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오반드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Deobandi"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차이 없음)

2020년 12월 8일 (화) 16:44 판

데오반드파(-派)는 19세기 후반 인도의 데오반드 마을의 다르울울룸 이슬람 신학교를 중심으로 결성된 수니파(주로 하나피파) 이슬람[1][2] 내 이슬람 부흥운동이다. [3][4][5] 신학교는 1857-58년 세포이 항쟁[6][7]이 일어난 지 8년 만인 1866년 무함마드 카심 나노타비, 라시드 아흐마드 간고히, 그 밖의 여러 인물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복합 민족주의 교리의 전파를 통해 인도 독립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8] [9] [10]

Deobandi
Darul Uloom Deoband Logo.svg
종교
Sunni Islam
경전
Quran, Hadith, and Sunnah
다르울울룸


데오반드 학파는 초기에는 평화적 갈림길에서 기독교 및 힌두교 학자들과의 종교간 논쟁을 벌였고,[3] 설립 초기 단계에서는 당시의 데오반드 철학자들이 힌두교, 기독교, 무슬림의 단결을 이야기했기 때문에 운영비는 힌두교도가 일부 부담했다고 한다. 다문화주의와 인도의 분할에 대한 반대,[10] 현재의 살라피스트적 입장과 이슬람 근본주의와는 크게 다르다.

현재 주로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를 중심으로 한 데오반드 운동은 영국[11]으로 확산되어 남아공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12] 파키스탄과 아프간 지부와 원래의 인도 마드라사는 인도-파키스탄 국경과 관련된 정치적 이유로 '인도 분할' 이후 접촉이 훨씬 적었다.[3]


데오반드 운동은 예언자 시대에 실천된 대로 이슬람의 기본을 되찾고자 하며, 도덕적이고 물질적인 서구화 영향으로부터 그것을 정화하기를 희망한다.[13] 살라프파[13] 또는 비 살라프파[13]로 묘사되어 왔지만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살라프파의 영향을 받았다.[3] 데오반드 학파의 설립자들, 즉 무함마드 카심 나노타비와 라시드 아흐마드 간고히는 이슬람 학자의 종교-정치적 교리에서 영감을 이끌어 냈고, 무자드 샤 왈리울라[4]도 와하비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았다.[4]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 일부 데오반드 추종자는 사우디 아라비아로부터 많은 자금을 지원받았다.[14] 파키스탄 정부는 (카슈미르에서) 소련과 인도와 싸우기 위해 일부러 데오반드파에 전투성을 배양했다. 공급된 돈과 총은 후에 시민 갈등을 부채질했다.[15] 최근에는 국방주택청과 같은 파키스탄의 시설들이 공공주택단지 내 이슬람 사원의 다른 종파 이맘을 임명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데오반드 운동의 추종자들은 매우 다양하다. 어떤 사람들은 비폭력을 옹호하고 어떤 사람들은 파키스탄 탈레반(TTP)과 같이 전투적이다. TTP, SSP, 라슈카레 타이바 등 데오반드 무장세력.[16] 라호르의 다르바르, 카라치의 압둘라 샤 가지 묘, 발루치스탄의 칼 마가시, 페샤와르의 라만 바바 묘 등 바렐비 운동의 수니파 무슬림에게 거룩한 수피 유적지를 공격해 파괴했다. 다양한 바렐비 지도자들의 살해도 데오반드 무장세력에 의해 저질러졌다. 일부 데오반드 지도자들은 반시야 및 무장단체와도 유대관계를 맺고 있으며, 무장단체를 모집하고 있다; 다른 디반디 지도자들은 그러한 활동이 파키스탄 정치를 그들의 종교에 침입하는 것과 같은 것을 분개한다.[15][17] 다르울울룸 데오반드는 탈레반의 시민적 행동을 일관되게 지지해 왔으나[18] 2000년대 이슬람 테러리즘을 거듭 규탄하며 2008년 이에 대한 파트와를 내놓았다.[3]

  1. Commins, David (2009). 《The Wahhabi Mission and Saudi Arabia》. New York: I.B. Tauris. 138–139쪽. ISBN 978-0-85773-135-7.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2. Ingram, Brannon D. (2018). 《Revival from Below: The Deoband Movement and Global Islam》. Oakla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98002. LCCN 2018014045.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3. Puri, Luv (2009년 11월 3일). “The Past and Future of Deobandi Islam”. 《CTC Sentinel》 (West Point, New York: Combating Terrorism Center) 2 (11): 19–22. 2020년 9월 15일에 확인함. 
  4. Syed, Jawad; Pio, Edwina; Kamran, Tahir; Zaidi, Abbas, 편집. (2016). 《Faith-Based Violence and Deobandi Militancy in Pakistan》. London: Palgrave Macmillan. 139쪽. doi:10.1057/978-1-349-94966-3. ISBN 978-1-349-94965-6. LCCN 2016951736.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Some prominent founders of the Darul Uloom Deoband, such as Muhammad Qasim Nanautavi and Rashid Ahmad Gangohi, drew further inspiration from the religiopoliticial concept of Shah Waliullah, as well as from Wahhabi ideology, and they set up an Islamic seminary at Deoband in UP on 30 May 1866. 
  5. Asthana, N. C.; Nirmal, Anjali (2009). 《Urban Terrorism: Myths and Realities》. Jaipur: Shashi Jain for Pointer Publishers. 66쪽. ISBN 978-81-7132-598-6.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6. Ingram, Brannon D. (June 2009). “Sufis, Scholars, and Scapegoats: Rashid Ahmad Gangohi (d. 1905) and the Deobandi Critique of Sufism”. 《The Muslim World》 (Chichester, West Sussex: Wiley-Blackwell) 99 (3): 478–501. doi:10.1111/j.1478-1913.2009.01281.x.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7. Lewis, B.; Pellat, Ch.; Schacht, J., 편집. (1991) [1965]. 《Encyclopaedia of Islam2 2판. Leiden: Brill Publishers. 205쪽. ISBN 90-04-07026-5. 
  8. Barbhuiya, Atiqur Rahman (2020년 1월 27일). 《Indigenous People of Barak Valley》 (영어). Notion Press. ISBN 978-1-64678-800-2. Muslim politics in India opened a new chapter after the formation of Jamiat Ulema-e-Hind in 1919 A.D. under the initiative of Ulemas of Deoband. It was founded by the dedicated freedom figher Sheikh-Ul-Hindi Maulana Mahmudul Hasan of Darul-Uloom, Deoband. Jamiat played a very active role in India's freedom struggle. 
  9. McDermott, Rachel Fell; Gordon, Leonard A.; Embree, Ainslie T.; Pritchett, Frances W.; Dalton, Dennis, 편집. (2014). 〈To Independence and Partition〉. 《Sources of Indian Traditions: Modern India, Pakistan, and Bangladesh》. Introduction to Asian Civilizations 2 3판.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457쪽. ISBN 978-0-231-13830-7. JSTOR 10.7312/mcde13830.15. 
  10. Ali, Asghar (2011년 4월 9일). “Islamic identity in secular India”. 《The Milli Gazette》 (영어). The Ulama of Deoband opposed partition and stood by united nationalism. Maulana Husain Ahmad Madani, then chief of Jami’at-ul-Ulama-i-Hind, wrote a tract Muttahida Qaumiyyat aur Islam i.e., the Composite Nationalism and Islam justifying composite nationalism in the light of Qur’an and hadith and opposing Muslim League’s separate nationalism. While the educated elite were aspiring for power and hence wanted their exclusive domain; the Ulama’s priority was an independent India where they could practice Islam without fear or hindrance. 
  11. Timol, Riyaz (2019년 10월 14일). “Structures of Organisation and Loci of Authority in a Glocal Islamic Movement: The Tablighi Jama'at in Britain”. 《Religions》 (MDPI) 10 (10): 573. doi:10.3390/rel10100573.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12. Reetz, Dietrich (2011). 〈The Tablīghī Madrassas in Lenasia and Azaadville: Local Players in the Global 'Islamic Field'〉. Tayob, Abdulkader; Niehaus, Inga; Weisse, Wolfram. 《Muslim Schools and Education in Europe and South Africa》. Münster: Waxmann Verlag. 85–88쪽. ISBN 978-3-8309-7554-0. 
  13. Pike, John (2011년 7월 5일). “Barelvi Islam”. GlobalSecurity.org. 2003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5일에 확인함. 
  14. Sareen, Sushant (2005). 《The Jihad Factory: Pakistan's Islamic Revolution in the Making》. New Delhi: Har Anand Publications. 282쪽. ISBN 9788124110751. 
  15. Bennett Jones, Owen. “The Deobandis”. BBC. , Bennett Jones, Owen. “The Deobandis: India”. BBC. , Bennett Jones, Owen. “The Deobandis: Pakistan”. , Bennett Jones, Owen. “The Deobandis: Britain”. 
  16. Syed, Jawad; Pio, Edwina; Kamran, Tahir; Zaidi, Abbas, 편집. (2016). 《Faith-Based Violence and Deobandi Militancy in Pakistan》. London: Palgrave Macmillan. 371쪽. doi:10.1057/978-1-349-94966-3. ISBN 978-1-349-94965-6. LCCN 2016951736.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17. Maley, William (2001). 《Fundamentalism Reborn? Afghanistan and the Taliban》. C Hurst & Co. 14쪽. ISBN 978-1-85065-360-8. 
  18. Abbas, Tahir (2011). 〈Islamic political radicalism: origins and destinations〉. 《Islamic Radicalism and Multicultural Politics: The British Experience》. London: Routledge. 33–34쪽. ISBN 978-0-415-572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