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행정 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0번째 줄:
[[관찰사]]는 종2품으로 그 직무는 관하 각지를 순찰하며 수령의 행적과 민간의 실정 등을 관찰함에 있었으므로 본래 일정한 거처 없이 단신으로 순력(巡歷)하였고 따라서 관찰사의 직(職)은 반드시 순찰사(巡察使)를 겸하게 되어 있었다. 관찰사의 지방행정을 보좌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되는 관원으로 [[경력]](經歷)·[[도사]](都事)·[[판관]](判官)·[[중군]](中軍)·[[검률]](檢律) 등이 있었다.
 
[[부윤]](府尹)은 종2품의 지방관으로서 관찰사와 동격이었으며, 관찰사 소재지의 부윤은 대개 관찰사가 겸하기도 하였다. 부는 평안도 평양·의주, 함경도 영흥->함흥, 경상도 경주, 전라도 전주의 총 5개 지역에 설치되었다. 조선의 수도 한성부(漢城府) 또한 행정구역상으론 부였지만 이를 담당한 건 부윤이 아닌 판윤(判尹)으로 관찰사보다 상급인 정2품직이었으며정2품이었으며 지방직이라 여기지 않아 외관이 아닌 경관이 임명되었다. 수도권의 요충지에 설치되었던 유수부(留守府) 또한 행정구역상으론 부였으나 부윤이 아닌 유수가 장관이었고 판윤과 마찬가지로 경관이 임명되었다. 유수는 종2품에서 정2품으로 보임되었고 유수부는 경기도 개성·강화·광주·수원·춘천의 5개 처가 있았다.
 
[[목사]](牧使)는 부윤에 다음가는 지방관으로서 정3품이었고 군읍(郡邑)의 이름이 주(州)로 된 곳 약 20개 처의 구획명이 목이었는데 그 장관을 바로 목사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