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성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 [[장성 서씨]](長城徐氏) 시조 '''[[서릉]]'''(徐稜)은 [[고려 고종]](高宗) 때 [[전라도]] 장성현(長城縣)의 효자이다.<ref>[http://db.history.go.kr/id/kr_121r_0030_0060_0010 《고려사》 권121 열전 권제34 효우(孝友) 서릉]</ref> 2015년 인구는 10,137명이다.
* [[연산 서씨]](連山徐氏)의 시조는 '''서준영'''(徐俊英)이나 이후의 문헌이 전하지 않아 서의민(徐義敏)을 1세조로 한다. 2015년 인구는 7,510명이다.
* [[남평 서씨]](南平徐氏) 시조 서호(徐顥)의 손자 '''[[서지 (1468년)|서지]]'''(徐祉, 1468년 ∼ 1537년)가 1498년(연산군 4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대사간,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EXM_MN_6JOa_1498_002064|서지}}</ref> 1985년 인구는 5,298명이다.
* [[평당 서씨]](平當 徐氏) 시조 서준방(徐俊邦)이 고려조에서 형부상서(刑部尙書)를 지내고 외적(外敵)을 격퇴시키는데 공(功)을 세워 봉성군(峯城君)에 봉해지고 그의 아들 서약진(徐若珍)과 손자 서숭조(徐崇祖)에 이르기까지 3대가 봉성군에 봉해졌다고 한다.
* [[봉성 서씨]](峯城 徐氏) 시조는 서극(徐克)이다.
17번째 줄:
== 대구 서씨 ==
{{본문|대구 서씨}}
'''[[대구 서씨]]'''(大丘 徐氏)의 시조 '''서한'''(徐閈)은 [[고려]]조에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냈다. 이후 계대가 실전되어 7세손 서익진(徐益進)을 중시조로 한다. 서익진의 증손자인 '''[[서거정]]'''(徐居正)이 1444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형조판서, 이조판서, 예문관 대제학 등을 역임하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으며, 좌찬성으로서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했다. 2015년 인구는 97,866명이다.
 
== 부여 서씨 ==
'''[[부여 서씨]]'''(扶餘 徐氏)의 시조는 [[백제]]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扶餘隆)이다. 그는 660년(의자왕 20)에 백제가 나당연합군에 패하면서 의자왕과 함께 당나라에 압송되었는데, [[당 고종]]이 본래의 성씨인 ‘부여(扶餘)’를 ‘서(徐)’씨로 바꾸고 웅진도독으로 삼아 본국으로 돌려보냈다고 한다. 그 후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태원군(太源君)에 봉해진 서존(徐存)을 1세조로1세조 받들고 [[부여군|부여]]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한다. [[부여 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03_233_0208|부여 서씨}}</ref> 인물로는 [[서익]],(徐益)의 증손자인 [[서필원]](徐必遠)있다1648년 문과에 급제하여 1671년(현종 12년) 병조판서에 이르렀다. 2015년 인구는 17,145명이다.
 
== 남양 서씨 / 당성 서씨 ==
'''[[남양 서씨]]'''(南陽 徐氏)의 시조 '''서간'''(徐趕)이 [[당나라]] 8학사(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경기도 당성(唐城)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서간(徐趕)의 12세손으로 교리(校理)를 지낸 서원길의 둘째 아들인 서득부(徐得富)가 [[당성 서씨]]로 분파하였다고 한다. 인물로는 [[조선]]시대 [[북인]] [[서경덕]], 교육부 장관을 지낸 [[서남수]] 등이 있다. 2015년 인구는 남양 서씨 1,725명, 당성 서씨 104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