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711
번
잔글 (Robot: Automated text replacement (-[[Category +[[분류)) |
편집 요약 없음 |
||
'''이웅'''(李雄, [[274년]] ~ [[334년]], 재위:[[304년]] ~ [[334년]]. 다만 [[304년]] ~ [[306년]]은 성도왕, [[306년]]부터 황제를 칭함)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의 [[성한]]의 초대 황제. 자는 중준(仲儁), 묘호는 태종(太宗). 시호는 무제(武帝).
== 생애 ==
[[274년]], 파족의 지도자로, [[성한]]의 실질적 건국자인 이특(李特)의 제3자로서 태어난다. [[303년]], 숙부 이류(李流)의 뒤를 이어, 대장군 익주목을 자칭. 아버지를 죽인 익주자사 나상을 물리치고 성도를 탈환, 익주를 거의 제압했다. 이후에 익주의 현자 범장생(范長生)을 옹립할려고 도모하지만, 당사자로부터 거절 당한다.
[[304년]], 부하의 여러 장군의 청원을 받아 성도왕(成都王)을 칭해, 건흥의 연호를 세워 서진으로부터 완전하게 자립했다. 이것은 동년 흉노의 유연이 한왕을 칭한 것과 함께, 오호 십육국 시대의 개막을 나타내는 중대한 사건이다.
[[306년]], 승상을 임명한 범장생으로부터의 권유에 따라 제위에 대해, 국호를 대성(大成)으로 정하였다. 내정을 범장생등에 맡겨 관용과 간소한 정치를 유의한 결과, 전란의 세상에 대하고, 재위 30년간 익주의 안정을 가져왔다.
[[334년]], 61세때 사망를 했다. 친자식이 아니고, 현명한 조카 이반(李班)을 태자로 정했지만, 친자식들의 반발을 사, 이것이 성한의 쇠망을 부르는 원인이 된다.
|
편집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