합쳐졌다.
 
《[[훈몽자회]]》(1527)에서는 ㆁ의 발음 예시로 ‘{{첫가끝|ᅌᅵᄋ&#4467;ᇰ}}(異凝)’을, ㅇ의 예시로 ‘이(伊)’를 들었다.<ref>훈몽자회 [[:s:훈몽자회/諺文字母|언문자모 편]]</ref> 이것이 글자의 이름으로 굳어졌는데, 17세기에 ㆁ이 쓰이지 않게 되면서 ㅇ의 이름이 ‘이응’이 되었다. 또한 훈몽자회에서는 ㅅ 다음 순서에 ㆁ이 있었는데, ㆁ의 자리를 ㅇ이 차지하면서 ㅅ 다음에 ㅇ이 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