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Xakyntos(토론)의 28758939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Coreanhistory(토론)의 28802930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2번째 줄:
{{한국사}}
 
'''백제'''(百濟), '''십제'''(十濟), '''남부여'''(南扶余)는 [[대한민국한국]]의 고대국가 중 하나로, [[신라]], [[고구려]]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다. 시조는 [[부여]]·고구려에서 피난한 온조 부족으로[[온조왕]]으로 전해지며, [[마한]] 54개 연맹체 중 하나인 십제국으로 시작해 6세기 초 [[근초고왕성왕 (백제)|성왕]] 때 [[마한]]을 통일했다정복했다.<ref>{{저널 인용|저자=임영진|제목=전라도 마한의 사회 성격과 백제; 전라도 마한의 사회 성격과 백제|url=https[http://www.kciyasinmoon.go.krcom/kciportalnews/mSearchSereArtiViewarticleView.kcihtml?sereArticleSearchBean.insiIdidxno=INS000011418&sereArticleSearchBean.sereId=SER000003883&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71601|총서=백제학보|권=11|날짜=2014년30997 3월}}{{깨진백제 링크|url=https://www.kci.go.kr/kciportal/mSearch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insiId=INS000011418&sereArticleSearchBean.sereId=SER000003883&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71601성왕 때 마한과 통합이 }}이루어졌다] 영암신문 [[2019년]] [[1월 18일]]</ref>
 
== 개요 ==
108번째 줄:
《[[진서|진서(晉書)]]》에 따르면, 백제가 전성기였던 4세기에 근초고왕은 [[동진]]에 사신을 보내서 조공하였다<ref>[[:s:zh:晉書/卷009|晉書/卷009]], 簡文皇帝...咸安...二年春正月辛醜,百濟、林邑王各遣使貢方物。... 六月,遣使拜百濟王餘句爲鎭東將軍,領樂浪太守。</ref> [[동진]]과 동맹을 맺어, [[고구려]]에 투쟁하려고 하는 백제의 사대주의적 외교는 침류왕 대에도 계속되었다. 침류왕 원년 7월에도 백제는 동진에 조공하였다. 게다가 음력 9월에 [[동진]]에서 호승(胡僧) [[마라난타]]가 오자, 궁중에 머물게 하고 하늘처럼 대접하였다. 470년, [[송 (남조)|송 왕조]] 시기에도 사신을 보냈으며, 472년에는 [[북위 (북조)|북위]]에 처음으로 사신을 보냈다. 그리고 무령왕과 성왕은 [[양 (남조)|양나라]]에 여러 차례 조공을 보내는 대가로 양나라 귀족 칭호를 하사받았다.
 
==== 대륙백제 제국설요서경략설 ====
백제가 중국의 [[랴오시|랴오시 지방]]을 점령하고 진평군과 진평현에 통치기관을 설치하고 4세기부터 6세기 초 혹은 중엽까지 대략 200년간 드넓은 중국 대륙을 지배했다는 가설이다.<ref>출처: 환단사강좌 - 1. 고대편, 이기백. 이기동</ref> 이러한 상상은근거는 《[[송서]]》, 《[[양서]]》 등의 남조계 사서에 기록된 백제의 요서 지방 점령 기록에서 비롯되었다. 다만기록이나 지리적으로 랴오시 지방과 인접한 북조계 사서에서는 관련 기록이 나타나지 않아 학계에서 논란이 많다된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하는 《국사》교과서에는 1990년 이전까지 백제가 요서를 정복했다고 서술하고 있었으나 1990년 이후부터는 진출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애매모호하게 표현했다.
 
일반적으로 역사학계에서는 백제의 요서진출을 부정하는 것이 정설이며,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상업적·군사적인 일시적 진출로 본다.<ref>유원재, 〈"백제 략유(略有)요서" 기사의 분석〉, 《백제사의 이해》, 학연문화사, 1991</ref> 한편으로 [[환단고기]] 등의 [[의사 역사학]]을 주장하는 재야사학자들은 백제의 대륙 진출이 사실이라고 주장하며 그 강역에 대해서도 랴오시 지방뿐 아니라 산둥 반도 등 중국 곳곳으로 과장되게 비정하나 역사학계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하는 《국사》교과서에는 1990년 이전까지 백제가 요서를 정복했다고 서술하고 있었으나 1990년 이후부터는 진출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일부러 애매모호하게 표현했다.
 
대륙요서 정복진출 시기에 대한 문제도 논란의 대상이 된다. 《송서》, 《양서》 등의 기록에 따르면 대륙 정복 시기는 [[진 (위진남북조)|진]](晉) 말기로, 고구려가 요동을 점령한 이후라고 한다. 고구려가 요동을 명백하게 점령한 시기는 [[광개토왕]] 때(391년~413년)의 일로 이 시기의 백제는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크게 패하여 58개 성을 빼앗기는 등 중국을 다스릴 여력이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고구려가 385년 일시적으로 요동을 점유하였을 때 백제의 요서 진출이 있었을 것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ref name=autogenerated1> 한편 요서 경략 시기에 대해 [[신채호]]는 근구수왕 때, [[정인보]]는 살해당한 책계왕·분서왕 때, 김상기·김철준은 근초고왕 때로 보는 등 매우 다양한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ref>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백제의 요서진출을 부정하는 것이 정설이다.<ref>유원재, 〈"백제 략유(略有)요서" 기사의 분석〉, 《백제사의 이해》, 학연문화사, 1991</ref> 하지만 최근 들어서 [[환단고기]] 등을 지지하는 일부 민족주의 사학자에 의해 백제의 대륙 진출을 실재한 것으로 바라보는 입장이 다시 제기되었다. [[대륙사관]]을 주창하는 사람들은 대륙백제의 위치를 한반도 서남부가 아닌 [[황하]]와 [[장강]] 사이에 비정하면서, 대륙백제의 중국 통치가 사실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삼국사기]], [[남제서]] 등에는 490년에 위나라(북위) 기병이기병의 백제를 점령했으나공격을 다시백제가 막아낸 기록이 남아 있어 이를 근거로 일각에서는 이 시기까지도 대륙백제가백제가 요서지방이나 기타 해외에 드넓은 영토를 통치하고 있었음을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 기록의 위나라를 고구려의 오기로 보아 인정하지 않는 편이며, 같은 기록에 백제 측의 전공으로 '선박을 쳐부순 것(拔臺舫)'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위나라가 실제로 함대를 보내 대륙백제를백제를 침공해 왔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는 등 논란이 매우 많다.<ref>이문영, 《만들어진 한국사》, 파란미디어, 2010, 237쪽</ref>
대륙 정복 시기에 대한 문제도 논란의 대상이 된다. 《송서》, 《양서》 등의 기록에 따르면 대륙 정복 시기는 [[진 (위진남북조)|진]](晉) 말기로, 고구려가 요동을 점령한 이후라고 한다. 고구려가 요동을 명백하게 점령한 시기는 [[광개토왕]] 때(391년~413년)의 일로 이 시기의 백제는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크게 패하여 58개 성을 빼앗기는 등 중국을 다스릴 여력이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고구려가 385년 일시적으로 요동을 점유하였을 때 백제의 요서 진출이 있었을 것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ref name=autogenerated1> 한편 요서 경략 시기에 대해 [[신채호]]는 근구수왕 때, [[정인보]]는 살해당한 책계왕·분서왕 때, 김상기·김철준은 근초고왕 때로 보는 등 매우 다양한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ref>
 
또한 [[삼국사기]], [[남제서]] 등에는 490년에 위나라(북위)의 기병이 백제를 점령했으나 다시 막아낸 기록이 남아 있어 이를 근거로 일각에서는 이 시기까지도 대륙백제가 요서지방이나 기타 해외에 드넓은 영토를 통치하고 있었음을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 기록의 위나라를 고구려의 오기로 보아 인정하지 않는 편이며, 같은 기록에 백제 측의 전공으로 '선박을 쳐부순 것(拔臺舫)'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위나라가 실제로 함대를 보내 대륙백제를 침공해 왔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는 등 논란이 매우 많다.<ref>이문영, 《만들어진 한국사》, 파란미디어, 2010, 237쪽</ref>
 
=== 왜국과의 관계 ===
줄 128 ⟶ 126:
 
[[파일:Sumida Hatiman Mirror.JPG|섬네일|200px|[[스다하치만 동경]]]]
현존하는 [[스다하치만 신사 인물화상경|인물화상경]](5~6세기)은 [[백제 무령왕]](재위 501년~523년)이 [[게이타이 천황]](재위 507년 ~ 531년)에게 선물로 보낸 거울인데, 이것은 백제와 [[왜]]의 친밀한 사이를 증명한다. 무령왕은 [[513년]] 오경박사 단양이(段楊爾)<ref>{{서적 인용 |제목= [[일본서기]] | 저자= |연도= 720 |장= [[:s:zh:日本書紀/卷第十七|卷第十七 繼體天皇]] |인용문=七年夏六月 ... 貢五經博士段楊爾。}}</ref> 와 [[516년]] [[고안무]](高安茂)<ref>{{서적 인용 |제목= [[일본서기]] | 저자= |연도= 720 |장= [[:s:zh:日本書紀/巻第十七|巻第十七 継体天皇]] |인용문=十年夏五月 ... 別貢五経博士漢高安茂、}}</ref> 를 왜국에 보내어 백제의 [[문화]]를 왜국에 전해주기도 하였다. 무령왕의 왕위를 계승한 [[성왕 (백제)|성왕]](재위 523 ~ 554년)도 일본과의 우호관계를 이어갔다. 성왕 때, 백제는 일본에 불교를 전파했다(538년).<ref>{{서적 인용 |저자= 이은직 |기타= 정홍준 역 |제목= 조선명인전 |연도= 2005 |출판사= 일빛|ISBN=89-5645-088-9|쪽= 28 |인용문= 백제는... 538년에는 불교를 전파했다.}}</ref> 성왕은 [[긴메이 천황]](재위 539년 ~ 571년)에게 사신과 함께 불상 및 불경을 보냈다. 이때 백제에서 건너온 물품 속에는 불교의 교리는 탁월하나 난해하고, 그것을 믿으면 무한한 복이 있을 것이라는 편지도 있었다.<ref>{{서적 인용 |제목= 세계 종교사 입문 | 저자=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도= 2003 |출판사=청년사 |쪽= 229 |ISBN=89-7278-376-5 |인용문= 일본에 불교가 도입된 것은 538년 C.E(일설에는 552년 C.E.)이다. 당시의 일본 왕 긴메이(欽明) 천황이 백제의 성왕(聖王 또는 聖明王)이 사신과 함께 보내온 불상 및 불경을 받은 것이 그 시초였다. 이때 백제에서 건너온 물품 속에는 불교의 교리는 탁월하나 난해하고, 그것을 믿으면 무한한 복이 있을 것이라는 편지도 있었다고 한다.}}</ref> 불교의 수용을 둘러싸고 왜국 조정은 큰 소용돌이에 빠졌다. 긴메이 천황과 [[소가노 마치]]의 후손이자 호족인 [[소가노 이나메]](蘇我稻目)는 불교를 수용하려 했으나 또다른 호족 모노노베노 오코시(物部尾輿)와 나카토미노 가마소(中臣鎌子)가 이에 반대하였으므로, [[긴메이 천황]]은 둘 사이에서 시달리게 되었다.<ref>{{서적 인용 |저자=[[이덕일]] |제목=우리 역사의 수수께끼3 |연도= 2004 |출판사=김영사 |위치=|ISBN=89-349-1654-0 |쪽= 74 |인용문 = 백제에서 전해 준 불교는 그 수용을 둘러싸고 왜국 조정에 큰 소용돌이를 몰고 온다. 긴메이천황과 호족 소가노 이나메(蘇我稻目)는 수용하려 했으나 또다른 호족 모노노베노 오코시(物部尾輿)와 나카토미노 가마소(中臣鎌子)가 반대했다. }}</ref><ref>{{서적 인용 |저자=[[홍윤기 (1957년)|홍윤기]] |제목=일본 천황은 한국인이다 |연도= 2000 |출판사=효형출판 |위치=|ISBN=89-86361-32-9 |쪽= 92 |인용문 = 그 당시(538년) 최고대신 소가노 이나메(소가노 우마코 대신의 아버지)는 성왕이 보내준 금동석가상을 자신의 저택에 모셔다 놓고, 자택을 코우겐지〔向原寺 〕로 삼았다. 이 무렵 국신파였던 모노노베노 오코시 〔物部尾輿, 모노노베노 모리야의 아버지〕대련(大連)이 조정에서 불교를 배척하기 시작했다. 백제인 킨메이 천황은 본국에서 성왕이 불교 신앙을 권유했기 때문에 몹시 곤혹스러워졌다. 즉 불교 신앙에 열성적인 최고대신 소가노 이나메와 국신파인 제2위의 장관 모노노베노 오코시의 양 파 사이에 끼여 적잖게 시달리게 되었다.}}</ref> 그리고, 백제는 석가불금동상 1구, 번개(幡蓋) 약간, 경론(經論) 약간권을 딸려서 달솔 [[노리사치계]](怒唎思致契) 등을 일본에 파견(552년)하였다.<ref>{{서적 인용 |제목= [[일본서기]] | 저자= |연도= 720 |장= [[:s:zh:日本書紀/巻第十九|巻第十九 欽明天皇]] |인용문=十三年...冬十月、百済聖明王、更名聖王。遣西部姬氏達率怒唎斯致契等、献釈迦仏金銅像一軀・幡蓋若干・経論若干巻。 (13년(552년) 겨울 10월, 백제의 성명왕(혹은 성왕이라고도 한다)이, 서부달솔 희씨 노리사치계를 보내 석가불금동상 1구와 깃발 약간, 경전 여러 권을 보냈다. }}</ref> 이 번개는 그 장엄함이 기록되지 않았으나 《[[일본서기]]》에 기록될 정도이므로 보통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ref>{{서적 인용 | 저자 = 고유섭 |제목= 구수한 큰맛 |출판사=다할미디어 |연도=2005 |쪽=160 |ISBN=89-89988-24-1 |인용문 = 원래 백제의 공예는 고도로 발달되었나니, 성왕 3년에 일본에 전한 번개(幡蓋)는 그 장엄함이 기록되지 않았으나, 일본 정사에 특히 그 기록이 실려 있는 것만 보더라도 보통이 아니었음을 알겠고, ...}}</ref> 552년에는 사원 건설을 위해, 많은 학자와 기술자를 비롯하여 의사나 음악가까지 파견하였다.<ref>{{서적 인용 |저자= 이은직 |기타= 정홍준 역 |제목= 조선명인전 |연도= 2005 |출판사= 일빛|ISBN=89-5645-088-9|쪽= 28 |인용문= 552년에는 사원 건설을 위해, 많은 학자와 기술자를 비롯해 의사나 음악가까지 파견하였다. }}</ref> 이렇게 성왕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하도록 하였으며 성왕은 또한 의박사{{.cw}}역박사 등의 전문가와 기술자를 교대로 파견하여 왜국에 선진문물을 전파하는 데 기여하였다.
 
[[파일:Prince Shotoku.jpg|섬네일|200px|백제로부터 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쇼토쿠 태자]]와 동생(왼쪽: 에구리 황자)과 장남(오른쪽: 야마시로 황손),8세기 목판 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