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공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4번째 줄:
 
=== 베트남 공화국 ===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10월]]에 남베트남에 수립된 나라로, 초대 대통령은 [[응오딘지엠]]이었다. 응오딘지엠은 베트남 공화국에 대해 프랑스로부터 독립된 나라라는 것을 대외적으로 알리려 하였으나, 대부분의 고위 관료 및 군대 중추는 프랑스 치하에서 프랑스를 위해 복무했던 자였기 때문에 정통성 문제에서 이북의 베트남 민주공화국에 밀렸다. 이는 태생적 한계로 작용하였다. 심지어 국체(國體) 전반이 과거 프랑스의 괴뢰국이었던 베트남국의 제도를 그대로 이어받은 상태였다는 점에서도 문제점이 지적됐다.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10월]]에 남베트남에 수립된 나라로, 초대 대통령은 [[응오딘지엠]]이었다. [[1975년]] [[4월 30일]]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에 의해 붕괴될 때까지 존속했다. 베트남 국민들의 주 종교인 불교를 탄압하여 불교도와의 관계도 매우 좋지 않았고 국가 내부의 부정부패도 심했으며 국민들의 불만은 계속 커져갔다. 때문에 지리적으로 유리한 부분도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남베트남의 모든 기관들이 부정부패로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여 혼란에 빠진 사회에 북베트남의 간첩들이 침투하기 아주 쉬웠다. 북베트남의 간첩들은 모두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 정부의 부당함을 선동하여 남베트남 사회를 극심한 혼란에 빠트리는데 성공한다. 당시 남베트남의 사회는 극도로 혼란한 상황이 였으며 군부 쿠데타도 자주 발생하였고 국가의 정통성도 제대로 지키지 못했다.
 
1956년 응오딘지엠은 토지 개혁을 실시했으나, 이는 토지 몰수가 아닌, 소작료 제한책에 그치는 개혁이었기 때문에 지방 농민의 삶을 나아지지 않았다. 심지어, 이러한 소작료 인하는 오히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시기 월맹 게릴라 조직이 남부 일부 지역에서 실시했던 소작료 인하보다도 훨씬 높은 수준의 소작료를 강제하는 것이었기에 오히려 농민의 삶은 이전보다 후퇴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결과로 소작 쟁의가 끊이질 않았으나, 베트남 남부 지역에서 활동했던 공산주의 조직은 이를 파악하여 소작농과 빈민을 규합하였고, 그 결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이 성립되었다.
 
응오딘지엠의 정책에 미숙성을 이미 알고 있던 미국은 행정 고문관을 보내 농촌 통제 정책을 실시하였으나, 이는 오히려 베트남 공화국에 대한 농민의 반감을 더욱 불러일으켰다. 게다가 응오딘지엠 정권의 심각한 부패는 국민 단합을 불가능하게 하는 원인으로 되었다.
 
결국 1963년에 군부 실세이자 군사 최고 고문이었던 즈엉반민이 쿠데타를 감행하였고, 응오딘지엠은 살해되었다. 그러나, 권좌를 잡은 즈엉반민도 다른 군부에 의해 쿠데타로 물러나게 되었으며, 이후 연이은 쿠데타로 정상적인 국정 운영을 할 수 없게 되었다.
 
== 정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