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 (군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5번째 줄:
== 진급 ==
다른 계급과는 달리 대장은 진급하기 위한 조건이 매우 까다로우며 진급 난이도도 매우 높다. [[소위]]로 임관하면 중장까지 [[소대장]]이나 그와 상응하는 지휘보직을 모두 이수해야 하며 [[소대장]], [[중대장]], [[대위]]급 참모, [[소령]]급 참모, [[대대장]], [[중령]]급 참모, [[연대장]], [[사단 (군사)|사단]] [[참모장]], 사단장<ref>병과가 [[기갑]]일 경우 기계화보병사단장 보직 임무를 반드시 수행해야만 한다. 현재로서는 [[박찬주 (1958년)|박찬주]]가 유일한 기갑 대장이다.</ref>, [[군단]] [[참모장]], 군단장을 모두 거쳐야 대장에 진급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이 성립된다. 또한 병과가 [[보병]]일 경우에 한해서 [[특전사]]에서 복무한 경력이 있어야 한다. 그런 고로 [[소위]] 및 [[중위]] 시절 [[특전사]] 부중대장을 지냈으면 소대장 경력이 없기 때문에 대장으로 진급하지 못하며 그 때문에 대장으로 진급한 장성들의 이력을 보면 주로 지휘 보직이 적은 [[소령]] 계급 시절에 특전사에서 복무한다.
 
이 계급은 특수성이 매우 높아서 [[대통령]]의 의견이 매우 크게 반영된다. 그 때문에 대장까지 진급했다면 뛰어난 능력과 더불어 해당 정권의 대통령에게 인정받은 것이다.
 
== 혜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