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서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12.220.85.146(토론)의 28063042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되돌려진 기여
2번째 줄:
| 성씨 = 이천 서씨 (利川 徐氏)
| 관향 = [[경기도]] [[이천시]]
| 시조 = [[서신일]] (徐神逸)
| 집성촌 =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br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br>[[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br>[[전라남도]] [[무안군]]</br>[[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영등리</br>[[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br>[[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 [[마항리]]</br>[[함경남도]] [[고원군]] [[군내면]]</br>[[함경남도]] [[홍원군]]
| 인물 = [[서희]], [[원목왕후]], [[서일]] 등
10번째 줄:
| 비고 = [http://icheonseo.com/ 이천서씨 대종회]
}}
'''이천 서씨'''(利川徐氏)는 [[경기도]] [[이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아간대부(阿干大夫) [[서신일]](徐神逸)의 아들 [[서필]](徐弼), 손자 [[서희]](徐熙), 증손자 [[서눌]](徐訥) 등이 대대로 고려의 재상을 지냈다.
 
== 역사 ==
《고려사》에 따르면 [[통일신라]] 말 [[서신일]](徐神逸)이 교외에 살 때 사슴이 집으로 들어오자 화살을 뽑고 숨겨주었더니, 사냥꾼이 추격해 왔으나 잡지 못하고 돌아갔다. 꿈에 신인(神人)이 나타나 감사하며 “그 사슴은 바로 내 아들인데 그대 덕분에 죽지 않았으니 공의 자손으로 하여금 대대로 재상(宰相)이 되게 하리다.”라고 말하였다. [[서신일]]이 나이 80세에 [[서필]](徐弼)을 낳았고, [[서필]], [[서희]](徐熙), [[서눌]](徐訥) 3대가 고려의 재상(宰相)이 되어 [[내의령]](內議令)·[[내사령]](內史令)·[[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였으며, 배향공신이 되었다.<ref>[http://db.history.go.kr/id/kr_094r_0010_0010_0090 《고려사》 권94 열전 권제7]</ref>
 
[[서희]]의 아들 [[서유걸]](徐維傑)이 [[좌복야]](左僕射), 손자인 [[서정 (고려)|서정]](徐靖)이 [[판삼사사]](判三司事), 증손자인 [[서균 (고려)|서균]](徐鈞)이 [[우복야]](右僕射), 현손인 [[서공]](徐恭)이 [[평장사]](平章事)에 올랐으며, [[서순]](徐淳)은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를 역임하는 등 고려의 문벌 귀족으로 성장하였다. 고려 말기의 [[서견]](徐甄)은 조선이 건국된 뒤에도 충절을 지켜 끝내 벼슬에 오르지 않아 시흥의 [[충현서원]](忠賢書院)에 제향됐다.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22명을 배출하였다.
 
==본관 ==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후백제]]를 정벌하기 위해 한주(漢州)의 황무군(黃武郡)을 통과할 때 [[서목]](徐穆)이 왕건을 인도하여 강을 건너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리하여 ‘이섭대천(利涉大川)’에서 이천이라는 지명이 유래하였다.
 
===본관의 유래===
서목(徐穆)은 시조 서신일의 아우인 서신통의 아들이다. 그는 신라 말기에 벼슬에 뜻이 없어 남천(南川 : 현재의 경기도 [[이천]]) 효양산에 은거하고 있었다. 고려 태조 왕건이 대군을 이끌고 복하(福河)를 건너고자 할 때 큰 비가 내렸다. 강물이 불어 군대가 강을 건널 수 없어서 태조는 서목을 찾아가 강을 건널 방법을 물었다. 이에 서목이 군대를 이끌고 앞장서 강을 이롭게 건널 수 있도록 도왔다. 이 때문에 왕건은 남천(南川)을 이천(利川)으로 지명을 고치고 서목을 이천백(利川伯)으로 봉했다.<ref>利川徐氏敎理公派譜編纂委員會, 1989, 〈利川伯遺史〉, 《利川徐氏敎理公派譜》 卷之一, p.80~81</ref>
 
=== 본관 연혁 ===
이천부(利川府)는 [[고구려]] 때의 읍호(邑號)이며 멸오(滅烏) 또는 황무(荒武)라고도 한다. 568년 [[신라]] [[진흥왕]]이 고을을 부(府)로 승격시켜서 군주부(軍主簿)를 두었으며 [[경덕왕]] 때 한천(漢川)이라고 고쳤다. 그 뒤 935년 [[고려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하러 가는 길에 이 고을 사람 [[서목]](徐穆)이 태조를 인도해 복하(福河)의 큰 물을 이롭게 건넜다하여 이천(利川)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로되 태조가 군사를 이 고을에 주둔케 하여 역사(役事)를 할 때에 점을 쳐서 이로움을 얻었으므로 고을 이름을 [[이천]](利川)이라 이름지어 내렸다고도 한다. [[고려 인종]]은 감무(監務)를 두어 다스리게 하고 고종 때는 영창(永昌)이라 불렀으며 [[공양왕]]은 [[조비 신씨]](祖妣 申氏)의 고향이라 해서 남천군(南川君)으로 승격시켰으며 [[조선]]에 이르러 다시 감무를 두었다. 1444년 조선 세종(26년)에 이르러 호수(戶數)가 1000호 이상이 되므로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켰다. 1613년([[광해군]] 5년) 현으로 강등됐고, 1623년([[조선 인조|인조]] 1년) 다시 도호부로 승격됐다. 1895년([[대한제국 고종|고종]] 32년)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忠州府) 이천군으로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이천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음죽군이 폐지돼 이천군에 합병되었다. 1996년에 이천시로 승격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곳은 원래 서(徐), 신(申), 안(安), 한(韓), 장(張), 왕(王), 홍(洪), 황(黃)의 여덟 성씨가 살았는데 일곱 성은 모두 전해 내려오는 바가 없으며 오직 서씨만이 뒤를 이어 내려오고 있다.<REF>利川徐氏敎理公派譜編纂委員會, 1989, 〈利川府建置沿革錄〉, 《利川徐氏敎理公派譜》 卷之一, p.71-72</REF>
 
== 분파 ==
* 상서공(尙書公) 6세손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9세손 휘린(鱗) 병부상서공파(兵部尙書公派)</BR>
* 상서공(尙書公) 13세손내사령(內史令) 휘연서희(徐熙) 16세손 연(演) 강호공파병부상서공파(兵部尙書公派) 강호공문중(江湖公門中)</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7세손 휘념(恬) 문한공파(文翰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10세손 휘선(選) 공도공파(恭度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후손 공도공(恭度公) 서선(徐選) 10세손 휘기(起) 문목공파(文穆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8세손 휘윤(玧) 시랑공파증시랑공파(侍郞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10세손 휘보(輔) 전서공파(典書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13세손 휘호(皞) 사인공파(舍人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현손(玄孫) 휘광(珖) 예빈공파(禮賓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증손(曾孫) 휘익(翼) 부령공파증부령공파(副令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8세손 휘학종학종(鶴踵) 참봉공파역참봉공파(參奉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7세손 휘첨(詹) 소윤공파(少尹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6세손 휘릉(稜) 절효공파(節孝公派)</BR>
* 상서공(尙書公) 2세손내사령(內史令) 휘눌서희(徐熙) 6세손 릉(稜) 후손 휘영우((諱永佑) 원숙공파목사공파(元肅節孝公後牧使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2세손 눌(訥) 원숙공파(元肅公派)
* 서령공(署令公) 7세손 휘유(諱愈) 양경공파(良景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후손 서령공(署令公) 서유위(徐惟偉) 7세손 휘척(諱陟) 창사공파양경공파(倉使良景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후손 서령공(署令公) 서유위(徐惟偉) 7세손 휘진(諱晉) 교리공파창사공파(校理倉使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후손 서령공(署令公) 서유위(徐惟偉) 7세손 진(晉) 교리공파(校理公派)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후손 교리공(校理公) 후손서진(徐晉) 후손 휘인원(諱仁元) 명암공파(嗚嚴公派)</BR>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11세손 신(信) 목사공파(牧使公派)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11세손 유(逾) 비인공파(庇仁公派)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후손 직장공파 (直長公派)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후손 사직공파 (司直公派)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후손 부사공파(府使公派)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후손 판서공파(判書公派)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후손 평장공파(平章公派)
* 상서공(尙書公) 내사령(內史令) 서희(徐熙) 후손 현령공파(縣令公派)
 
== 인물 ==
* [[서필]](徐弼, 901년 ~ 965년) : 서신일이 80세에 낳은 아들. 고려초 도필(刀筆)로 출사했고, 광종(光宗) 때 내의령에 이르렀다. 광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정민(貞敏)이다.
* [[서희]](徐熙, 942년 ~ 998년) : 서필의 아들. 960년(광종 11) 갑과(甲科)로 과거에 급제하여 광평원외랑(廣評員外郞)을 거쳐 내의시랑(內議侍郞)이 되었다. 993년(성종 12) 대군을 이끌고 침입한 거란의 장수 소손녕(蕭遜寧)과 담판해 물리쳤다. 994년 평장사(平章事)로 청천강 이북의 여진족을 축출하였다.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郎平章事)를 거쳐 태보(太保)·내사령(內史令)에 이르렀다. 시호는 장위(章威)이다. 1027년(현종 18)에 성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 [[서눌]](徐訥, ? ~ 1042년) : 서희의 아들. 996년(성종 15)에 갑과로 급제하고, 국자좨주 지이부사(國子祭酒知吏部事)를 지내다가 딸이 고려 현종의 제6왕비 [[원목왕후]](元穆王后)가 되자 1022년 중추사 우산기상시(中樞使右散騎常侍)에 올랐다. 덕종 때 검교태사(檢校太師)가 되고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에 올랐으며 정종(靖宗) 때 판도병마사(判都兵馬使)가 되었다. 정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원숙(元肅)이다.
* [[서공]](徐恭, ? ~ 1171년) : 서희의 현손으로서 음보로 출사하여, 양계병마사(兩界兵馬使)를 역임하고, 평장사(平章事)에 이르렀다.
* [[서유]](徐愈, 1356년 ~ 1411년) : 우부승지로서 이방원을 도와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고, 예조판서에 이르렀으며, 1410년 이성군(利城君)에 봉해졌다.
* [[서선 (조선의_문신)|서선_]](徐選, 1367년 ~ 1433년) : 1396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1427년 형조판서에 올랐으며, 1431년 좌군도총제가 되었다. 시호는 공도(恭度)이다.
* [[서지 (1468년)|서지]] (徐祉, 1468년 ~ 1537년) : 1498년에 문과에 급제하고,1520년 대사간(大司諫)에 올랐으며, 동지중추부사·동지성균관사·형조판서·지의금부사·지중추부사·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1536년 공조판서에 제수되었다
* [[서일]](徐一, 1881 ~ 1921년) :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을 조직하고 총재로 추대됐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다.
 
== 족보 ==
이천 서씨의 족보는 1524년 《갑신보(甲申譜)》가 최초로 발간발간됐다.<ref>利川徐氏敎理公派譜編纂委員會, 1989, 〈甲申譜跋文〉, 《利川徐氏敎理公派譜》 卷之一, p.18~21</ref>되었고

1763년 이천서씨 족보인 《계미보서(癸未譜序)》를 발간했다.<ref>利川徐氏敎理公派譜編纂委員會, 1989, 〈癸未譜序〉, 《利川徐氏敎理公派譜》 卷之一, p.28-31</ref>
 
== 항렬자 ==
줄 55 ⟶ 92:
|-
|}
 
== 같이 보기 ==
* [[달성 서씨]]
* [[대구 서씨]]
* [[남평 서씨]]
* [[부여 서씨]]
* [[연산 서씨]]
* [[장성 서씨]]
 
== 각주 ==
<references/>
{{각주}}
 
==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