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면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고구려 링크를 생성함.
1번째 줄:
'''인면조'''(人面鳥)는 사람의 얼굴을 한 새로, 여러 신화에서 등장한다. 사람의 얼굴을 한 새[鳥]로 세계 각지의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이다. 반은 사람, 반은 새의 모습인 반인반조(半人半鳥)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얼굴은 사람이고 몸은 새인 모습 또는 상반신은 사람이고 하반신은 새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인간 여성인 모습이 대부분이며 남성인 경우도 있다.
 
인면조는 삼국시대 고분미술에 종종 등장하는 소재로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상서로운 새로 알려져 있다. 고구려의[[고구려]]의 경우에는 안악 3호분, 덕흥리 고분, 삼실총, 무용총 등 여러 고분 벽화에서 찾아 볼 수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210500006|제목=평창 개막식 ‘신스틸러’ 인면조…어디서 유래했나보니|날짜=2018-02-10|뉴스=서울신문|언어=ko|확인날짜=2018-06-24}}</ref> 1976년 발견된 평안남도 남포시 덕흥리 고분에 그려진 천추(天秋)나 만세(萬歲)라는 이름의 인면조들은 천년, 혹은 만년을 산다고 알려진 장생을 상징하는 상서로운 존재들이다. 신라의 경우에는 경주 식리총 출토 금동식리에 인면조가 나타나 있다. 백제에서는 백제금동대향로에 모두 4마리의 인면조가 등장하며,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동탁은잔과 능산리 출토 금동대향로에도 인면조가 그려져 있다. 특히 동탁은잔의 인면조는 고구려의 천추, 만세와 같이 장생을 상징하는 서수로서의 존재와 같은 것이라는 의견이 많지만, 한편으로는 날개 앞쪽으로 연꽃을 들고 있다는 점에서 불교의 가릉빈가라는 의견도 있다. 가릉빈가는 고대 인도 신화와 불경에 등장하는 상상의 새로, 히말라야에서 태어난 불사조이자 부처의 말씀을 전하는 새이다.
 
한편, [[2018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 인면조가 등장해 전 세계인의 이목을 끌었다. 인면조의 생김새는 전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냈다. 무섭게 생기고 기괴하게 생겼다는 부정적인 의견과 그들의 문화를 존중해주고 신화 속 생명체를 처음 봐서 신기하다는 긍정적인 의견이 있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328751|제목=“실검 1위” 인면조 만든 배일환 미술감독 인터뷰|성=권지혜|뉴스=위키트리|언어=ko-KR|확인날짜=2018-06-24}}</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