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관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과도한 정비틀 제거: 문서 최상단의 정비틀과 중복됨. 정비틀 부착 시 틀 사용법에 따라 틀을 풀어서 사용해 주세요.
독자연구 의심 문장 중 출처가 없는 내용들 삭제 // augument from ignorance 부분 삭제(친일인명사전에 '옥관빈은 친일파다' 및 '옥관빈은 친일파가 아니다'라는 내용이 없음을 언급한 뒤 '옥관빈은 친일파로 분류되지 않는다'라고 언급. 즉 출처 없이 특정한 결론을 유도) // 또한 augment from ignorance를 정당화하기 위해 공개 발표된 자료를 근거로 새로운 결론을 이끌어 내는 독자연구 부분들을 삭제 // 삭제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들 복구 //기타 내용 추가, 수정, 출처 추가.
1번째 줄:
{{여러 문제|1=
{{출처 필요|날짜=2020-12-22}}
{{독자 연구|날짜=2020-12-22}}
}}
{{인물 정보
| 이름 = 옥관빈
줄 9 ⟶ 5:
| 출생일 = [[1891년]] [[1월 18일]]
| 출생지 = [[조선]] [[평안도]] [[평양직할시|평양부]]<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101050020920200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1-01-05&officeId=00020&pageNo=2&printNo=3599&publishType=00020 上海의 中央에 朝鮮人大商會] [[동아일보]], 1931년 1월 5일 작성</ref>
| 사망일 = [[1933년]] [[8월 1일]]
| 사망지 = [[중국]] [[상하이 프랑스 조계]]
| 국적 = {{국기나라|중화민국대한민국}} → {{국기나라|중국}}, {{국기나라|일본 제국}}
| 개명별칭 = 옥혜관(玉慧觀)
| 경력 =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상해대한교민단]]
| 경력 =
| 학력 =
| 직업 = 독립운동가, 계몽운동가, 사업가, [[중국 국민당]] 간부<ref>김광재, 상해시기 옥관빈 밀정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 근현대사 연구 63, 2012 , 58~59쪽</ref>불교인
| 소속 =
| 종교 =
줄 23 ⟶ 19:
}}
 
'''옥관빈'''(玉觀彬, [[1891년]] [[1월 18일]]<ref name=":0">[http{{웹 인용|url=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024&actionType=name&indpnId=0000003051|제목=옥관빈(玉觀彬) 경성지방법원 판결문]|성=|이름=|날짜=1911-07-22|웹사이트=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독립운동관련 판결문|출판사=|확인날짜=}}</ref> -~ [[1933년]] [[8월 1일]])은 [[중화민국]]에 충성한 중국인으로서 귀화전에는 [[대한제국]]에서 출생하여 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기업인이었으나기업인, 후에불교인이다. 조상이이명은 화교인 것을 근거로 중화민국에 귀화해 한국계 중국인이 되어 [[중화민국]]에 충성하는 중국의 애국자가 되었다'''옥혜관'''(玉慧觀)이다.
 
[[1911년]] [[윤치호]]·[[양기탁]]·[[안태국]]·[[이승훈 (1864년)|이승훈]]·[[임치정]]과 함께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서대문형무소]]에 투옥, [[1917년]] [[11월 24일]] 최종 석방되었다.<ref name=":2" /> [[1918년]]부터 [[1923년]]에는 [[상해대한교민단]]을 활동하면서 독립운동 후원활동을 하였고, 삼덕양행(三德洋行) 등 개인 사업활동을 통해 막대한 부를 이뤘다. 그러나 자신이 독립운동가들에게 자금을 댄다는 것을 자랑삼아 떠벌리며 나라도 되니까 너희에게 돈을 주는게 아니겠느냐며 무시하다가 일부 독립운동가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ref name=":8">{{서적 인용|제목=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김성숙·장건상·정화암·이강훈의 독립투쟁)|성=이정식 면담 / 김학준 편집해설|이름=|날짜=2005-12-10|판=|출판사=민음사|쪽=399|장=}}</ref> 옥관빈은 일부 독립운동가들을 비방하고 다니기도 했다.<ref name=":8" /> [[1928년]] [[중국]]에 [[귀화]]하여 근대 한중 [[불교]]의 가교이자 메신저 역할을 하였고, 불자약창(佛慈藥廠)을 설립하여 [[중국]]에서는 "중약(中藥)을 근대화한 [[중국]]의 애국적인 실업가"로서 평가되었다.<ref name=":15">{{서적 인용|제목=玉觀彬의 상해 망명과 활동|성=김광재|이름=|날짜=2011-12-00|판=한국근현대사연구 제59집|출판사=한국근현대사학회|쪽=|장=}}</ref> [[1933년]] [[8월 2일]] 상하이 프랑스 영사관 경무국 정무과의 '옥관빈 암살 조사 보고'에 따르면 옥관빈은 [[중국]]으로 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영사관에도 등록되어 있었다.<ref name=":17">{{웹 인용|url=|제목=프랑스 외무부 문서보관소 소장 한국독립운동 사료3 - 10 옥관빈 암살 조사 보고|성=|이름=|날짜=|웹사이트=공훈전자사료관|출판사=국가보훈처|확인날짜=}}</ref>
[[1911년]] [[105인 사건]] 관련자의 한사람으로 [[서대문 형무소]]에 투옥, 고문을 당했으나 동료들의 이름을 발설하지 않았다. 그는 [[윤치호]]·[[양기탁]]·[[안태국]]·[[이승훈 (1864년)|이승훈]]·임치정 등 6명과 함께 주모자로 몰려 4년의 징역 선고를 받고 복역했다.<ref>함석헌,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한길사, 2009) 35페이지</ref> 그 후 중국으로 이민을 가 조상이 화교라는 점을 근거로 [[중화민국]]에 귀화하였다. 옥관빈의 조국인 중국에서 "그는 불자약창을 설립하여 중약을 근대화한 중국의 애국적인 실업가로서 평가되고 있다."<ref>김광재, 옥관빈의 상해 망명과 활동, 한국근현대사연구 59, 2011, 47</ref> 이에 비해 한국의 독립운동엔 거리를 두게 되었다. 1920년대 후반부터는 독립운동에 직접적으로 나서지 않고 일부 독립운동가들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였으나 자신이 독립운동가들에게 자금을 댄다는 것을 떠벌리며 나라도 되니까 너희에게 돈을 주는게 아니겠느냐며 무시하거나 일부 독립운동가들을 비방하고 다니며 한국인 독립운동가들에게 분노를 사고말았다.<ref>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399페이지</ref>
 
[[1933년]] [[7월 22일]]~[[7월 23일]]경 [[옥관빈]]이 [[일본군|일본 군대]]를 위하여 약 2만원의 재목을 제공하고 일본 관헌에게 혁명운동에 관한 밀정행위를 한 사실이 포착되었다.<ref name=":47" /><ref name=":16">{{웹 인용|url=https://e-gonghun.mpva.go.kr/user/IndepCrusaderDetail.do?popup=popup&goTocode=20003&mngNo=3321&kwd=%EC%98%A4%EB%A9%B4%EC%A7%81|제목=2014년 1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 오면직|성=|이름=|날짜=|웹사이트=공훈전자사료관|출판사=|확인날짜=}}</ref> [[1933년]] [[8월 1일]] [[옥관빈]]은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서 [[흥사단]]원인 다른 독립운동가 이모의 부인과 간통하고 나오던 중, 그를 추적하던 [[오면직]](吳冕植, 일명 양여주 楊汝舟)와 [[엄순봉]](嚴舜奉, 일명 엄형순 嚴亨淳)의 총격을 받고 살해되었다.<ref name=":8" /><ref name=":16" /><ref name=":4" /><ref name=":5" /><ref name=":3323" /><ref name=":9" /><ref name=":6" /><ref name=":10" /><ref name=":11" /><ref name=":7" /><ref name=":12" />
 
== 생애 ==
=== 애국 계몽 활동 ===
[[1905년]](광무 8년) [[11월]]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을사조약 반대 운동에 동참하였다. 그 뒤 [[상동교회]](尙洞敎會)에서 열린 전국대회에 참석하기 위하여 서울로 올라왔다. 예수교회의 전국대회는 구실이었고 그 내실은 '을사 5조약'에 대한 반대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것이었다.<ref name="chinyy21">신용하, 《백범 김구의 사상과 독립운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1페이지</ref> 이때에 상동교회에 모인 인물은 [[전덕기]](全德基), [[정순만]](鄭順萬), [[이준 (1859년)|이준]](李儁), [[이동녕]](李東寧), [[김구]](金龜), 최재학(崔在學), 계명륙(桂明陸), 김인집(金仁楫), 옥관빈, 이승길(李承吉), 차병수(車炳修), [[조성환]] 등이었다.<ref name="chinyy21"/>
 
=== 언론,생애 계몽초반 활동(1891) ===
[[1891년]] [[1월 18일]]에 태어났다.<ref name=":0" /> 경성지방법원 판결문에 따르면 [[1911년]] 당시 본적/주소는 평남 평양군 율리면 상사리 성원시장이었다.<ref name=":0" />
{{참고|대한매일신보|청년학우회|흥사단|신민회|105인 사건}}
[[1906년]](광무 9년) [[대한매일신보]]의 총무 운강(雲崗) [[양기탁]](梁起鐸)과 함께 [[매일신보]]의 집필진의 한사람으로 칼럼을 기고하였다. 당시 [[매일신보]]의 편집진은 박은식(朴殷植), 최익(崔益), 옥관빈(玉觀彬), 변일(卞一), [[신채호]], [[장도빈]](張道斌) 등이 있었고 영업진에는 양기탁(梁起鐸), 임치정(林蚩正), 안태국(安泰國) 등이 있었다.
 
=== 애국 계몽 활동 (1905~1909) ===
신채호는 황성신문이 정간당하자 곧 [[대한매일신보]]로 자리를 옮겨 [[박은식]], [[최익]](崔翼), 옥관빈, [[장도빈]] 등과 함께 불을 뿜는 듯한 항일의 붓을 휘둘렀다.<ref>송건호,《송건호전집 15》 (한길사, 2002) 381페이지</ref> [[신채호]] 등의 영입으로 매일신보는 더욱 활기를 띠었고, 그는 수시로 [[일본]] [[제국주의]]자들의 조선 침략 야욕을 조롱하는 글을 올려 일제 당국의 감시를 당했다.
[[1905년]](광무 8년) [[11월]]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을사조약 반대 운동에 동참하였다. 그 뒤 [[상동교회]](尙洞敎會)에서 열린 전국대회에 참석하기 위하여 서울로 올라왔다. 예수교회의 전국대회는 구실이었고 그 내실은 '을사 5조약'에 대한 반대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것이었다.<ref name="chinyy21">신용하, 《백범 김구의 사상과 독립운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1페이지</ref> 이때에 상동교회에 모인 인물은 [[전덕기]](全德基), [[정순만]](鄭順萬), [[이준 (1859년)|이준]](李儁), [[이동녕]], [[김구]], 최재학(崔在學), 계명륙(桂明陸), 김인집(金仁楫), 옥관빈, 이승길(李承吉), 차병수(車炳修), [[조성환]] 등이었다.<ref name="chinyy21"/>
 
[[1906년]](광무 9년) [[대한매일신보]]의 총무 운강(雲崗) [[양기탁]](梁起鐸)과 함께 [[매일신보]]의 집필진의 한사람으로 칼럼을 기고하였다. 당시 [[매일신보]]의 편집진은 [[박은식]], 최익(崔益), 옥관빈, 변일(卞一), [[신채호]], [[장도빈]](張道斌) 등이 있었고 영업진에는 양기탁(梁起鐸), 임치정(林蚩正), [[안태국]] 등이 있었다.
[[1909년]](융희 3년) [[안창호]] 등과 함께 [[청년학우회]](靑年學友會)를 조직하고 서기<ref>[http://100.naver.com/100.nhn?docid=146368 청년학우회]{{깨진 링크|url=http://100.naver.com/100.nhn?docid=146368 }}</ref>에 취임하였다. 이어 [[청년학우회]]가 [[흥사단]]으로 바뀌자 [[흥사단]]의 창립 멤버의 한사람으로 참여하였고, [[신민회]]에도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신채호]]는 황성신문이 정간당하자 곧 [[대한매일신보]]로 자리를 옮겨 [[박은식]], [[최익]](崔翼), 옥관빈, [[장도빈]] 등과 함께 불을 뿜는 듯한 항일의 붓을 휘둘렀다.<ref>송건호,《송건호전집 15》 (한길사, 2002) 381페이지</ref> [[신채호]] 등의 영입으로 《매일신보》는 더욱 활기를 띠었고, 그는 수시로 [[일본]] [[제국주의]]자들의 조선 침략 야욕을 조롱하는 글을 올려 일제 당국의 감시를 당했다.
=== 일제 강점기 활동 ===
==== 체포와 투옥 ====
{{참고|안명근 사건|신민회|105인 사건}}
[[1910년]] [[안명근 사건]]의 관련자로 지목되어 [[평안남도]]에서 [[안태국]]과 함께 체포되었다.<ref>김구 저, 《백범일지》 (배경식 역, 너머북스, 2008) 336페이지</ref> 열차에서 체포되어 평양 감옥에 수감되었다.
 
[[1909년]](융희 3년) [[안창호]] 등과 함께 [[청년학우회]](靑年學友會)를 조직하고 서기에 취임하였다.<ref>{{웹 인용|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6315|제목=청년학우회(靑年學友會)|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확인날짜=}}</ref> 이어 [[청년학우회]]가 [[흥사단]]으로 바뀌자 [[흥사단]]의 창립 멤버의 한사람으로 참여하였고, [[신민회]]에도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11년]] [[105인 사건]]이 발생하자 사건 관련자의 한사람으로 지목되어 [[서대문 형무소]]로 이송, 고문을 당했으나 동료들의 이름을 발설하지 않았다.
 
=== 105인 사건과 투옥 (1910~1917) ===
그 뒤 보안사건으로 또 재판을 받을 때는 [[양기탁]]을 비롯하여 [[안태국]], [[김구]], [[김홍량]], [[주진수]], [[김도희]], [[김용규]], [[고정화]], [[정달화]], [[감익룡]] 등과 함께 출석했다.<ref name="baekku361">김구 저, 《백범일지》 (배경식 역, 너머북스, 2008) 361페이지</ref> 이때 그는 [[양기탁]], [[안태국]], [[김구]] 등과 함께 2년형을 선고받았다.<ref name="baekku361"/>
[[1910년]] [[12월 27일]] [[일본 제국|일제]]는 기호파 민족운동가들을 대거 체포한 [[105인 사건|안명근사건]](안악사건)을 일으켰다. [[일본 제국|일제]]는 곧바로 [[105인 사건|신민회사건]](105인사건)을 기획하여 서북파 민족운동가들을 대거 체포하였는데, 옥관빈은 [[105인 사건|신민회사건]] 관련자로 지목되어 [[평안남도 (일제 강점기)|평안남도]]에서 [[안태국]]과 함께 체포되었다.<ref>김구 저, 《백범일지》 (배경식 역, 너머북스, 2008) 336페이지</ref><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1_1911_01_01_0020|제목=安明根事件(安岳事件)을 계기로 黃海道 일대의 애국지사를 체포구금한 朝鮮總督府 警務總監部|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열차에서 체포되어 평양 감옥에 수감되었다. 이후 [[서대문형무소]]로 이송, 고문을 당했으나(출처 필요) 동료들의 이름을 발설하지 않았다고 한다.
 
[[1911년]] [[7월 22일]] 경성지방재판소에서 옥관빈은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1_1911_07_22_0550|제목=京城地方裁判所에서 安明根 등 18名에 관한 强盜 및 同未逐被告事件과 梁起鐸 등 16名에 관한 保安法違反被告事件에 대한 판결|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그 뒤 2년형을 살고 있던 중 [[양기탁]], [[안태국]] 등과 유배형에 처했던 [[이승훈 (1864년)|이승훈]] 등과 함께 다시 끌려가 심문을 당했다.<ref>김구 저, 《백범일지》 (배경식 역, 너머북스, 2008) 374페이지</ref> [[1913년]] [[7월 15일]]에 열린 공소심 최종 공판에서 [[윤치호]], [[이승훈 (1864년)|이승훈]], [[양기탁]], 임치정, 안태국 등 5명에게 징역 6년, 옥관빈에게는 징역 5년이 선고되고, 나머지 99명에게는 무죄가 선고되었다.<ref>김구 저, 《백범일지》 (배경식 역, 너머북스, 2008) 376페이지</ref> 그는 4년형을 살고 출소하였다.
 
[[1911년]] [[10월 18일]] 옥관빈은 보안법 및 총독모살미수죄를 적용받아 징역 7년형을 선고 받았다. 이날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징역 5~10년형을 선고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1_1911_10_18_0290|제목=新民會 事件으로 기소된 122인에 대한 재판에서 塚原재판장은 105인에 대하여 保安法과總督謀殺未遂罪를 적용 다음과 같이 언도하였다.|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 상하이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활동 ====
{{참고|상하이 임시정부|대한민국 임시의정원|대한민국 임시정부|독립신문}}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이 되고, [[상하이 임시 정부]] 창립에 가담하였다. 또한 [[상하이 임시정부]]의 기관지로 [[독립신문]]이 창간되자 [[독립신문]]사의 총무로 참여하였다. [[1921년]] 이후 임시정부에 대해 창조파와 개조파, 고수파가 논란이 벌어지자 그는 임정 고수파의 한사람으로 잔류하였다. 국민대표대회는 이런 저런 요구를 임정에 하였고, 그는 임정 고수파의 한사람으로 활동하였다.
 
그 뒤 보안사건으로 또 재판을 받을 때는 [[양기탁]]을 비롯하여 [[안태국]], [[김구]], [[김홍량]], [[주진수]], [[김도희]], [[김용규]], [[고정화]], [[정달화]], [[감익룡]] 등과 함께 출석했다. 이때 그는 [[양기탁]], [[안태국]], [[김구]] 등과 함께 2년형을 선고받았다.<ref name="baekku361">김구 저, 《백범일지》 (배경식 역, 너머북스, 2008) 361페이지</ref> 그 뒤 2년형을 살고 있던 중 [[양기탁]], [[안태국]] 등과 유배형에 처했던 [[이승훈 (1864년)|이승훈]] 등과 함께 다시 끌려가 심문을 당했다.<ref>김구 저, 《백범일지》 (배경식 역, 너머북스, 2008) 374페이지</ref>
[[1922년]] 초 [[안창호]], [[신익희]], [[김구]], [[원세훈]], [[김규식]], [[오영선]], [[이탁]], [[이동녕]], [[여운형]], [[조소앙]] 등과 함께 [[시사책진회]]의 조직에 참여하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9693&mobile&categoryId=1593 시사책진회]</ref> 그러나 [[시사책진회]]는 제 역할을 하지도 못하고 그해 [[8월 11일]] 해산된다.
 
[[1913년]] [[3월 20일]] 최종 공판에서 [[윤치호]], [[이승훈 (1864년)|이승훈]], [[양기탁]], [[임치정]], [[이승훈 (1864년)|이승훈]], [[안태국]] 등 5명에게 징역 6년, 옥관빈에게 징역 5년이 선고되었다. 나머지 99명에게는 무죄가 선고되었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2_1913_03_20_0590|제목=寺內總督暗殺陰謀事件(世稱 新民會事件 或은 105人事件)의 控訴 公判|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1922년]] [[6월 19일]] 옥관빈은 유호청년대회 앞으로 보낸 건의서에서, 1 의정원 의원 모두를 사퇴시키고, 2 각지에 통보해 의원 및 명사를 (새로) 선출하게 하여 의정원을 충실하게 하며, 3 헌법제도를 수정하여 시의에 맞도록 하고, 4 대통령의 임기를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f name="yory224">유영익, 《이승만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224페이지</ref> 또 의정원이 충실해져 시국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청년대회에서 선출한 위원이 국무원의 사무직권을 수행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ref name="yory224"/>
 
[[1913년]] [[7월 15일]] [[윤치호]], [[이승훈 (1864년)|이승훈]], [[양기탁]], [[임치정]], [[이승훈 (1864년)|이승훈]], [[안태국]] 등 5명에게 징역 6년, 옥관빈에게는 징역 5년이 선고되고, 나머지 99명에게는 무죄가 선고되었다.<ref>김구 저, 《백범일지》 (배경식 역, 너머북스, 2008) 376페이지</ref> 단 매일신보에 따르면 옥관빈 포함 6명 모두 징역 6년형(미결구류일수 180일은 형기에서 공제)을 선고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2_1913_07_15_0420|제목=寺內總督暗殺陰謀事件의 被告 尹致昊梁起鐸林蚩正李昇薰安泰國玉觀彬等 6名의 控訴公判이 大邱覆審法院에서 開廷되었는데 被告 6名에 各 懲役6年(未決拘留日數 180日은 刑期에서 控除)을 言渡하다. 被告等은 이에 不服 卽日 高等法院에 다시 上告하다.|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옥관빈의 명성을 보고 직접 함께 활동해본 도산 [[안창호]]는 여러번 옥관빈을 찾아가 자신의 [[흥사단]]에 가입할 것을 권고했다. 옥관빈은 처음에는 주저하였으나 [[흥사단]]에 가입하게 된다. 그러나 [[임시정부]] 문제를 놓고 안창호가 개조론에 섰을 때는 개조론에 서지는 않는다.
 
[[1917년]] [[11월 24일]] 옥관빈은 최종 석방되었다.<ref name=":2">{{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3_1917_11_24_0250|제목=新民會事件으로 복역 중이던 尹致昊梁起鐸安泰國李昇薰林蚩正玉觀彬이 4년 7개월 15일로 형기를 마치고 석방되다.|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상하이 임시정부 내의 파벌 다툼과 독립운동계 내부의 세력 다툼에 염증을 느낀 그는 이후 독립운동에 다소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
 
=== 상해한인교민단 활동 및 독립운동단체 지원 (1918~1923) ===
== "김구일파"의 옥관실 암살사건 ==
이후 옥관빈은 [[상해 임시 정부]] 및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관여했지만 깊이 발 담그지는 않았고, [[안창호]] 계열과 결을 같이 했지만 [[흥사단]]에 깊이 발 담그지는 않았다. 옥관빈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임시 정부]] 산하 단체인 [[상해대한교민단]]을 위주로 활동하였다.
옥관빈은 "김구일파"에게 암살된다.
<blockquote>건명: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의원이 되고, [[상해 임시 정부]] 창립에 가담하였다. 또한 [[상해 임시 정부]]의 기관지로 [[독립신문]]이 창간되자 [[독립신문]]사의 총무로 참여하였다.
玉觀彬 암살사건
 
[[1920년]] [[2월 25일]]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임시 의정원]] 제1회 정기총회 3일차에 옥관빈의 부의장직 사퇴가 수리되었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5_1920_02_25_0850|제목=大韓民國臨時議政院 第1回定期總會 第3日의 會議狀況은 다음과 같다.|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발생년월일:
 
[[1921년]] [[9월 19일]] 옥관빈은 [[상해대한교민단]] 본구의원에 당선되었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6_1921_09_19_0430|제목=上海僑民團의 議事員을 改選하다. 當選者는 다음과 같다.|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昭和 8년 1월 8일
 
[[1921년]] [[5월 10일]]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은 옥관빈을 [[안창호]] 계열로 분류하였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haf_088_1020|제목=僭稱上海假政府 幹部의 黨派別|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1926년]] [[10월 8일]] [[안창호]]가 [[지린성]](길림성)에서 군사단체를 조직하다가 체포되는 일이 있어서 [[안창호]] 지지자들이 성토문을 제출한 적이 있다. 이 성토문에도 옥관빈은 [[안창호]] 계열로 나타난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haf_091_0220|제목=安昌浩聲討文 譯文送付의 건|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하지만 옥관빈이 [[안창호]]의 [[흥사단]]에 깊이 발 담갔는지는 부정확하다.
검거년월일:
 
[[1921년]]부터 그는 무역업에 종사하였다. 옥관빈은 [[안창호]]를 통해 임정과 [[인성학교]]에 대한 경제적 후원을 제의해왔다.<ref name="hoi404">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404페이지</ref> 그러나 중론에 따라 [[인성학교]]는 그 돈을 받았고 임정은 받지 않았다.<ref name="hoi404" /> 그해 [[12월]] 무역회사인 합명회사배달공사(合名會社倍達公司)를 개업하고 총경리(總經理)가 되었다. 그 뒤 그는 상하이에서 독일과의 무역을 하는 삼덕양행과 의약품 제조 업체 불자약창을 개설 운영하는 자본금 30만원 규모의 자산을 모아 거상으로 성장했다. 당시 각종 사회사업에도 돈을 투자하여 명성을 날렸으며 [[상하이]] 한인 교민사회의 저명인사로 알려지게 되었다. '옥혜관'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졌다.
미검거
 
[[1922년]] [[3월 1일]] 옥관빈은 [[상하이시|상하이]]에 배달공사(倍達公司)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대표로서 축사를 하였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6_1922_03_01_0060|제목=上海에서 玉觀彬이 倍達公司의 設立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다. 玉觀彬은 同 公司의 代表이다.|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발생장소:
 
임정과 인성학교 등에 자금을 지원하던 그는 우연한 기회에 독립운동가들을 비웃는 말을 하게 된다. "[[인성학교]]에 돈을 준 옥관빈은 우리나라 신문을 이용하여 자기를 과대선전하고 독립운동가를 비방하기 시작했다. 독립운동한다고 떠돌아 다니는 사람들, 먹고 살 길도 없고 무식하여 내가 쌀가마나 나눠주고 돈 몇푼 던져주면 모두 내 밑에 와서 아부나 할 사람들이라고 멸시를 했다."<ref name="hoi404" /><ref name=":13">{{서적 인용|제목=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김성숙·장건상·정화암·이강훈의 독립투쟁)|성=이정식 면담 / 김학준 편집해설|이름=|날짜=2005-12-10|판=|출판사=민음사|쪽=405|장=}}</ref>
上海 支那街
 
[[상하이 임시정부]]가 자금난에 쪼들리자 그는 [[김구]]에게 [[아편]]같은 마약 밀매로 돈을 벌어보는 것은 어떤지를 물었다. 아편장사를 하던 독립운동가들의 존재를 불쾌하게 여겼던 [[김구]]는 그의 제안에 분노하였다. 그는 [[이승만]]에게도 임정에서 미국에 마약밀매를 해보면 어떻냐는 제안을 했다. [[이승만]]은 대답도 하지 않고 연락을 끊어버렸다.
배후 관계:
 
[[1922년]] [[7월]] [[대한민국 임시 정부|임시 정부]]는 [[국민대표회의]] 소집 문제를 논하기 위해 [[시사책진회]]를 조직하였다. 이때 옥관빈은 [[안창호]], [[신익희]], [[원세훈]], [[오영선]], 이탁(李鐸), [[여운형]], [[이동녕]], [[김구]], [[조소앙]] 등과 함께 [[시사책진회]]의 조직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시사책진회]]는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그해 [[8월 11일]] 해체되었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6_1922_07_99_0680|제목=이 달 上海에서 時事策進會에 대하여 呂運亨과 都寅權이 다음과 같이 言明하다.|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ref>{{웹 인용|url=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2378|제목=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확인날짜=}}</ref>
김구 일파의 사주에 의함.
 
[[1922년]] [[6월 19일]] 옥관빈은 [[대한청년대회]]에게 '잠시 혁명단체가 되어 [[대한민국 임시 정부|임시 정부]]의 위기를 구할 것'을 요구하면서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임시 의정원]] 의원을 전부 사직시킬 것', '각지에 통고하여 의원과 명사를 (새로) 선출하여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임시 의정원]]을 완전 충실케 할 것', '헌법제도를 수정하여 시의에 맞게 할 것', '대통령의 임기를 정하고 개선할 것' 등 [[대한민국 임시 정부|임시 정부]]의 개조를 건의했다.<ref name="yory224">유영익, 《이승만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224페이지</ref><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6_1922_06_19_0610|제목=上海에서 玉觀彬이 大韓靑年大會에 大略 다음과 같은 內容의 建議書를 提出하다.|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테러 행위 개요:
 
[[1923년]] [[3월 16일]]부터 [[3월 18일]]까지 '수공업진흥책에 대하여(전 3회)'라는 주제로 [[조선일보]]에 칼럼을 기고하였다.<ref>역사비평 편집위원회 저, 《논쟁으로 읽는 한국사》 (역사비평사, 2009) 68페이지</ref>
옥관빈은 삼덕양행三德洋行 주인으로서 상당히 축재를 한 자인데 불령선인 등에 대한 자금 등을 제공하지 않고 친일적 태도를 가진 자라 하여 권총으로 사살함.(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8권 한인애국단 Ⅰ, 2008년 11월)<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ij_028_0010_01000|제목=한국사데이터베이스|확인날짜=2020-10-24}}</ref> </blockquote>
 
[[1923년]] [[10월 24일]] 내무총장 [[김구]] 입회 하에 [[상해대한교민단]] 제4회 의원총선거가 실시되었는데, 옥관빈은 북구의원에 당선되었다. [[김승학]]·[[여운형]]·[[윤기섭]]·[[안정근]]·옥성빈(玉成彬)·[[조완구]] 등은 본구에, 변동화(邊東華) 등은 동구에, 민제호(閔濟鎬)는 서구에 각각 당선되었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su_007_1923_10_24_0550|제목=臨時政府 內務總長 立會下에 上海僑民團 第4回 議員總選擧를 실시하였는 바 本區에서 趙尙燮金承學尹琦燮呂運亨崔錫淳李奎瑞安定根玉成彬白基俊金朋濬趙琬九, 東區에서 邊東華黃在健, 西區에서 閔濟鎬, 北區에서 玉觀彬이 당선되다.|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1933년]] [[10월 2일]] [[조선총독부]] 상해 주재 사무관 나카노 가쓰지(中野勝次)의 보고<blockquote>"김구 일파의 애국단 대 이곳 한국독립당의 알력은 최근 마치 평안도파 대 황해도파의 대립과 같은 색채를 띠어 왔고 점점 더 격화하는 형세임은 이미 보고한 바와 같음. 원래 이 항쟁의 연유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독립당 측이 ‘이른바 애국단이라는 것은 우리 독립당의 일부분적 단체인 성질을 띠는 것으로, 애국단이라는 명의로써 헛되이 허장성세할 것이 아니라 一國一黨의 대세에 준거하여 독립당이 이를 지휘해야 할 것이다’라는 견해를 가진 데 대하여 김구 일파의 애국단 일파에서는 ‘우리 애국단은 東京 및 신공원의 폭탄사건, 大連 사건 등 위대한 공적을 거두었는데 이 모두 우리의 자발적 행동이며 그 위대한 행동은 결코 멸시할 수 없다. 따라서 그 범위의 확충과 아울러 바야흐로 혁명운동의 선봉임을 꾀하는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라는 주장을 하는 데에 기인하고 있어서 도저히 당분간 원만한 결합은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됨. 그간 독립당 측에서는 행정의 가장 중요한 구역인 上海 일대가 李春山의 체포 이래 유야무야 형세가 되어 시들하고 느른해져 부진한 경향이 있을 때 한편 애국단 방면에서 근래 부하에게 비밀리에 위촉하여 프랑스조계 일대에 불온 세력을 더하려는 기세가 있음. 安恭根, 安敬根의 이면적 활동에 대해 金東宇, 金玄九 등은 그 이면적 운동자로서 활약하는 듯하며, 독립당원으로서 몰래 애국단에 들어가 행동하려는 자가 있는 상황이라 하여 우려하고 있으며, 이미 보고한 바와 같이 애국단 일파가 玉觀彬 외 車利錫, 金弘叙, 玉成彬, 李星鎔, 崔錫淳도 암살하려고 예정하고 있다는 소문에 대해서도 자못 우려하여 지난달 15일의 독립당 區會에서도 대 애국단과의 알력 완화에 관해 결의한 사정이 있음. 그런데 최근 전기 차리석 등 피살 예정의 소문이 있는 5, 6명은 연명으로써 그 사실의 철저한 조사 및 이에 기인하는 독립당원 無辜怨殺 등 불상사의 미연 방지를 독립당 중앙(이사회)에 청원하겠다고 말함. 이 항쟁은 당분간 여전히 계속될 것이며 그 되어가는 형편에 주의를 기울이는 중임"<ref name=":03">{{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ij_028_0010_00900|제목=90. 金九 일파의 愛國團 대 獨立黨의 알력 상황에 관한 건|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사데이터베이스|확인날짜=}}</ref></blockquote>암살사건은 [[한인애국단]]과의 합작하에 이루어졌던 이 사건이 한인제간단의 명의로만 발표됨으로써, 이후 [[김구]]측과 상해연맹의 관계가 틀어져 [[1933년]] [[11월]] [[김구]]에 의해 [[오면직]]이 소환당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ref name="inlgun00273" />
 
=== 중국 귀화 이후 (1928~1933) ===
[[1933년]] [[12월 18일]] 옥관빈의 친형 옥승빈도 밀정 혐의로 [[남화한인연맹]] 단원에 의해 암살당했다. 불조계 공부국에서 형사로 근무하던 옥관빈의 사촌 형 [[옥성빈]]은 독립운동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김해산(金海山, 金文熙)의 집 입구 노상에서 암살당했다.<ref name="inlgun00273" />
 
==== 불교 활동 ====
이후에도 상하이에는 폭력사건이 연달아 일어났다.
옥관빈은 [[1928년]] [[중국]]에 귀화한 후에는 주로 법명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중국인 사회에서는 옥혜관(玉慧觀)으로 널리 알려졌다.<ref name=":15" /> 옥관빈은 근대 한중 [[불교]]의 가교이자 메신저 역할을 하였고, 불자약창(佛慈藥廠)을 설립하여 [[중국]]에서는 "중약(中藥)을 근대화한 [[중국]]의 애국적인 실업가"로서 평가되었다.<ref name=":15" />
 
==== 독립운동가들과의 갈등 (1929~1932) ====
<blockquote>
[[1929년]] [[4월 20일]] 옥관빈은 조상섭(趙尙燮)·전용덕(田龍德) 등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였던 30여명과 함께 [[상하이시|상하이]]의 프랑스 [[조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청사]] 근처에서 모여 한국상인의 친목도모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임시 정부]]의 자금조달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하여 상해고려상업회의소(上海高麗商業會議所)를 조직하였다.<ref>{{웹 인용|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7393|제목=상해고려상업회의소(上海高麗商業會議所)|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확인날짜=}}</ref>
'''86. 上海 韓國人親友會 위원장 柳寅發 저격사건 보고'''
 
그러자 [[1929년]] [[7월 25일]]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의 재중국한인청년동맹(在中國韓人靑年同盟)은 '상해고려상업회의소는 조선 경제를 착취하는 일본인의 어용적인 기관이자 일본인-조선인 융화기관으로 조직된 것'이라며 옥관빈 측에 경고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그들은 또한 [[상해대한교민단]]이 [[6·10 만세운동]] 기념식 거행을 부결시킨 일도 비난하였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ij_092_0010_00150|제목=대한민국 11년(1929) 주요사건|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재 上海 총영사
 
당시 옥관빈은 상하이에서 유명 인사로 알려져 있었다. 더욱이 수백 명의 제약회사 노동자를 거느리고 있고, 많은 돈을 써서 신문사를 포섭하여 상하이의 고급 관리는 물론 재계와 종교단체까지 잡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호화스러운 저택과 고급 승용차에 거만한 언동 등 그의 위세는 너무나 당당했다.<ref name=":13" /> 일부 독립운동가들의 자랑과 허영을 못마땅하게 봤던 그는 독립운동한다고 떠돌아 다니는 사람들, 먹고 살 길도 없고 무식하여 내가 쌀가마나 나눠주고 돈 몇푼 던져주면 모두 내 밑에 와서 아부나 할 사람들이라고 멸시했다.<ref name="hoi404" /><ref name=":13" /> 이는 그대로 [[김구]]나 [[임시정부]], [[의열단]], [[아나키스트]]들의 귀에도 그대로 들어갔다. 임정에서 탈퇴한 뒤로 옥관빈은 [[흥사단]] 활동 등 일부를 빼고는 독립운동에 소극적이었고 때로는 일본 기업인들과도 교류를 했다. 더구나 옥관빈의 형 한명은 불조계에서 형사로 취직하기도 했다. 또한 당시 무역업으로 매상을 올려 재산이 계속 늘었다. 어느 날 이를 보다못한 [[김구]]가 [[정화암]]을 찾아갔다.<ref name=":13" /> [[김구]]는 즉석에서 [[정화암]]에게 옥관빈을 죽이자고 제의하였다. 독립운동가들을 모욕한 그 언동만으로도 용서할 수 없다는 것이다.<ref name=":13" /> [[정화암]]은 동의하였고, [[김구|백범]]하고 정화암과 [[안공근]] 셋이서 이야기를 했다.<ref name=":13" />
외무대신
 
민족주의자들과 공산주의자들이 떠나고 없는 [[상하이시|상하이]]에서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던 독립운동단체는 무정부주의자들의 조직인 [[남화한인청년연맹]]이었다. 이 단체는 만주사변 이후에 상해로 집결한 무정부주의자들이 [[정화암]], [[유자명]], 李康勳(이강훈), [[백정기]] 등을 중심으로 하여 [[1931년]] 9월경에 조직한 것이었다.<ref name=":392">{{웹 인용|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0609100025|제목=孫世一의 비교 評傳 (54)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 - 李承晩과 金九 - 蔣介石과 面談하고 洛陽軍官학교에 韓人특별반 설치|성=|이름=|날짜=2006-09-10|웹사이트=|출판사=월간조선|확인날짜=}}</ref> [[남화한인청년연맹]]은 중국과 일본의 무정부주의자들과 연대하여 [[1931년]] 11월 중순에 [[항일구국연맹]]을 결성하고, 일본의 주요기관 파괴, 요인 암살, 친일분자 숙청, 배일선전 등을 실행할 연맹의 행동대로 [[흑색공포단]]을 조직했다.<ref name=":392" /> [[김구]]는 중국인들과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으로 자금은 확보했으나 일을 수행할 마땅한 인물이 없었고 [[남화한인청년연맹]]은 사람은 있으나 돈이 없었다. 그리하여 [[김구]]의 자금과 [[남화한인청년연맹]]의 인력이 합작하여 [[옥관빈]]을 처단하기로 하였다. 이 일은 [[김구]]·[[안공근]]·[[정화암]] 세 사람만 알고 비밀에 부치기로 했다.<ref name=":392" />
1933년 9월 8일
 
==== 친일파 변절, 간통, 피살 (1933) ====
 上海 韓國人親友會 위원장 柳寅發(34세)이 8월 31일 오전 6시경 狄思威路蘭心里 중국가의 자택에서 취침 중 한 흉한에게 저격되어 중상을 입은 사건에 관해 수사하였던 바는 다음과 같다.
[[1933년]] [[7월 22일]]~[[7월 23일]] 경 [[옥관빈]]이 [[일본군|일본 군대]]를 위하여 약 2만원의 재목을 제공하고 일본 관헌에게 혁명운동에 관한 밀정행위를 한 사실이 포착되었다.<ref name=":47">{{서적 인용|제목=1930년대 예술문화운동|성=한국민족운동사학회|이름=|날짜=2003|판=|출판사=국학자료원|쪽=273|장=}}</ref><ref name=":16" /> 이에 [[오면직]]과 [[엄형순]]은 [[정화암]]과 연락을 취하면서 [[옥성빈]](玉成彬, 옥관빈의 형)의 집 맞은 편 중국인의 집 2층에 수일간 잔복하며 사살할 기회를 엿보았다.<ref name=":47" /><ref name=":16" /> [[김구]]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은 [[정화암]]은 자전거 몇 대를 구입하여 [[옥관빈]]의 신원추적에 착수했다. 두 달 동안 추적한 끝에 그의 은신처를 알아냈다. 옥관빈은 [[상하이 프랑스 조계]] 공무국 경찰로 근무하는 그의 종형 [[옥성빈]](玉成彬)의 집 뒤쪽 정자칸 방에 사는 [[흥사단]] 단원 이아무개의 부인과 내연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리하여 일주일에 한두 번씩 그 집에 드나들었다. 이아무개는 漢口에서 소규모의 세발자전거 공장을 차리고 있어서 집을 비우고 있었다.<ref name=":392" /> [[옥관빈]] 암살은 [[김구]]의 심복으로 [[남화한인청년연맹]]에 가입해 있는 [[오면직]](吳冕稙)과 [[엄형순]]이 맡았다.<ref name=":392" /> 이들은 무정부주의 단체인 [[남화한인청년연맹]] 산하 [[흑색공포단]] 소속이었다.<ref name=":33232">{{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ij_028_0010_01000|제목=100. 최근 불령선인의 흉폭 행위 개요|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정화암]]의 증언에 의하면 옥관빈은 정화암의 사촌동생의 뒷집에 살던 다른 [[흥사단]]원 이모의 처와 불륜관계에 있었다.<ref name=":13" /><ref name="hoi408">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408페이지</ref><ref name="hoi409" /> 흥사단원인 이모는 독립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작은 세발 자전거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었고, 그가 공장 일을 보러 가는 사이 그의 부인과 간통을 한 것이다.<blockquote>"[[김구|백범]]으로부터 자금을 받아 우리는 작전을 세웠지요. 양여주, 다른 이름으로는 [[오면직]], 그리고 [[엄형순]]이 옥관빈 살해의 책임을 맡았지요. 옥관빈의 동정을 살피기 두 달 뒤 우리는 이놈이 제 사촌동생 집 뒷쪽 정자칸방에 사는 [[흥사단]]원 이 아무개의 처와 불륜관계에 있음을 알아냈지요. 이 아무개는 한구(漢口)의 조그만 세발자전거 공장을 열고 있어 집에 없었던 겁니다. [[1933년]] [[8월 1일]] 밤 열두 시가 넘은 깊은 밤, 정을 통하고 나오는 옥관빈을 [[엄형순]]이 그냥 쏘아 죽였지요. 즉사지요." - [[정화암]]의 증언<ref name=":13" /><ref name="hoi408" /><ref name="hoi409" /></blockquote>[[1933년]] [[8월 1일]] 저녁 9시 무렵 [[옥관빈]]이 [[옥성빈]]의 집에서 나올 때에 기다리고 있던 [[엄형순]]이 자동차로 접근하여 권총 세 발을 쏘았고, [[옥관빈]]은 그 자리에서 즉사했다.<ref name=":392" /> 다른 문헌에 따르면 [[1933년]] [[8월 1일]] 밤 12시([[8월 2일]] 0시 경) [[옥관빈]]은 [[상하이 프랑스 조계]]의 이모씨의 처와 [[간통]]하고 나오던 중 이모의 집 근처에 숨어있던 [[엄순봉]]의 총격을 받았다. 총소리에 놀란 동네 주민들과 경찰관들이 '강도야! 도적이야!' 소리치며 몰려오자 [[엄형순]]은 '강도가 저 쪽으로 뜁디다'고 말하고는 유유하게 나왔다.<ref name="hoi409">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409페이지</ref> [[1933년]] [[8월 1일]] 보도에 따르면 [[옥관빈]]은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 사는 친척을 만나러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차에서 내리는 즉시 [[오면직|양여주]](楊汝舟, 본명 [[오면직]] 吳冕植), [[엄순봉]](嚴舜奉, 일명 [[엄순봉|엄형순]])의 총격을 받고 절명했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npda_1933_08_03_w0002_0390|제목=上海 法界에서 玉觀彬被殺, 친척의 집을 방문하려든 중 數名靑年이 突然狙擊[肖]|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1. 유인발과 불국조계 한인독립운동자와의 회견 경위
 
=== 사후 ===
 親友會 창립후 재 불조계 대한교민단 간부 등이 친우회 간부를 암살하려고 계획 중이라는 風說이 한결 같이 떠돌던 그때 마침 玉觀彬과 石鉉九의 피살사건이 있었으므로, 친우회원은 물론 공동조계 재류 일반 한인에 큰 충동을 주어 위 두 사건은 친우회 대 독립운동단의 대립항쟁에 기인된 것이 아닌가 하는 억설이 나돌아 일반 한인은 공포에 떨고 있던 상황이었다. 유인발은 이 상황이 친우회의 앞길에 미치는 영향이 심대하다고 생각하고 대책을 연구 중이었는데 이와 같은 정세 하에 앉아서 암살되는 것을 기다리는 것보다 차제 적극적 행동으로 나가는 것이 득책이라고 사유하였다. 그래서 자진 불조계로 들어가 직접 면담하고 그들의 반성을 촉구하느니만 못하다 하여, 8월 27일 밤 단신 권총을 감추고 불조계에 이르러 한인독립운동파로 지목되는 자를 호별 방문하고 친우회에 대한 언동 태도 등을 糺問하였다. 그러나 일파도 구체적 회답을 회피하여 요령을 얻지 못했다.
[[1933년]] [[8월 2일]] 상하이 프랑스 영사관 경무국 정무과의 '옥관빈 암살 조사 보고'에 따르면 옥관빈은 [[중국]]으로 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영사관에도 등록되어 있었다.<ref name=":17" /> 상하이 일본 영사 이시이 이타로는 상하이 프랑스 영사관 영사 대리 쿠아파르에게 보낸 편지에 옥관빈과 석현구(石鉉九)를 "한국계 일본 국민"이라고 기술하였다.<ref>{{웹 인용|url=|제목=프랑스 외무부 문서보관소 소장 한국독립운동 사료3 - 12 옥관빈, 석현구, 유인발 사건 용의자 체포 협조 요청|성=|이름=|날짜=|웹사이트=공훈전자사료관|출판사=국가보훈처|확인날짜=}}</ref>
 
옥관빈 살해 사건은 그가 [[기독교]]계 실력자이던 관계로 [[상하이]] 한국인 사회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ref name=":14" /> 옥관빈이 동료 [[흥사단]] 단원 이모의 처와 간통한 사실이 상하이 교민사회에 알려지면서 일부 독립운동가나 기독교인사들에 대한 야유와 조소가 가해졌다. 또한 [[안창호]]와 [[조병옥]] 등의 열성적 활동으로 널리 알려졌던 [[흥사단]] 역시 싸구려 친목단체로 격하, 폄하당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유인발을 동정하는 인물은 ‘귀하는 심히 위험하다’고 하여 돌아가라고 권하는 외 면담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형편이므로, 유인발은 결심하고 교민단 암살계획의 중심으로 인정되는 의경대장 朴昌世 집에 이르렀다.
 
[[1933년]] [[8월 9일]] 사건의 진상이 오리무중인 가운데 '韓人除奸團(한인제간단)'이라는 이름으로 성명서가 발표되었다. 이 단체는 옥관빈에게 6개조의 죄목이 있다면서 '옥관빈이 [[중국 국민당]]과 상해시민연합회의 요직을 맡으면서 중국의 군사정치정참을 하였다'고 주장했다. 한편 [[8월 12일]] 옥관빈의 시신은 평양에 도착하여 중화군(中和郡)으로 이송되었으며 무진(무辰)땅에 안장될 거라고 보도되었다.<ref name=":6" /><ref name=":7">{{서적 인용|제목=玉觀彬의 상해 망명과 활동|성=김광재|이름=|날짜=2011년 12월 00일|판=한국근현대사연구 제59집|출판사=한국근현대사학회|쪽=46|장=}}</ref><ref name=":14" /><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npda_1933_08_15_x0002_0820|제목=玉觀彬暗殺은 思想團所爲? 「○○除奸團 罪狀宣布로」 中國側에 一大衝動(上海)//玉觀彬氏屍體 平壤에 安着|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유인발이 박창세 집에 돌연 입실하자 동거중인 李秀峰도 함께 있었는데 朴과 李는 놀라는 태도로 ‘무슨 일이 있어 찾아왔느냐’고 묻는데 대해 柳는 ‘최근 불조계의 한인이 친우회 조직을 불결히 생각하고 나를 암살한다는 말을 함부로 한다고 듣고 이에 그 이유를 따지기 위해 찾아왔다’고 대답하였더니 양인은 손을 흔들면서 자기들은 그러한 말을 한 일이 절대로 없다고 하며 악수를 청하였다. 柳도 감정을 부드럽게 하고 쌍방이 심야까지 이야기하였다고 하는데 그 회담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한국민족운동사학회]]와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1933년]] [[8월 9일]] 상해연맹에서는 '한인제간단'의 명의로 '역도 옥관빈의 죄상을 선포한다'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각 방면에 살포하여 옥관빈의 주구적 죄상을 만천하에 폭로하였다.<ref name=":47" /><ref name=":16" /> [[한인애국단]]과의 합작하에 이루어졌던 이 사건이 한인제간단의 명의로만 발표됨으로써, 이후 [[김구]]측과 상해연맹의 관계가 틀어져 [[1933년]] [[11월]] [[김구]]에 의해 [[오면직]]이 소환당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ref name=":14" /><ref name=":47" />
 (1) 박창세와 이수봉의 말
 
[[1933년]] [[9월 1일]] 《삼천리》 제5권 제9호에는 다음과 같이 보도되었다. "상해 [[옥관빈]] 씨가 피살 당하였다. 그는 [[안창호]]의 부하로 있어 일도 많이 하다가, 정계에서 발을 끊고 실업에 종사하여 벌써 10년, 독일화학약품(獨逸化學藥品)의 동양전매특허를 맡아 삼덕양행을 경영하여 100여 만원의 거부를 이루었다. 각금 운동자금을 달라고 가면 '너희만 일하겠느냐, 나도 돈버는 목적이 있다' 하고 모두 거절하여 왔으며 이것이 원한에 의한 피살(含怨被殺)의 주원인이라 한다."<ref name=":52">{{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ma_016_0370_0170|제목=玉觀彬氏의 豪語|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가. 앞서의 玉觀彬暗殺事件은 安恭根 · 朴贊翊 · 嚴恒燮 등이 무정부주의자들과 제휴하고 감행한 것이다.
 
[[1933년]] 가을 옥관빈 암살 관련자인 이수봉(李秀峯), 김철(金哲) 등이 검거되었다.<ref name=":3">{{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ij_031_0010_00730|제목=73) 大韓僑民團|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나. 중국공안국에 봉직 중인 裴天澤이 金九 · 安恭根 등의 활동에 편의를 공여하고 있다.
 
== 평가 ==
  다. 김구는 杭州에 잠복하고 南京에는 자주 왕래하는 모양이나 상해로 오는 일은 없다.
 
=== 친일파, 변절자, [[일본 제국|일제]]의 밀정 ===
  라. 현재 김구파에는 반일구국회에서 수령한 자금 중 3만 불을 소지하고 있다.
 
* [[세계한민족문화대전]]의 '안공근' 문서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었다. "[[안공근]]은 [[1933년]] [[박찬익 (1884년)|박찬익]], [[엄항섭]] 등과 함께 친일 활동을 하는 [[상해한국인친우회]] 위원장 [[유인발]]과 [[옥관빈]]의 처단을 주도하였다."<ref name=":4">{{웹 인용|url=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cis&contentsId=GC95300448|제목=안공근|성=|이름=|날짜=|웹사이트=세계한민족문화대전|출판사=|확인날짜=}}</ref>
  마. 암살사건 기타 당지에서의 활동은 安恭根이 담당하고 있으며 안공근의 심부름을 하는 자로 ‘金全’이란 자가 있다. 또 안공근의 일파인 田理芳 · 鄭海里도 목하 중국가에 거주 중이다.
*[[국사편찬위원회]]의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었다. "[[남화한인청년연맹|남화연맹]]은 [[김구]](金九)의 [[한인애국단|애국단]](愛國團)과 협력하여 친일부역자들의 처단을 위해 투쟁했다. [[1933년]] 상해에서 일본군과 내통한 [[옥관빈]](玉觀彬)의 처단과 남화연맹원 [[엄형순]](嚴亨淳) 이규호(李圭虎)의 친일분자 [[이용노]](李容魯) 처단 등이 그것이다."<ref name=":5">{{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hdsr_004_0040_0020_0060|제목=6) 남화한인청년동맹과 육삼정 의거|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 [[정화암]]은 [[옥관빈]]을 "그는 원래 청년 독립운동가였는데, 어느 새 [[매국노]]가 되어 거부(巨富)가 되었습니다"라고 평가하였다.<ref name=":8" />
 
* [[1933년]] [[9월 5일]] [[동아일보]]는 [[유인발]]을 "친일단체 친우회([[상해한국인친우회]])의 관계자"라고 보도하였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npda_1933_09_05_x0002_1340|제목=被擊된 柳寅發은 친일단체 親友會의 關係者 ; 施高塔路에서(上海)|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바. 安恭根은 오는 9월 1일경 상해로 올 예정이라고 들었다.
*[[1935년]]경 [[일본 제국]]의 자료에는 다음과 같이 나와있다. "김구 일파의 사주에 의함. [[옥관빈]]은 三德洋行 주인으로서 상당히 축재를 한 자인데 불령선인 등에 대한 자금 등을 제공하지 않고 친일적 태도를 가진 자라 하여 권총으로 사살함." 또한 이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임시 정부]] 측은 옥관빈을 [[친일파]]로 보았고, 석현구를 일본측 밀정으로 보았다.<ref name=":3323">{{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ij_028_0010_01000|제목=100. 최근 불령선인의 흉폭 행위 개요|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1936년]] [[3월 12일]]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은 옥관빈을 친일조선인(親日鮮人)이라고 기술하였다.<ref name=":1">{{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had_196_0380|제목=玉觀彬의 暗殺犯人에 관한 件 1|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대한민국 역사를 전공한 중국인 박사 1호인 쑨커즈씨(孫科志.33)는 [[1998년]] [[고려대학교|고려대]] 박사학위심사 통과논문 《일제시대 상하이 한인(韓人)사회 연구》에서 '옥관빈(玉成彬).관빈(觀彬) 형제는 원래는 독립운동에 투신했으나 악랄한 친일분자로 변절한 뒤 상하이에 눌러앉았으며 일부 친일파는 중국인 노동자들을 상대로 일제에 투항하도록 선전하기도 했다'고 기술하였다.<ref name=":9">{{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325849|제목=`臨政소재지-上海는 친일파 소굴'-중국인 박사논문|성=|이름=|날짜=1998-08-20|웹사이트=|출판사=연합뉴스|확인날짜=}}</ref>
*[[대한민국]] 역사를 전공한 중국인 박사 1호인 쑨커즈(孫科志)는 [[1998년]] 자신의 논문에서 '[[옥성빈]](玉成彬), 관빈(觀彬) 형제는 원래는 독립운동에 투신했으나 악랄한 친일분자로 변절한 뒤 [[상하이시|상하이]]에 눌러앉았으며 일부 [[친일파]]는 중국인 노동자들을 상대로 일제에 투항하도록 선전하기도 했다'고 하였다.<ref name=":51">{{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325849|제목=`臨政소재지-上海는 친일파 소굴'-중국인 박사논문|성=|이름=|날짜=1998-08-20|웹사이트=|출판사=연합뉴스|확인날짜=}}</ref>
* [[2006년]] [[손세일]]은 자신의 저술에서 "(1933년경)[[옥관빈]]은 [[친일파]]로 변신해 있었다"고 기술하였다.<ref name=":6">{{웹 인용|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0609100025|제목=孫世一의 비교 評傳 (54)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 - 李承晩과 金九|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월간조선|확인날짜=}}</ref>
* [[2008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이호룡]]은 자신의 저서에서 "일제의 밀정 노릇을 한 [[옥관빈]]을 사살했다"고 기술하였다.<ref name=":10">{{서적 인용|제목=아나키스트들의 민족해방운동|성=이호룡|이름=|날짜=2008년 8월 11일|판=|출판사=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쪽=170|장=}}</ref>
*[[2010년]] 8월 [[한홍구]]는 자신의 논문에서 "[[옥관빈]]은 처음에는 독립운동에 종사하였지만, 부를 축적한 이후, [[친일파|친일]]의 길에 들어섰다"고 기술하였다.<ref name=":11">{{서적 인용|제목=김두봉: 혁명가가 된 한글학자|성=한홍구|이름=|날짜=2010년 08월 00일|판=한국사 시민강좌 제47집|출판사=일조각|쪽=209|장=}}</ref>
* [[2011년]] [[국사편찬위원회]] [[김광재]]는 자신의 논문에서 "이러한 시각은 오늘날에도 그대로 이어져 한국에서 [[옥관빈]]은 [[친일파]], 변절자, 밀정 등으로 낙인이 찍혀 기피인물이 되었다"고 기술하였다.<ref name=":7" />
*[[2014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공훈전자사료관 자료 중 [[오면직]]의 공적상세에 "[[일본 제국|일제]]의 밀정 노릇을 한 옥관빈"이라고 명시되었다.<ref name=":16" />
*[[2018년]] 2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객원연구원 [[윤대원]]은 자신의 저술에서 "[[정화암]]을 비롯한 재중국 무정부주의자들이 이미 [[옥관빈]] 등 [[친일파]] 등을 암살한 경험이 있고"라고 기술하였다.<ref name=":12">{{서적 인용|제목=일제의 김구 암살 공작과 밀정|성=윤대원|이름=|날짜=2018년 02월 00일|판=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61집|출판사=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쪽=121|장=}}</ref>
 
==== 반론 ====
  사. 김구 일파는 옥관빈 암살사건에 의해 上海反日救國會에서 다액의 자금을 받고 다시 제2의 계획으로 虹口방면에서 암살을 결행하려고 계획했으나, 한인을 파견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중국인을 매수하여 감행할 예정이며 먼저 제1로 귀하(유인발)를 암살한다고 한다. 그리고 홍구에서의 암살이 성공하면 불조계에서 결행한 것보다도 더 반일구국회는 다액의 자금을 지출할 계약이 되어 있다고 한다.
[[옥관빈]]이 [[2009년]] 발행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용한 간접적인 반론이 있다. 그러나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지 않았다'를 '[[친일파]]가 아니다'라고 해석하는 것은 [[무지에 호소하는 논증]](augument from ignorance), 즉 오류이다.
 
[[2012년]] 12월 [[국사편찬위원회]] [[김광재]]는 《上海시기 玉觀彬 밀정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ref>{{서적 인용|제목=上海시기 玉觀彬 밀정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성=김광재|이름=|날짜=2012년 12월 00일|판=한국근현대사연구 제63집|출판사=한국근현대사학회|쪽=42|장=}}</ref>
 아. 이러한 상황이므로 차제 귀하(유인발)는 우리들과 합동하여 그들을 전부 보는대로 암살하면 어떠냐, 귀하는 미국군인으로서 歐洲大戰에 참가한 경험을 가졌고 자동차의 운전도 권총의 사용도 잘하므로 어떠한 일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중국의 평가 ===
 (2) 柳寅發의 말
 
* [[중국]]의 종교사, 특히 불교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옥혜관(옥관빈)을 근대 한중 [[불교]]의 가교이자 메신저로 높이 평가하고 있다.<ref name=":15" />
  가. 김구 안공근 일파의 암살에 대하여는 상당한 자금이 필요하며 당장 비용으로서 5천 불을 요한다. 즉 자동차 한 대를 구매하고 안공근 등의 동정 소재를 밝히어 암살 결행과 동시에 자동차 번호를 변경해야 한다. 귀하(朴 · 李) 등에 이들 자금이 있느냐 자금이 없으면 그 말은 쓸데 없다.
* 불자약창(佛慈藥廠)을 설립하여 중약(中藥)을 근대화한 [[중국]]의 애국적인 실업가로서 평가되고 있다.<ref name=":15" />
 
=== 기타 평가 ===
  나. 자기가 조직한 친우회는 영사관 한인계원 佐伯 藤井이 유인발과 연락 원조하여 조직하였다는 소문이 있다고 귀하(朴 · 李)는 말했는데 이와 같은 것은 어떤 자의 중상일 것이다. 자기는 佐伯 藤井과는 내면으로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다. 虹口지대에서 활동하려고 하면 영사관의 명령에 따르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표면적으로는 그 지휘에 복종하나 친우회의 참된 목적은 한인의 지위향상이며 우선 아동의 교육에 있다. 귀하들이 무엇이든 이익이 될 일이 있다면 통지하라. 그러나 자기가 藤井의 집에 자주 출입하고 있다는 등의 말은 전혀 무근하며 자기는 藤井의 집의 소재조차 알지 못한다. 단지 쌍방이 표면적으로 교섭하고 있는데 불과하다. 또 친우회는 당국으로부터 원조할 까닭이 없다. 현재 정식 허가조차 주지 않는 상황이다.
* [[1933년]]초 [[이순탁]]은 세계일주 당시 상해에서 당시 '40여개국 사람들이 모여서' 번성하는데, 조선인들이 여기 그중에 끼지못해 눈물겹다면서 상해교통대학에서 체육부주임으로 있던 신국권과 함께 옥관빈 두명의 성실성을 자랑하기도 했다. [[이순탁]]은 귀국후 이들의 성공을 기원하며 동포들의 노력을 촉구하기도 했다.
 
== 기타 일화 ==
 (3) 위와 같은 의견을 교환하여 최후에 쌍방이 장래 서로 연락하여 안공근파에 항쟁하기로 약속하고 근일 중에 재차 면접하기로 약속하고 헤어졌다고 한다.
[[1933년]] [[8월 17일]] 석현구(石鉉九)가 피살되는 사건이 발생됐다. [[상해한국인친우회]] 위원장 [[유인발]](柳寅發)은 일련의 암살 사건이 [[상해대한교민단]]에 의한 것으로 보고 [[상해대한교민단]] 산하 의경대 대장 박창세(朴昌世)를 찾아가 항의하였다. 박창세의 집엔 이수봉도 있었는데, 박창세와 이수봉은 '옥관빈 피살 사건은 [[안공근]]·[[박찬익 (1884년)|박찬익]]·[[엄항섭]] 등이 무정부주의자들과 제휴하고 감행한 것' 그리고 '김구 일파는 [[유인발]]도 암살할 계획이 있다는 것'을 주장하면서, [[유인발]]에게 '이러한 상황이므로 귀하([[유인발]])는 우리들과 합동하여 그들(김구파)을 전부 보는대로 암살하면 어떠냐'고 제안하였다. 그리하여 쌍방은 김구파에 항쟁하기로 약속했다고 한다.<ref name=":34" /> 그러나 이것은 [[상해대한교민단]] 내 김구·[[안공근]]파인 박창세가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유인발]]을 안심시키기 위한 속임수였다.
 
[[1933년]] [[8월 31일]] [[유인발]]이 중국가의 자택에서 괴한에게 저격 당해 중상을 입었는데, 피해 현장에서 압수한 탄환의 탄피는 석현구 암살에 사용된 것과 완전 동일했다.<ref name=":34">{{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ij_028_0010_00860|제목=86. 上海 韓國人親友會 위원장 柳寅發 저격사건 보고|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이리하여 朴昌世 집을 나온 후 유인발은 다시 佛工部局刑事 玉成彬 집을 방문하였던 바, 옥성빈은 이미 심야(오전 1, 2시경?)인지라 자택에서의 면접을 피하는 의미였는지 부근의 중국 요리점으로 데리고 갔다. 그 곳에서 3 · 40분간 의견의 교환을 하였을 때 玉의 의견 중에 김구 등을 암살할 것을 말한 점은 전술한 朴 · 李의 의견과 대략 동일하였으므로 柳는 이 3자간에 상호 맥락이 있을 것을 감지하였으나 천연스럽게 근일 다시 만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玉은 자택으로의 내방은 난처하니 자기가 회견할 일시 장소를 통지하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리하여 柳는 이 방문을 최후로 하고 귀택하였다.
 
[[1933년]] [[9월 4일]] [[상해한국인친우회]]는 프랑스 총영사 대리에게 공문을 보내 [[안공근]], [[엄항섭]], [[박찬익 (1884년)|박찬익]], 박창세(朴昌世), 이수봉(李秀峰), 이경산(李景山) 등 6명의 체포를 부탁하였고 이에 [[9월 5일]] 오전 6시 경찰부가 박창세의 집을 수색하였으나 박창세와 이수봉 모두 간밤에 도주하였다.<ref name=":34" />
 2. 柳寅發의 저격 피해상황
 
[[1933년]] [[9월 8일]] 김익성(金益星, 본명 김수산 金水山)이 일본 영사관 경찰에 의해 [[유인발]] 저격 사건의 용의자로 체포되었다. 그는 [[쑤저우시|쑤저우]](소주)감옥에 수감되었다가 본국으로 압송되었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ij_028_0010_00880|제목=88. 한인 독립운동자의 ‘테러’단 훈련의 건 보고|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ref>
 유인발은 이와 같이 불조계 독립운동단에 적극적 의사를 표시하는 동시 독립운동단의 평안도파(宋秉祚파) 대 경기도 · 황해도파(金九, 安恭根파)의 내분의 격화 때문에 쇠퇴하는 조짐이 있음을 편승하고 차제 한층 親友會의 기초를 굳힐 계획으로 금회 빌린 共同租界 東嘉興路 130호에 예정대로 9월 1일 사무소를 이전하고 또 동일부터 유치원과 야학부의 개설을 결행하려고 제반준비를 진행하고 있었다. 때마침 유인발의 자택인 당지 中國街 狄思威路蘭心里32號로 8월 31일 오전 6시경 24, 5세의 청년이 내방하여 초인종을 울리므로 하녀(중국인)가 문을 열자 말자 그 하녀를 밀어젖히고 3층으로 뛰어 올라가 취침 중인 유인발에 대해 휴행한 권총으로 1발을 발사하였다. 이 유인발의 집은 越界道路狄思威路에 연한 蘭心里로 들어간 첫번째 집이며 집세가 45량 즉 은 63원인 3층 가옥으로 1층 응접실, 사무실, 작은방과 취사장이 있고 2층은 침대가 2개 비치해 있는 침실 외에 두개의 작은방이 있으며 3층은 마루방으로 중앙에 ‘다다미’ 7매가 깔려있다. 피해 당시 柳부인과 어린아이 1명은 3층에, 어린아이 2명은 2층 침실에서 취침하고 있었던 것인데, 저격으로 인해 柳는 반사적으로 일어나고 金命祚 또한 놀라 일어나 큰 소리를 자른 관계도 있어 범인은 재빨리 도주하였다. 범인은 백색 양복바지에 백색 샤쓰만을 입은 24 · 5세의 청년이며 얼굴을 보이는 것을 두려워하여 안면을 손으로 덮고 있었다는 등의 관계로 인상은 불명이다.
 
[[옥관빈]]이 암살되자 [[옥성빈]]은 동생을 살해한 범인을 찾으려고 애를 썼다. 그 역시 독립운동을 방해하고 있던 [[친일파]]였다. [[옥성빈]]도 넉 달 뒤인 [[1933년]] [[12월 18일]] 오후 6시에 [[상하이 프랑스 조계]] 김해산(金海山)의 집 입구 길가에서 암살되었다.<ref name=":14">{{서적 인용|제목=절대적 자유를 향한 반역의 역사 (한국 아나키즘을 돌아본다)|성=이호룡|이름=|날짜=2008-02-20|판=|출판사=서해문집|쪽=94|장=}}</ref><ref name=":392" /><ref name=":7" /> [[1933년]] [[12월 18일]] 옥관빈의 친형 옥승빈도 밀정 혐의로 [[남화한인연맹]] 단원에 의해 암살당했다. 불조계 공부국에서 형사로 근무하던 옥관빈의 사촌 형 [[옥성빈]]은 독립운동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김해산(金海山, 金文熙)의 집 입구 노상에서 암살당했다.<ref name=":47" />
 저격당한 유인발은 처와 부근사람 등에 의해 곧 北四川路의 福民病院으로 데리고 가서 치료를 받았는데 피해는 왼팔을 관통하여 좌흉부로 박혀 있었으므로 좌흉부로부터 적출수술을 하였으나 목적을 달성치 못했으므로 다시 전면으로부터 개복수술을 하였으나 또한 탄환의 부위가 판명되지 않아 다만 탄환으로 손상한 소장 4개소를 봉합하고 그대로 정양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 후의 경과를 종합하고 주치의사의 추측에 의하면 탄환의 소재는 지금도 아직 판명되지 않았으나 경과가 양호한 점으로 보아 그 소재는 비교적 무해한 부위가 아닌가로 인정되는 모양이며 계속 중태이나 비교적 기력은 왕성하다.
 
== 참고문헌 ==
 또 피해 현장에서 압수한 탄환의 탄피는 지난 8월 17일의 石鉉九 암살에 사용한 것과 완전 동일하다.
*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소명출판, 2008)
 
* [[김구]], 《[[백범일지]]》 (배경식 역, 너머북스, 2008)
이 저격피살사건으로 친우회는 소정 계획인 9월 1일의 사무소 이전하고 유치원과 야학부 개설을 무기 연장하였다. 金宇鎭 외 7 · 8명의 간부는 교대로 柳의 간호에 종사하나 유인발은 자기가 지금 아직도 존명한 사실을 안 범인들이 다시 습격해 올 것이라 두려워하고 친우회 관계자 또한 이 흉폭한 손이 순차로 자기들에게도 미칠 것이 아니냐 하여 공포에 몰려 침소를 전전하며 피난하는 상황이다.
* 유영익, 《이승만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224페이지
 
*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3. 수사상황
 
 본건은 전술한 경위와 교민단 측이 義警隊의 확대 강화를 꾀하기 위해 3,900불의 예산을 계상하고 자금조달과 ‘테러’적 인물의 모집을 꾀하고 있는데 때마침 만주방면으로부터 수명의 그런 인물이 도착한 듯한 소문이 있는 등의 상황으로 推斷하면 石鉉九事件과 僑民團義警隊를 중심으로 하는 암살단의 소행으로 인정되는 바, 이런 종류의 범행이 3건 속발하여 재류 한인의 불안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이 있다.
 
 범인이 누구인지는 확실하게 아는 데에 이르지 못했으나 이대로 방치하기 어려운 것으로 사료하고, 본관은 9월 2일 당지 佛총영사 대리와 면접하고 빈발하는 흉폭한 살해사건에 대해 주의를 환기하다. 이들 흉폭행위는 불조계에 몸담고 있는 한인 독립운동자의 일단이라고 믿어지므로 이의 철저적 탄압에 의해 화근을 제거할 것과 우선 살인사건의 원흉으로 인정되는 자(당방에서 성명을 통고하다)의 체포 인도를 요구하였던 바, 이에 응할 뜻으로 대답하였으므로 9월 4일 공문으로
 
  살인과 강도피의자
 
  安恭根, 嚴恒燮, 朴贊翊
 
  살인과 살인미수피의자
 
  朴昌世, 李秀峰, 李景山
 
 의 6명의 구인장(주소는 모두 불조계 이하 不詳으로 기재하다)을 동 총영사 대리에게 송부했던 바, 동일 위 구인장에 집행승인을 하였으므로 동일 경찰부 제2과장으로 하여금 불공부국경찰총감에 대해 위 공문의 사본과 구인장을 교부하고 수사한 뒤 체포 인도에 관해 협의케 하다. 동시에 우선 거처가 판명된 朴昌世 집을 수색하여 동인 및 동인과 동거한 모양인 李秀峰의 체포방법을 협의케 하였다.
 
 이리하여 위 협의에 따라 9월 5일 오전 6시 경찰부 제2과원 6명이 불공부국에 이르러 동 국정치부 제2과장 「에메리야노프」가 지휘하는 외국인형사 2명 중국인형사 5명과 같이 동 6시 40분경 佛租界辣斐德路388號 朴昌世 집을 수색하였으나 朴과 李를 모두 발견하지 못하였다. 박창세의 처가 ‘남편은 최근 귀택한 사실이 없고 소재도 알지 못한다’고 말하고 朴의 장남 朴濟道 또한 없으므로 살펴 물었으나 그의 처 金順愛는 지난 밤 외출한채 귀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박창세의 소재에 대해서는 모친의 진술과 같아 요령을 얻지 못했으므로 그곳에 있었던 박창세에게 보낸 통신문서 5통을 압수하고 철수하였다.
 
 이상과 같이 불조계에 대해 검거하였으나 그 목적을 달성치 못했는데, 공동조계에 대해서도 용의관계자를 차례로 조사 수사를 진행시키는 동시에 충동을 받고 있는 일반 한인의 보호와 불안 제거에 노력하고 있다.
 
▪『白凡金九全集』 제4권, 637~640쪽.(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8 28권 한인애국단 Ⅰ(활동 관련 자료))<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ij_028_0010_00860|제목=上海 韓國人親友會 위원장 柳寅發 저격사건 보고|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확인날짜=2020-11-24}}</ref></blockquote><blockquote>'''88. 한인 독립운동자의 ‘테러’단 훈련의 건 보고'''
 
재 上海 총영사
 
외무대신
 
1933년 9월 20일
 
 최근 上海와 북중국 방면의 한인 독립운동자는 운동자금 획득과 항일운동의 편의상 南京에 모여 불온행동을 획책하고 있고, 金九는 목하 上海에 있으면서 2 · 30명의 ‘테러’적 청년을 1인 1살주의로 사역하려고 훈련 중이라는 소문이 있는데 때마침
 
(1) 9월 상순 奉天에서 학식있는 부랑청년에 대해 학자금을 지급 유학시킨다는 감언으로 모집한 7명 중 6명은 당지 경유 南京 방면으로 간 형적이 있고
 
(2) 한국내지로부터 감언으로 2명(그중 1명은 상해로 옮)을 당지로 유출하여 ‘테러’단원이 되게 하고 또는 운동자금 획득의 수단으로 이용하려고 한 것이 아닌가 인정되는 점이 있다.
 
(3) 9월 1일부터 南京飛行學校에 입학시킨다고 칭하고 한국내지로부터 27 · 8명의 청년을 모집하였다고 하는데 당지에 있어서는 2명이 채용되었다고 한다. 소재가 불명이 된 자, 기타 이에 관한 사실이 있다.
 
(4) 9월 상순 奉天을 출발 南京 경유 9월 13일 상해로 온 金모라는 청년은 위 계획의 연락자가 아닌가 생각된다.
 
(5) 위는 모두 최근의 사실인데 본년 3월말 安恭根 · 金東宇가 高榮善이라는 자에 대해 군관학교 학생의 모집을 의뢰한 사실이 있다.
 
(6) 또 9월 4일 독립운동단의 의경대장 朴昌世 집에서 압수한 廣州東山中大農學院 具益均이 6월 19일자와 6월 23일자로 박창세에게 보낸 통신문서에 위 인물을 양성하고 있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7) 당지에서 감행되었던 8월 1일의 玉觀彬暗殺事件, 8월 17일의 石鉉九暗殺事件 및 8월 31일의 柳寅發暗殺未遂事件의 직접 하수인은 모두 南京방면에서 파견된 것으로 인정되는 점이 있다. 특히 유인발암살미수사건의 피의자로 체포한 金益星은 南京砲兵學校 중포대 연습대 특무장이라 칭하는 자이다.
 
 이들 사실을 종합하면 한인 독립운동자들은 올 봄 이래 廣東과 南京의 중국 측 군사관계학교에 ‘테러’적 인물을 입학시켜 단기간에 암살행위에 필요한 훈련을 받은 자 중 당지에서 암살행위를 결행한 것이 아닌가 사료되는데, 최근에 있어서는 전술한 경험 등으로 보아 올 여름 이래 대대적으로 위와 같은 인물을 양성할 것이며 또 이들은 ‘테러’행동을 실행할 경우의 편의상 만한지방에서 모집한 것 같다. 그리고 이 ‘테러’적 인물의 모집 훈련의 당면한 목표는 과반 ‘在南京 韓國對日戰線 統一同盟 주최 하에 올 가을 전국 혁명운동자대회를 개최하고 그 폐회 후 각지에서 통제된 항일운동을 하여 일본 각기관을 파괴하고 이들을 雲南으로 도피케 하려는 계획 운운’의 통제된 항일운동에 사역하려고 하는 것으로 인정된다. 또 전국혁명운동자대회의 개최에 관하여는 아직 불상이나 9월 상순 金奎植을 중심으로 하여 南京에서 개최되었다고 칭하는 회의가 이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이러한 정세에 있으므로 이 ‘테러’단원의 구체적 정황에 관해 극력 내사를 진행시키는 동시에 앞으로 올 대연습특별경계의 관계도 있어 엄밀히 경계 중이다.
 
▪ 國會圖書館編, 『韓國民族運動史料』(中國篇), 786~787쪽.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8 28권 한인애국단 Ⅰ(활동 관련 자료) )<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ij_028_0010_00880|제목=한인 독립운동자의 ‘테러’단 훈련의 건 보고|성=|이름=|날짜=|웹사이트=한국사데이터베이스|출판사=2020-11-24|확인날짜=}}</ref></blockquote><blockquote>
 
 
</blockquote>이 사건에 대해 정화암은 옥관빈에 대한 주장을 했으나 다수 학자에게 친일파의 증거로 인정되지 않았다.
 
=== 정화암의 주장에 대한 학계 검토 ===
==== 주장 요약 ====
[[1921년]]부터 그는 무역업에 종사하였다. 그러나 임정 이탈 이후에도 그는 임정과 관계하려 하였다. 옥관빈은 [[안창호]]를 통해 임정과 [[인성학교]]에 대한 경제적 후원을 제의해왔는 증언이 있다.<ref name="hoi404">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404페이지</ref> 그러나 중론에 따라 [[인성학교]]는 그 돈을 받았고 임정은 받지 않았다는 증언이 있다.<ref name="hoi404"/> 그해 [[12월]] 무역회사인 합명회사배달공사(合名會社倍達公司)를 개업하고 총경리(總經理)가 되었다. 그 뒤 그는 상하이에서 독일과의 무역을 하는 삼덕양행과 의약품 제조 업체 불자약창을 개설 운영하는 자본금 30만원 규모의 자산을 모아 거상으로 성장했다. 당시 각종 사회사업에도 돈을 투자하여 명성을 날렸으며 [[상하이]] 한인 교민사회의 저명인사로 알려지게 되었다. '옥혜관'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졌다.
 
그러나 임정과 인성학교 등에 자금을 지원하던 그는 우연한 기회에 독립운동가들을 비웃는 말을 하게 된다는 증언이 있다.
 
{{인용문2|[[인성학교]]에 돈을 준 옥관빈은 우리나라 신문을 이용하여 자기를 과대선전하고 독립운동가를 비방하기 시작했다. 독립운동한다고 떠돌아 다니는 사람들, 먹고 살 길도 없고 무식하여 내가 쌀가마나 나눠<ref name="hoi404"/>주고 돈 몇푼 던져주면 모두 내 밑에 와서 아부나 할 사람들이라고 멸시를 했다.<ref name="hoi405">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405페이지</ref>}}
 
{{참고|흥사단}}
일부 독립운동가들의 자랑과 허영을 못마땅하게 봤던 그는 독립운동한다고 떠돌아 다니는 사람들, 먹고 살 길도 없고 무식하여 내가 쌀가마나 나눠<ref name="hoi404"/>주고 돈 몇푼 던져주면 모두 내 밑에 와서 아부나 할 사람들이라고 멸시했다는 증언이 있다.<ref name="hoi405"/> 이는 그대로 [[김구]]나 [[임시정부]], [[의열단]], [[아나키스트]]들의 귀에도 그대로 들어갔다. 임정에서 탈퇴한 뒤로 옥관빈은 [[흥사단]] 활동 등 일부를 빼고는 독립운동에 소극적이었고 때로는 일본 기업인들과도 교류를 했다. 더구나 옥관빈의 형 한명은 불조계에서 형사로 취직하기도 했다. 또한 당시 무역업으로 매상을 올려 재산이 계속 늘었다.
 
임정의 처지가 딱해진 것을 알게 된 [[안창호]]는 임정 창립 멤버의 한사람으로, 역시 임정 창립멤버 그의 도움을 받아들이자고 여러번 권고하여 임정에서는 난처해하기도 했다.
 
당시 그는 상하이에서 유명 인사로 알려져 있었다. 더욱이 수백 명의 제약회사 노동자를 거느리고 있고, 많은 돈을 써서 신문사를 포섭하여 상하이의 고급 관리는 물론 재계와 종교단체까지 잡고 있었기 때문이었는 증언이 있다.<ref name="hoi405"/> 호화스러운 저택과 고급 승용차에 거만한 언동 등 그의 위세는 너무나 당당했다는 증언이 있다.<ref name="hoi405"/>
 
어느 날 이를 보다못한 [[김구]]가 [[정화암]]을 찾아갔다.<ref name="hoi405"/> [[김구]]는 즉석에서 [[정화암]]에게 옥관빈을 죽이자고 제의하였다. 독립운동가들을 모욕한 그 언동만으로도 용서할 수 없다는 것이다.<ref name="hoi405"/> [[정화암]]은 동의하였고, 백범하고 정화암과 [[안공근]] 셋이서 이야기를 했다.<ref name="hoi405"/>
 
[[1933년]] [[7월 22일]]~[[7월 23일]] 경 옥관빈이 [[일본]] 군대를 위하여 약 2만원의 재목을 제공하고 [[일본]] 관헌에게 혁명운동에 관한 밀정행위를 한 사실이 포착되었다.<ref name="inlgun00273">한국민족운동사학회 저, 《1930년대 예술문화운동》 (국학자료원, 2003) 273페이지</ref> 이에 [[오면직]]과 [[엄형순]]은 [[정화암]]과 연락을 취하면서 옥성빈(玉成彬, 옥관빈의 형)의 집 맞은 편 중국인의 집 2층에 수일간 잔복하며 사살할 기회를 엿보았다는 증언이 있다.<ref name="inlgun00273"/>
 
상해삼덕양행(三德洋行)을 운영하며 일본인들과도 교류하기도 했다. 또한 자신이 독립운동가들에게 자금을 댄다는 것을 자랑삼아 떠벌리며 나라도 되니까 너희에게 돈을 주는게 아니겠느냐며 무시하다가 일부 독립운동가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그 뒤 기업을 운영하면서 독립운동가들의 정보를 일제에 발설했으며, [[1933년]] [[상하이]] 프랑스조계에서 근처에 살던 [[흥사단]]원인 다른 독립운동가 이모의 부인과 간통하고 나오던 중, 그를 추척하던 [[엄형순]](嚴亨淳) 등의 총격을 받고 살해되었다.
 
[[정화암]]의 증언에 의하면 그는 정화암의 사촌동생의 뒷집에 살던 다른 [[흥사단]]원 이모의 처와 불륜관계에 있었다는 증언이 있다.<ref name="hoi408">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408페이지</ref>
 
{{인용문2|백범으로부터 자금을 받아 우리는 작전을 세웠지요. 양여주, 다른 이름으로는 [[오면직]], 그리고 [[엄형순]]이 옥관빈 살해의 책임을 맡았지요. 옥관빈의 동정을 살피기 두 달 뒤 우리는 이놈이 제 사촌동생 집 뒷쪽 정자칸방에 사는 [[흥사단]]원 이 아무개의 처와 불륜관계에 있음을 알아냈지요.<ref name="hoi408"/> 이 아무개는 [[한구]](漢口)의 조그만 세발자전거 공장을 열고 있어 집에 없었던 겁니다. [[1933년]] [[8월 1일]] 밤 열두 시가<ref name="hoi408"/> 넘은 깊은 밤, 정을 통하고 나오는 옥관빈을 [[엄형순]]이 그냥 쏘아 죽였지요.<ref name="hoi409">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409페이지</ref> 즉사지요.}}
 
[[8월 1일]] 밤 12시(8월 2일 0시 경) [[엄형순]]의 총격을 받았다. 총소리에 놀란 동네 주민들과 경찰관들이 '강도야! 도적이야!' 소리치며 몰려오자 [[엄형순]]은 '강도가 저 쪽으로 뜁디다'고 말하고는 유유하게 나왔다는 증언이 있다.<ref name="hoi409"/> [[정화암]]은 곧 옥관빈의 죄상이 이러이러해서 [[서간단]]이 죽였노라고 발표하였다.<ref name="hoi409"/>
 
사촌 형 옥성빈 등도 역시 밀정 혐의로 [[남화한인연맹]] 단원에 의해 암살당했다. 불조계 공부국에서 형사로 근무하던 옥관빈의 형 [[옥성빈]]은 독립운동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1933년]] [[12월 18일]] 김해산(金海山, 金文熙)의 집 입구 노상에서 저격했<ref name="inlgun00273"/>던 것이다.
==== 친일인명사전 편찬측의 논의 결과 ====
친일인명사전 "주요전거" 중 정화암의 증언이 포함되었다.<ref>《친일인명사전 3》, 민족문제연구소, 2009, 1035~1037</ref> "전거"는 증거가 아니다. "말이나 문장의 근거가 되는 문헌상의 출처"라는 의미일뿐이다.<ref>{{웹 인용|url=https://ko.dict.naver.com/#/entry/koko/4eec50c061234ce786a17161c04011b2|제목=표준국어대사전|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2020-11-24}}</ref> 국어사전 어디에도 "전거"가 "증거"라는 내용이 없다.
 
159여명의 학자들이 편찬위원을 맡은 친일인명사전 편찬 측은 2001년 7월 20일에 1차 전체회의를 시작으로 2009년 9월 2일까지 8년동안 회의를 하였다.<ref>《친일인명사전 3》, 민족문제연구소, 2009, 1038~1042</ref> 그 결과 옥관빈은 친일인명사전에서 제외되었다.
 
증거가 없음으로 판결났다.
 
== 사후 ==
시신은 철도를 통해 육로로 운구되어 [[신의주]]를 거쳐 그해 [[10월]] [[평양]]에 도착, 중화군에 안장되었다.
 
옥관빈 살해 사건은 그가 [[기독교]]계 실력자이던 관계로 [[상하이]] 한국인 사회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ref name="oklee94">이호룡, 《절대적 자유를 향한 반역의 역사》 (서해문집, 2008) 94페이지</ref> 옥관빈이 동료 [[흥사단]] 단원 이모의 처와 간통한 사실이 상하이 교민사회에 알려지면서 일부 독립운동가나 기독교인사들에 대한 야유와 조소가 가해졌다. 또한 [[안창호]]와 [[조병옥]] 등의 열성적 활동으로 널리 알려졌던 [[흥사단]] 역시 싸구려 친목단체로 격하, 폄하당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상해연맹에서는 [[8월 9일]]<ref name="oklee94"/> 한인제간단의 명의로 '역도 옥관빈의 죄상을 선포한다'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각 방면에 살포하여 옥관빈의 주구적 죄상을 만천하에 폭로하였다.<ref name="inlgun00273"/> 옥관빈의 죄상으로 지목된 것을 6개조 죄목으로 만천하에 폭로했다.<ref name="oklee94"/>[[한인애국단]]과의 합작하에 이루어졌던 이 사건이 한인제간단의 명의로만 발표됨으로써, 이후 [[김구]]측과 상해연맹의 관계가 틀어져 [[1933년]] [[11월]] [[김구]]에 의해 오면직이 소환당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ref name="inlgun00273"/><ref name="oklee94"/>
== 친일파 분류대상 아님으로 결론 ==
=== 대다수학자 ===
옥관빈이 친일밀정인지 정부와 학계에서 진상규명에 나섰고 결론은 증거가 없으며 친일파 분류대상이 아님으로 결론났다.
 
==== 백범일지 ====
백범일지에는 옥관빈 친일파설이나 밀정설이 주장되는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ref name=":44">김구,도진순, 《백범일지》,돌베개,2002</ref>
==== 대한민국 대통령에 의해 설립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
대한민국 대통령에 의해 설립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대통령 소속으로서 위원장 1명, 상임위원 1명, 위원 9명 등 모두 11명으로 구성되었는데<ref name=":45">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9418</ref>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규명결과에서 옥관빈은 예비후보부터 제외되었다.<ref name=":46">《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 ⅱ, 2009;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 ⅲ-1, 2009;《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 ⅲ-2, 2009;《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 ⅲ-3, 2009;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 ⅲ-4, 2009</ref> 친일반민족행위 분류대상이 아님으로 결론났다.
 
==== 역사학계를 중심으로 각 분야의 전문연구자 150여 명의 편찬위원 ====
역사학계를 중심으로 각 분야의 전문연구자 150여 명이 편찬위원으로 참여하고, 180여 명의 집필위원, 문헌자료 담당 연구자 80여 명이 관여하여 총 3천여종의 일제강점기 원사료와 데이터베이스 450여 종 등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인물 정보를 구축한 친일인명사전<ref name=":47">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9420</ref>은 2001년 7월 20일에 1차 전체회의를 시작으로 2009년 9월 2일까지 8년동안 회의를 하였다.<ref name=":48">《친일인명사전 3》, 민족문제연구소, 2009, 1038~1042</ref> 편찬결과물에 옥관빈이 제외되었다.<ref name=":49">《친일인명사전 1》;《친일인명사전 2》;《친일인명사전 3》, 민족문제연구소, 2009</ref> 친일파란 증거가 없으므로 예비후보에도 제외되었다.<ref name=":50">{{웹 인용|url=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889220&PAGE_CD=S0200|제목=친일인명사전 예비명단|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ref> 최종출판물에서 제외된 케이스가 아닌 예비 후보에서부터 제외된 케이스다.
 
옥관빈이 친일밀정이라 주장한 이는 정화암으로 친일인명사전 "주요전거" 중 정화암의 증언이 포함되었다.<ref>《친일인명사전 3》, 민족문제연구소, 2009, 1035~1037</ref> "전거"는 증거가 아니다. "말이나 문장의 근거가 되는 문헌상의 출처"라는 의미일뿐이다.<ref>{{웹 인용|url=https://ko.dict.naver.com/#/entry/koko/4eec50c061234ce786a17161c04011b2|제목=표준국어대사전|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2020-11-24}}</ref> 150여명의 학자들이 편찬위원을 맡은 친일인명사전 편찬 측은 2001년 7월 20일에 1차 전체회의를 시작으로 2009년 9월 2일까지 8년동안 회의를 하였다.<ref>《친일인명사전 3》, 민족문제연구소, 2009, 1038~1042</ref> 그 결과 옥관빈은 친일인명사전에서 제외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의 보고서와 전문연구자 150여명이 참여한 조사와 진상규명결과에 의해 옥관빈 친일파설이나 밀정설은 증거가 없다고 결론이 나왔다.
 
또한 밀정이 아닌 "친일숙청"이 원인이란 가설은 어디에도 확인이 되지않는다. 구글학술검색에 의하면 옥관빈이 논란이 되는 건 밀정여부로만 나오며 밀정이 아닌 "친일숙청"원인설은 확인되지 않는다.<ref>검색결과 2020년 10월 18</ref>
 
옥관빈이 150여 명이 편찬위원으로 참여한 친일인명사전에서 제외된 것을 두고 '증거불충분'이란 용어개념은 적용할 수 없다. '증거불충분'은 오직 법률용어이며 법률 외에는 적용되지 않는 용어개념이다.<ref>{{웹 인용|url=https://ko.dict.naver.com/#/entry/koko/0f8b56629df44c009c39eeb4ecbadf4e|제목=네이버백과사전|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2020년10월24일}}</ref> 그리고 '증거'의 1번의 의미이자 법률 외의 의미는 '증명하는 근거'란 의미이다. "사실을 인정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재료"라는 의미는 오직 법률 용어이다.<ref>{{웹 인용|url=https://ko.dict.naver.com/#/entry/koko/93449b71482c41d885e831275e9a9ee7|제목=표준국어대사전|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2020년10월24일}}</ref> '증거가 없다'고 결론이 난 것이다.
 
친일인명사전에도 명백히 '객관적 증거가 없고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수록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blockquote>사전 수록은 오로지 선정기준에 따를 뿐이며 일부의 형평성을 잃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사전에는 다수의 좌파 인물이나 월북 인사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객관적 증거가 확보되고 기준에 부합한다면 어떤 인물이라도 사전에 등재한다는 것이 편찬위원회의 일관된 방침입니다.<ref>{{웹 인용|url=https://www.minjok.or.kr/archives/63785|제목=좌익이나 북한과 관련된 인사들에게는 관대하다는 비판에 대해서|성=|이름=|날짜=|웹사이트=친일인명사전|출판사=|확인날짜=2020년 12월 3일}}</ref></blockquote>옥관빈이 친일파란 주장하는 전거가 검토됐음에도 옥관빈은 수록되지 않았다. 옥관빈은 객관적 증거가 없고 기준에도 부합되지 않는 인물이다.
 
편찬위원회는 수록되지 않는 인물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blockquote>연구소와 편찬위원회는 이의신청 사유가 다소라도 개연성이 있어 보이면 최선을 다해 확인하고자 했다. 설령 이의신청이 없더라도 <nowiki>'''단 한 명의 부당한 오명을 쓴 사람이 발생하지 않도록 검증을 거듭'''</nowiki>하는 노력을 기울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minjok.or.kr/archives/63801|제목=『친일인명사전』편찬의 쟁점과 의의|성=|이름=|날짜=|웹사이트=친일인명사전|출판사=|확인날짜=2020년 12월 3일}}</ref></blockquote>수록되지 않은 이유를 "단 한 명의 부당한 오명을 쓴 사람이 발생하지 않도록"이 이유라 설명하였다.
 
==== 옥관빈의 조국 중국(중화민국) ====
옥관빈은 조상이 화교출신인 한국계 중국인이다. "옥관빈은 다른 상해의 한인들과 마찬가지로 중국 국적을 취득하였다." "1928년 그는 중국 국민정부로부터 국적 회복을 인정받았다. 그는 그 과정에서 새로이 중국 국적을 얻는다는 ‘입적’이 아니고 원래의 중국 국적을 되찾는다는 의미의 '복적'이라는 방법을 취하였다. 즉 자신은 조부 때 중국 윈난에서 평양으로 이거한 화교라는 것이다."<ref>김광재, 옥관빈의 상해 망명과 활동, 한국근현대사연구 59, 2011, 66</ref> 중국에서는 일본과 친하게 지낸 실업가의 행적을 한간(매국노, 반역자, 무역자)으로 분류하는 규정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중국에서 "그는 불자약창을 설립하여 중약을 근대화한 중국의 애국적인 실업가로서 평가되고 있다."<ref>김광재, 옥관빈의 상해 망명과 활동, 한국근현대사연구 59, 2011, 47</ref> 한국에서는 일본과 친하게 지낸 한국계 중국인 실업가를 친일반역자/부역자로 분류하는 규정이 존재하지 않으며 실제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친일인명사전에서 제외되었다.<blockquote>20. 경제
 
20-1. 일제의 경제침탈정책을 입안 또는 의사 결정을 주도한 자와 이의 수행에 적극 협력한 자
 
20-2. 국책 경제 기관(동양척식주식회사ㆍ식산은행 등)과 경제 단체의 간부
 
20-3. 군수품 제조업체의 책임자
 
20-4. 기고ㆍ광고ㆍ좌담ㆍ강연 등을 통해 일제의 경제침탈을 합리화하고, 전쟁 물자 동원에 적극 협력한 자
 
(친일인명사전의 친일파 분류기준 경제부문)<ref>{{웹 인용|url=https://www.minjok.or.kr/archives/63799|제목=친일파를 분류하기 위해 모두 24개 분야를 설정|성=|이름=|날짜=|웹사이트=친일인명사전|출판사=|확인날짜=2020년 11월 20일}}</ref></blockquote>친일인명사전의 경제부문 친일파 기준을 확인해보아도 한국계 중국인 실업가가 일본과 친하게 지내는 것은 친일파(반역자/부역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옥관빈의 경제활동은 중국에서는 한간이 아닌 "중약을 근대화한 중국의 애국적인 실업가"로 평가받으며 친일인명사전의 친일파 기준에 전혀 해당하지 않는다.
 
==== 사촌형 옥성빈 ====
옥관빈의 암살범을 찾으려는 옥성빈도 암살됐다. 역사학자가 아닌 언론인인 손세일은 옥성빈도 친일파라 주장하였다.<ref>{{웹 인용|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0609100025|제목=蔣介石과 面談하고 洛陽軍官학교에 韓人특별반 설치|성=손세일|이름=|날짜=|웹사이트=조선일보|출판사=|확인날짜=2020년 11월 24일}}</ref> 그러나 백범일지에는 옥성빈 친일파설이나 밀정설이 주장되는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ref name=":44" /> 대한민국 대통령에 의해 설립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대통령 소속으로서 위원장 1명, 상임위원 1명, 위원 9명 등 모두 11명으로 구성되었는데<ref name=":45"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규명결과에서 옥성빈이 예비에서 제외되었다.<ref name=":46" /> 역사학계를 중심으로 각 분야의 전문연구자 150여 명이 편찬위원으로 참여하고, 180여 명의 집필위원, 문헌자료 담당 연구자 80여 명이 관여하여 총 3천여종의 일제강점기 원사료와 데이터베이스 450여 종 등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인물 정보를 구축한 친일인명사전<ref name=":47" />은 2001년 7월 20일에 1차 전체회의를 시작으로 2009년 9월 2일까지 8년동안 회의를 하였다.<ref name=":48" /> 편찬결과물에 옥성빈이 제외되었다.<ref name=":49" /> 친일파란 증거가 없으므로 예비후보에도 제외되었다.<ref name=":50" /> 최종출판물에서 제외된 케이스가 아닌 예비 후보에서부터 제외된 케이스다. 대한민국 정부의 보고서와 전문연구자 150여명이 참여한 조사와 진상규명결과에 의해 옥성빈 친일파설이나 밀정설로 분류되지 않는 인물로 결론이 나왔다.
 
=== 소수견해와 언론인의 견해 ===
소수파의 학자의 견해에 의하면 [[2008년]] [[이호룡]]은 "일제의 밀정 노릇을 한 옥관빈을 사살했다"고 기술하였다.<ref>{{서적 인용|제목=아나키스트들의 민족해방운동|성=이호룡|이름=|날짜=2008년 8월 11일|판=|출판사=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쪽=170|장=}}</ref> [[2011년]] [[국사편찬위원회]] [[김광재]]는 자신의 논문에서 "이러한 시각은 오늘날에도 그대로 이어져 한국에서 옥관빈은 친일파, 변절자, 밀정 등으로 낙인이 찍혀 기피인물이 되었다"고 기술하였다.<ref name=":40" /> [[2018년]] 2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객원연구원 [[윤대원]]은 "[[정화암]]을 비롯한 재중국 무정부주의자들이 이미 옥관빈 등 [[친일파]] 등을 암살한 경험이 있고"라고 기술하였다.<ref name=":39">{{서적 인용|제목=일제의 김구 암살 공작과 밀정|성=윤대원|이름=|날짜=2018년 02월 00일|판=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61집|출판사=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쪽=121|장=}}</ref> [[2019년]] [[2월 12일]] [[한국일보]] 보도에는 "무장항일을 지향했던 맹혈단은 일제 밀정 옥관빈을 사살하고, (후략)"라고 기술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469&aid=0000363781&sid1=001|제목=김구의 지령 받고 이중첩자로 활약한 애국지사 한도원|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일보}}</ref>
 
[[2006년]] [[손세일]]은 "(1933년경)옥관빈은 친일파로 변신해 있었다"고 기술하였다.<ref name=":37" /> 그러나 손세일은 역사학자가 아니라 언론인이다.<ref>[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0609100025]"1935년 釜山 출생. 서울大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졸업 후 美國 인디애나대학 저널리즘 스쿨, 日本 東京大 법학부 대학원에서 修學. 思想界, 新東亞 편집장과 東亞日報 논설위원을 거쳐 1980년 「서울의 봄」 때에 政界에 투신해, 11·14·15代 국회의원을 역임하는 동안 民韓黨 外交安保特委長, 서울시지부장, 民推協 상임운영위원, 民主黨 통일국제위원장, 國會通商産業委員長, 國民會議 정책위 의장, 원내총무, 전당대회 의장, 韓日議員聯盟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ref>
 
=== "친일" 명사의 의미여부 ===
<blockquote>김구 일파의 사주에 의함. 옥관빈은 삼덕양행三德洋行 주인으로서 상당히 축재를 한 자인데 불령선인 등에 대한 자금 등을 제공하지 않고 친일적 태도를 가진 자라 하여 권총으로 사살함.(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8권 한인애국단 Ⅰ, 2008년 11월)<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ij_028_0010_01000|제목=한국사데이터베이스|확인날짜=2020-10-24}}</ref></blockquote>
"김구 일파의 사주에 의"해 옥관빈이 사살됐는데 김구 일파의 주장에 의하면 "옥관빈은 三德洋行 주인으로서 상당히 축재를 한 자인데 불령선인 등에 대한 자금 등을 제공하지 않고 친일적 태도를 가진 자라 하여 권총으로 사살"했다하며<ref name=":332" /> [[1936년]]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은 옥관빈을 친일조선인(親日鮮人)이라고 기술하였다.<ref name=":362">{{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had_196_0380|제목=玉觀彬의 暗殺犯人에 관한 件 1|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사데이터베이스|확인날짜=}}</ref> 그러나 일제강점기에서 양측이 인식한 "친일"이 현대 한국에 통용되는 "친일" 용례와 같은지는 전문가의 견해없이는 알 수가 없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친일"은<blockquote>명사
 
* 1. 일본과 친하게 지냄.
* 2. 일제 강점기에, 일제와 야합하여 그들의 침략ㆍ약탈 정책을 지지ㆍ옹호하여 추종함.<ref>{{웹 인용|url=https://ko.dict.naver.com/#/entry/koko/28e944fae422448d884eb1cc04c87768|제목=표준국어대사전|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2020년10월24}}</ref>
</blockquote>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표준국어사전에 의하면 "친일파"는<blockquote>
* 1. 일본과 친하게 지내는 무리.
* 2. 일제 강점기에, 일제와 야합하여 그들의 침략ㆍ약탈 정책을 지지ㆍ옹호하여 추종한 무리.<ref>{{웹 인용|url=https://ko.dict.naver.com/#/entry/koko/311660d7538e4788896f91e2f59e0c30|제목=표준국어대사전|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2020-10-24}}</ref>
</blockquote>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국어사전에 의하면 본래 친일, 친일파 ≠ 한국에서 통용되는 일반적인 친일, 친일파(2번 의미)는 차이가 있으며 전문가의 분석없이 비전문가의 가설은 위키백과에서 금지하고 있다. 본래 친일(親日)이라는 단어 자체는‘일본과 친하다’라는 중립적인 의미를 지닌다. 현대 한국 내의 '친일'은 본래 의미와 다른 의미이다.<ref>김다혜, 친일파 및 친일 행위 내용에 관한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서술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10~11</ref> 해당 논문의 정의는 표준국어사전과 일치하는 용례이다. 그러므로 '친일'언급만으로는 현대 한국 내 통용되는 친일파라는 의미인지 알 수 없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두가지 의미라 나온다.<blockquote>사전적인 의미에서 따져보면 반민족행위자란 민족을 반역한 자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민족을 하나의 실체로 인정할 경우 민족반역자는 근대 민족이 형성된 이후 반민족행위자는 친일세력 외에도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밖에 없어 매우 넓은 용어라 하겠다. 친일파란 일본에 우호적 이고 일본문화를 찬양하는 자 또는 일제 강점기 민족을 반역한 자라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 박한용(민족문제연구소 상임연구원)
 
- 국사편찬위원회의 <반민특위 특별조사부 조사 기록> 해제<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ntroduction/intro_an.html|제목=반민특위조사기록|성=|이름=|날짜=|웹사이트=국사편찬위원회|출판사=|확인날짜=2020년 12월 4일}}</ref><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download.do?levelId=an&fileName=intro_an.pdf|제목=반민특위조사기록 해제 PDF|성=|이름=|날짜=|웹사이트=국사편찬위원회|출판사=|확인날짜=2020년 12월 4일}}</ref></blockquote>"친일파란 일본에 우호적 이고 일본문화를 찬양하는 자 또는 일제 강점기 민족을 반역한 자라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면서 다른 두가지 의미라고 설명하고 있다.
 
[[친일인명사전]]에서 설명되는 "친일"은 "일제강점기와 그 직후인 해방공간은 물론 최근에 이르기까지 일제에 부역한 자"이다. <blockquote>토의결과 편찬위원회는 일제강점기와 그 직후인 해방공간은 물론 최근에 이르기까지 일제에 부역한 자를 강도 있게 비판할 때 널리 사용되었던 ‘친일파’란 용어를 그 역사성을 고려하여 그대로 수용하기로 하고, 사전 명칭도 원안을 고수하기로 결정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minjok.or.kr/archives/63801|제목=『친일인명사전』편찬의 쟁점과 의의|성=|이름=|날짜=|웹사이트=친일인명사전|출판사=|확인날짜=2020년 12월 4일}}</ref></blockquote>"일반인"의 국어사전 의미는<blockquote>"특별한 지위나 신분을 갖지 아니하는 보통의 사람."<ref>{{웹 인용|url=https://ko.dict.naver.com/#/entry/koko/f68ff92ab0ae437f8f22c30fb4da4ac0|제목=표준국어대사전|성=|이름=|날짜=|웹사이트=네이버|출판사=|확인날짜=2020년 12월 4일}}</ref></blockquote>"김구 일파"와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이니깐 일반인 범주에 해당되지 않는다. 특히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은 해당되지 않는다.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은 애초에 일본인으로서, 친일인명사전에 설명하는 친일은 "일제침략이 노골화한 시기부터 광범위하게 인구에 회자되었던 관행어"인데 일본인은 일제에게 침략당한 당사자가 아니라서 아예 해당되지 않는다. 즉 친일인명사전에서 설명하는 "친일"은 일본인이 인식하는 "친일"이 아니라 피침략된 조선의 일반인이다. 그러므로 일본인은 해당되지 않는다.
 
=== 기타견해 ===
기타로 [[2010년]] 8월 [[한홍구]]는 자신의 논문에서 옥관빈이 독립운동가들을 멸시하여 관계가 좋지 않았고 "독립운동가들과의 관계가 더욱 악화되어 결국 1933년 서간단에 의해 처형되었다"고 기술하며 독립운동가들과의 관계악화를 옥관빈의 처형 이유로 기술하며 친일파나 밀정여부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ref name=":38">{{서적 인용|제목=김두봉: 혁명가가 된 한글학자|성=한홍구|이름=|날짜=2010년 08월 00일|판=한국사 시민강좌 제47집|출판사=일조각|쪽=217-218|장=}}</ref> 한홍구는 옥관빈에 대해 "옥관빈은 처음에는 독립운동에 종사하였지만, 부를 축적한 이후, 친일의 길에 들어섰다"<ref name=":38" /> 고만 서술할 뿐, 학계의 합의에 의하면 "친일"행위 존재 자체는 친일파의 판단 증거가 아니며 "반복성과 중복성·지속성 여부도 주된 참고사항"이며 "친일단체 참여 등 협력행위가 일회적이라면 참작해야 할 필요가 있"다.<ref>{{웹 인용|url=https://www.minjok.or.kr/archives/63801|제목=『친일인명사전』편찬의 쟁점과 의의|성=|이름=|날짜=|웹사이트=친일인명사전|출판사=|확인날짜=2020년 11월 20일}}</ref> 그러므로 단순히 "친일"행위 언급만으로 친일파로 규정되지 않는데 한홍구의 논문에선 옥관빈을 "밀정" "밀고"나 "친일파"로 기술하는 내용은 없다.
 
== 평가 ==
[[정화암]]은 그를 '그는 원래 청년 독립운동가였는데, 어느 새 매국노가 되어 거부(巨富)가 되었습니다.<ref>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399페이지</ref>'라고 평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학교수이기도 한 [[이순탁]]은 [[1933년]]초 세계일주 당시 상해에서 당시 '40여개국 사람들이 모여서' 번성하는데, 조선인들이 여기 그중에 끼지못해 눈물겹다면서 상해교통대학에서 체육부주임으로 있던 신국권과 함께 옥관빈 두명의 성실성을 자랑하기도 했다. [[이순탁]]은 귀국후 이들의 성공을 기원하며 동포들의 노력을 촉구하기도 했다.
 
== 참고같이 보기 ==
{{Col-begin}}
{{Col-2}}
줄 355 ⟶ 196:
== 각주 ==
{{각주}}
*
 
== 관련 서적 ==
*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소명출판, 2008)
* 김구, 《백범일지》 (배경식 역, 너머북스, 2008)
* 유영익, 《이승만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224페이지
*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분류:생년 미상]]
[[분류:1933년 죽음]]
 
[[분류:대한민국 임시 정부 사람]]
[[분류:대한제국의 언론인]]
[[분류: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
[[분류:한국의 기독교운동가]]
 
[[분류:의령 옥씨]]
 
[[분류:한국의 암살된 사람]]
[[분류:화기에 죽은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