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다른 뜻|고려어 (고대어)}}
'''고려말'''({{llang|ru|Корё мар|코료 마르}}) 또는 '''중앙아시아 한국어중앙아시아고려말'''은, [[고려인]]이 사용하는 [[한국어]]의 방언으로, 주로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등을 포함한 [[구소련 국가]]에서 사용된다. 이주자들의 출신지상 [[동북 방언]]을 바탕으로 하며, 음운을 제외하면 매우 가깝다. 현재오늘날, 소수수적은 고령층을 제외한 고려인 거의 대부분이 [[러시아어]]를 모어로 사용하며삼으며, 고려말은 사실상 [[소멸위기언어]]에 속한 상태이다.
 
[[육진 방언]]을 위시한 모든 동북 방언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서로 유사하나,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차용어가 많은 것은 물론, 음운이 다소 변형되었으며 문법 역시 비교적 간략화되었다.
 
== 명칭 ==
고려말 화자들은 고려말({{lang|ru|корё мар|코료마르}})을 '''고레말'''({{lang|ru|коре мар|코레 마르}}), '''고레마리'''({{lang|ru|коре мари|코레 마리}}) 등으로 부른다. 러시아를 비롯한 구소련 국가에서는옛소련권에서는 고려말을 '''코료 마르꼬료마르'''({{lang|ru|корё мар}})나 '''코료 말꼬료말'''({{lang|ru|корё маль}})로 부르는데, 전자는 [[고려인]]의 발음에 따른 표기이며, 후자는 한국어 낱말의 의미를 고려한 표기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중앙아시아]] 한국어'''나 '''[[독립국가연합]] 한국어'''로 부르기도 한다.
 
== 역사 ==
1937년 [[고려인의 강제 이주]] 후 고려말은 육진 방언을육진방언을 바탕으로 여러 지역의 [[동북 방언|동북방언]]이 뒤섞여 방언차가 수평화된 [[코이네 언어|코이네]] 형태로 발전했다.<ref name=":0">{{저널 인용|제목=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자료와 연구|저널=인문논총|성=곽충구|url=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29722/1/Inmun_v58_231.pdf|연도=2007|권=58|쪽=231-272}}</ref> [[육진 방언]] 및 여러 [[동북 방언]]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은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조선말]]과 같으나, 고려말은 [[한국어]]와 격리되어 일종의 언어 [[월경지]]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해왔기 때문에,<ref name=":0" /> 다른 [[한국어]] 방언과의 의사소통이 쉽지 않다. 특히나 19세기 이후 한국어의 문어와 구어가 급변하였으나 고려인들은 이로부터 격절되어 고려말은 주로 구어로만 쓰였기 때문에, 동북 방언이 교육 보급 등으로 다소 표준어화를 겪고 있는 데 반해 현재에도 옛말을 꽤 보존한다.<ref name = "encykorea">[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2192 고려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구소련 국가에서는구소련국가에서는 1938년에 모든 [[한국어고려말]] 교육을 폐지하였으며, 현재 고려인 거의 대부분은 러시아어가 모어이다.<ref>{{저널 인용|제목=중앙아시아에서의 한국인과 다민족 환경: 유라시아주의 경험|저널=제1회 세계한국학대회 논문집: 한국문화 속의 외국문화, 외국문화 속의 한국문화|성=한|이름=발레리|url=http://congress.aks.ac.kr/korean/files/2_1358732027.pdf|연도=2002|권=2|쪽=731-740|asin=B005V1NCLC|확인날짜=2016-12-30|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1230231608/http://congress.aks.ac.kr/korean/files/2_1358732027.pdf|보존날짜=2016-12-30|url-status=dead}}</ref> 고려말은 현재오늘날, 소수의 고령층만 쓰고 있는 [[소멸위기언어]]이다.
 
== 사용자 ==
34번째 줄:
 
== 표기 ==
고려인들은 보통 고려말을 문자로 표기하지 않는다. [[소련]] 시절의 고려인들은 [[문화어]] 표기법을 따르는 경향이 있었으며, [[소련의 붕괴]] 이후에는 [[문화어]]와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 표기법을 모두 쓰고 있다쓰고있다.
 
원래, 한국어는 [[한글]]로 표기되나, 중앙아시아에선 간혹 [[키릴 문자]]로도 표기된다. [[송 라브렌티]] 같은 일부몇몇 작가들은지은이들은 [[한글]]로 작품을 쓰기도 했다.<ref>Phil Kim. ''[https://web.archive.org/web/20050729080153/http://www.aks.ac.kr/EngHome/files/lit6.htm%7CForced Deportation and Literary Imagination]''.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5</ref> [[1930년대]] 후반에 정부 기관들과정부기관들과 언어학자들이 [[로마자 표기법]]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큰 성과를 내지 못했다.<ref>German Kim.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63513/1/seoul_J_v.6_125.pdf|The History, Culture, and Language of Koryo Saram]''.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1993</ref>
 
== 음운 ==
고려말은 [[동북 방언동북방언]]의 음운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가지고있어 고어적 특징을 보이는 한편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더 다양한 음운변화를 겪었고 자모음 체계는홀닿소리체계는 상당히 단순화되었다. 많은 자음들이닿소리들이 [[러시아어]]처럼 발음되는데, [[ㅅ]]/sʰ~ɕʰ/은 /s/와 /ɕː/로, [[ㄹ]]/l~ɾ/은 /r/, /ɫ/, /lʲ/로 발음이 된다발음된다.<ref>Oksana Tromfimenko. ''[http://www.academia.edu/3176808/%D1%84%D0%BE%D0%BD%D0%B5%D1%82%D0%B8%D1%87%D0%B5%D1%81%D0%BA%D0%B8%D0%B5_%D0%BE%D1%81%D0%BE%D0%B1%D0%B5%D0%BD%D0%BD%D0%BE%D1%81%D1%82%D0%B8_%D0%BA%D0%BE%D1%80%D1%91_%D0%BC%D0%B0%D1%80|Фонетические особенности диалекта корё мар — С.6.]''</ref>
 
또한 고려말에서는 [[ㅣ]]([[и]]) 앞에 [[ㄱ]]([[к]])가 올 경우 [[ㅈ]]([[ч]])로 발음한다. 이는 동북 방언의 특징이다.
226번째 줄:
 
== 수사 ==
고려말고려말수사에는 수사에는 고유어 체계와고유어체계와 [[한국어의 한자어|한자어]] 체계가 있다. 로스 킹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한국어문학 교수는 고유어한국어문학교수는 체계에서는고유어체계에서는 10의 자리에 특유의 접미사 '던(тон)'을 붙여 나타낸다는 것을 찾았다.
 
{| class="wikitable" width="30%"
308번째 줄:
{| class="wikitable"
|-
! 표준 한국어표준한국어 || 고려말
|-
| 고양이 || 고:애
328번째 줄:
| 기차 || 부술기
|-
| 화장실・위생실 || 분까:이
|-
| 여자 아이여자아이・계집아이 || 색아
|-
| 남자 아이남자아이・사내아이 || 선슨아
|-
| 이제는 || 어전
347번째 줄:
|}
 
| '''2.''' 러시아어로부터러시아어로부터의 차용된 낱말들온말<ref>김필영 2004, 38-39</ref>
{| class="wikitable"
|-
! 표준 한국어표준한국어 || 고려말 || 러시아어
|-
| 신문 || 가제따 || газета
377번째 줄:
|}
 
| '''3.''' 기타그밖의 외국어 단어들온말<ref>김필영 2004, 39-40</ref>
{| class="wikitable"
|-
384번째 줄:
| 잔 || 따깐 || [[러시아어]] стакан
|-
| 러시아인・로씨야사람 || 마우자, 마우재<ref>김필영 2004. [[고려인]] 2세대부터는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마우댜'라고 발음한다.</ref> || [[한국어의 한자어|한자어]] 毛子
|-
| 성냥 || 비지깨 || [[러시아어]] спич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