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생물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번역 확장 필요|en|genus}}
{{생물 분류표}}
'''속'''(屬, genus)은 [[생물 분류]] 단계 중 하나로, [[과 (생물학)|과]]의 아랫 단계이자 [[종 (생물학)|종]]의 윗 단계이다. 살아있는 생물이나 [[화석]] 뿐 아니라 [[바이러스 분류|바이러스의 분류]] 단계이기도 하다.<ref name="ICTV">{{Cite web|url=https://talk.ictvonline.org/taxonomy/w/ictv-taxonomy|title=ICTV Taxonomy|last=|first=|date=2017|publisher=[[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accessdate=May 29, 2018}}</ref> 생물의 [[학명]]을 표기할 때에는 주로 [[이명법]]을 사용하는데, 이 때 속이 앞에 오고 종이 뒤에 온다. 이 때 생물의 속을 나타내는 이름을 '''속명'''(generic name)이라 하며, 학명을 표시할 때에는 항상 대문자로 시작한다. 예를 들어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는 [[사람속]](''Homo'')에 속하는 생물을 나타낸다.
'''속'''(属, genus)은 [[생물 분류]] 단계 중 하나로 [[과 (생물학)|과]]의 아래이고 [[종 (생물학)|종]]의 위이다.
 
근연종 집단간에 구별할 만큼 큰 차이가 있는 경우 이를 묶어 별개의 속으로 나누는데,<ref>{{웹 인용|url=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6205|제목=속|성=|이름=|날짜=|웹사이트=두산백과|출판사=|언어=ko|확인날짜=2020-11-28}}</ref> 그 기준은 [[분류학|분류학자]]들마다 서로 다르다. 그렇다고 해서 통용되는 기준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어떤 근연종들을 새로운 속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ref>{{cite journal|title=How big is a genus? Towards a nomothetic systematics|journal=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last=Sigward|first=J. D.|last2=Sutton|first2=M. D.|url=https://pure.qub.ac.uk/portal/en/publications/how-big-is-a-genus-towards-a-nomothetic-systematics(939fc3e3-9067-4729-bd2a-23b32adfd556).html|year=2018|volume=183|issue=2|pages=237–252|doi=10.1093/zoolinnean/zlx059|last3=Bennett|first3=K. D.}}</ref><ref>{{cite journal|title=Phylogeny of titmice (Paridae): II. Species relationships based on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b gene|journal=Auk|last=Gill|first=F. B.|last2=Slikas|first2=B.|year=2005|volume=122|issue=1|pages=121–143|doi=10.1642/0004-8038(2005)122[0121:POTPIS]2.0.CO;2|last3=Sheldon|first3=F. H.}}</ref>
{{생물 분류 계급}}
 
# 한 [[조상]][[분류군|군]]으로부터 내려온 [[단계통군]]들의 경우 하나의 속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유사하지 않은 종까지 포함해서 너무 넓게 확장되어서는 안된다.
# [[생태학]], [[형태학 (생물학)|형태학]], [[생물지리학]] 등을 고려할 때 충분히 비슷해야한다.
 
이렇게 분류한 결과 같은 속에 속하는 생물끼리 [[염기서열]]이 비슷한 양상을 띈다.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는 속의 갯수는 대략 31만개에 달하며, 매년 2,500여개의 속이 세로 제안되고 있다.<ref>{{cite journal|title=All genera of the world: an overview and estimates based on the March 2020 release of the Interim Register of Marine and Nonmarine Genera (IRMNG)|journal=Megataxa|last=Rees|first=Tony|last2=Vandepitte|first2=Leen|url=https://www.mapress.com/j/mt/article/view/megataxa.1.2.3/39250|year=2020|volume=1|pages=123-140|doi=10.11646/megataxa.1.2.3|last3=Vanhoorne|first3=Bart|last4=Decock|first4=Wim|doi-access=free}}</ref>
 
== 어원 ==
Genus라는 단어는 종류, 기원을 의미하는 라틴어인 genus에서 유래한 것이다.<ref>{{Cite Merriam-Webster|genus|accessdate=2019-03-19}}</ref><ref>{{OEtymD|genus}}</ref> 프랑스의 식물학자 [[조제프 피통 드 투른포르]]가 현대적인 의미로 genus를 처음 사용하고, 이후 [[칼 폰 린네]]가 1753년 《식물의 종''<sub>Species Plantarum</sub>''》을 펴내면서 계통의 한 단계로써 그 개념을 공고히 했다.<ref>{{cite book|title=Plant Taxonomy: The Systematic Evaluation of Comparative Data|last=Stuessy|first=T. F.|year=2009|edition=2nd|publisher=[[Columbia University Press]]|location=[[New York, New York]], US|page=42|isbn=9780231147125}}</ref>
 
이후 [[이토 케이스케]]가 《태서본초명소<sub>泰西本草名疏</sub>》에서 린네의 분류법을 소개할 때에는 류(類)로 번역되었다가, [[우다가와 요안]]이 《식학계원<sub>植学啓原</sub>》에서 속(屬)이라는 번역어를 제시한 후 현재까지 계속 사용되고 있다.
 
== 각주 ==
{{각주}}{{생물 분류 계급}}
{{토막글|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