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쭤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링크 변경 (랴오닝 성 → 랴오닝성
메이 (토론 | 기여)
날짜 링크 지움. 정보상자의 아이콘 지움. 위키백과:편집 지침/아이콘 참고. 전(前) 표시 지움. '참고 자료' 목차 지우고, '외부 링크'에 해당하는 항목을 해당 목차로 옮김. 줄 바꿈 추가.
4번째 줄:
|그림 = Zhang Zuo-lin.png
|그림설명 = 1922년 당시 봉천군벌 수령 시절의 장쭤린 장군
|그림크기=300px
|국가 = [[파일:Commander-in-Chief Flag of the Republic of China (Beiyang Government).svg|x30px|link=]] [[북양정부|중화민국]]
|군사그림 = Zhangzuolin.jpg
|군사그림설명 = 1920년 당시 봉천성 행정지사 시절의 장쭤린 장군
|직책 = [[중화민국의 국가원수|육해군대원수]] [[파일:Commander-in-Chief Flag of the Republic of China (Beiyang Government).svg|x30px|link=]]
|내각 =
|임기 = 1927년 6월 18일-1928년 6월 3일
14번째 줄:
|전임 = [[웰링턴 쿠]] (대총통대리)
|후임 = [[탄얀카이]] (국민정부주석)
|국가2 = {{국기나라 그림|Flag of Fengtian clique.svg}} [[봉천파|봉천군벌]]
|직책2 = 수령
|임기2 = 1922년-1928년 6월 4일
24번째 줄:
|전임3 = [[돤지귀|단지귀]] (봉천순안사)
|후임3 = [[왕영강]]
|국가4 = {{국기그림|청나라}} [[청나라 소조정|청나라]]
|직책4 = [[동삼성총독]] 겸 [[봉천파|봉천군벌]] 총영수
|임기4 = 1917년 7월 11일-1917년 7월 12일
|전임4 = [[조이손]]
|후임4 = (폐지)
|직책5 = [[중화민국의 총통|국가원수 권한대행]]
|임기5 = 1927년 4월 18일 ~ 1927년 6월 18일
|전임5 = [[펑위샹|풍옥상]] (국가원수 권한대행)
54번째 줄:
|웹사이트 =
<!-- 이하 군경력 변수는 변수 중 하나 이상이 채워져야 화면에 나타남 -->
|군복무 = {{국기그림|중화민국|1912}} [[북양정부|중화민국]]
|복무기간 = 1892년-1928년
|소속군대 =
64번째 줄:
: [[제2차 직봉전쟁]]
}}
 
 
'''장쭤린'''({{zh|t=張作霖|p=zhāng zuò lín}}, [[1875년]] [[3월 19일]] ~ [[1928년]] [[6월 4일]])은 [[중화민국]] 국민정부 만저우 지방 [[북양군벌|베이양 군벌]] 계파 시대의 [[봉천파|봉천군벌]]이자 [[정치인]]이다. 자(字)가 위팅(雨亭)이기에 '''장위팅'''(張雨亭)이라고도 불리었다. [[둥베이]] 3개 성(省)을 지배하고 [[친일]] 관련 성향을 띠었다. 1926년 2월 13일 중화민국 육군 대원수 진급한 그는 이후 [[펑위샹]] 중화민국 국가원수 권한대행 후임을 하여 1927년 6월 18일에서 1928년 1월 16일을 기하여 [[장제스]]에게 [[중화민국의 총통|중화민국 국민정부 국가주석 권한대행]] 직위 인수를 할 때까지 [[중화민국의 총통|중화민국 국가원수 권한대행]]을 역임하였으며 그 후 1928년 1월 16일을 기하여 중화민국 국민정부 대원수 취임한 그는 1928년 6월 1일을 기하여 중화민국 육군 대원수 예편하였고 이틀 후 1928년 6월 3일을 기하여 [[중화민국의 총통|중화민국 국민정부 대원수]] 직위를 퇴임하였다.
 
== 생애 ==
장쭤린은 가난한 농민의 아들로 중국 청나라 성경성(盛京省: 지금의 [[랴오닝성]]) 하이청(海城)에서 태어났다. [[1892년]] 청나라 군사에 입대해서 이후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도 참여했다. 전쟁이 끝난 후 고향으로 돌아와 자체적인 군대를 조직했고, 당시 다른 많은 군벌들이 그러하듯이 일종의 의적(義賊)질을 하였다. 당시 몰락해가던 [[청나라|청나라 조정]]은 이미 강력해진 장쭤린의 부대를 펑톈성(奉天省)의 정규군으로 편입시켰다.
 
=== 만주 전역으로 세력 확장 ===
장쭤린은 펑톈은 물론 만주까지 자신의 세력을 넓혀 [[1918년]] [[중화민국]] 정부는 장쭤린을 만주의 3개 성을 관할하게 하였고, 그 이후 사실상 [[만주]]를 자신의 통치국가와도 같이 지배했다. 이후 다른 [[북양군벌|베이양 군 출신 군벌들]]과 다툼을 벌이면서 그는 점차 세력을 더욱 키워갈 수 있었고 중화민국 정부에서 다른 사령관으로 교체하려고 시도했을 때 [[장작림|장]]은 이를 분쇄하고 오히려 세력을 더욱 넓혔갔으며 [[일본 제국]]으로부터 무기 및 물자, 보급품 등 지원받아가면서 성장해 나아가 [[1924년]]에는1924년에는 지위가 막강해져서 수도 베이징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하기 시작했고, 결국 [[1926년]]에는1926년에는 베이징에서 대원수직에 취임했다.
 
=== 장제스의 북벌 ===
그러나 [[1927년]] [[장제스]](蔣介石)가 지휘하는 [[국민혁명군]]은 '북벌운동'을 개시하면서 점차 그를 압박해왔고 장쭤린은 이에 밀리기 시작했다. 이들이 조만간 베이징을 점령할 것이 분명해진 것이었다.<ref name="비즐리"/> 그러자 막후에서 그를 지원하던 [[일본 제국|일본 정부]]도 결국 그에게 베이징을 국민당에 넘겨주고 퇴각하도록 권고했다. 다나카는 중국 북부에서 만주로 철수하도록 장쭤린에게 압력을 가했다.<ref name="비즐리"/> 만주에서는 일본군이 그를 보호할 수 있었다.<ref name="비즐리"/>장쭤린은 마지못해 동의하였다.<ref name="비즐리"/> 이후 [[장작림|장]]은 1928년 6월 1일을 기하여 중화민국 육군 대원수 예편하였다.
 
=== 최후 ===
줄 79 ⟶ 81:
 
== 사후 ==
* 그가 암살된 날은 [[1928년]] [[6월 4일]]이었는데4일이었는데 몇주 동안 철저하게 비밀에 붙여지고, 그의 지위와 권력은 그의 장남인 [[장쉐량]]에게 계승되었다. 사건에 세계의 모든 관심이 쏠렸고, 조선의 독립지사들은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ref name="이이화"/> 일제와 손을 잡고 조선독립군을 압박하던 장쭤린이 죽었기 때문이다.<ref name="이이화"/>
* 이 사건은 사실상 고모토가 의도했던 일본의 만주 개입을 유발하지는 못했다.<ref name="비즐리"/> 왜냐하면 고모토의 상관이나 도쿄의 내각이나 그러한 행동을 인정하려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ref name="비즐리"/> 실제 고모토는 간신히 군법 회의를 면했다.<ref name="비즐리"/>
 
줄 93 ⟶ 95:
|[[1916년 중화민국 부총통 선거|1916년 선거]]||[[중화민국의 국가원수|중화민국 부총통]]||2대||[[무소속]]||-%||1표||colspan="4" style="background-color:lightgrey;" | &nbsp;||13위||낙선
|}
 
== 각주 ==
{{각주|
줄 99 ⟶ 102:
<ref name="이이화">{{서적 인용 | 저자=이이화 | 제목=한국사 이야기21: 해방 그날이 오면 | 출판사= 한길사 | 날짜= 2004 | 쪽= 133 }}</ref>
}}
 
== 참고 자료 ==
* {{위키공용분류-줄}}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전임후임|
 
{{전임후임|
|전임자 = [[웰링턴 쿠]]<br/>[[펑위샹]]<br/><small>(중화민국 국가원수 권한대행)</small>
|후임자 = [[탄얀카이]]
|대수 =
|직책 = [[중화민국의 국가원수|중화민국 육해공대원수]]
|임기 = [[1927년]] [[6월 18일]] ~ [[1928년]] [[6월 4일]]
}}
 
{{중화민국의 국가원수}}
{{북양장군부 상장군}}
{{요녕행정장관}}
 
{{전거 통제}}
 
[[분류:1875년 태어남]]
[[분류:1928년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