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비히 판 베토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67번째 줄:
베토벤은 그의 작품에 대한 빈의 수용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그는 1822년에 방문한 독일의 [[음악 평론|음악평론가]] 요한 프리드리히 로흘리츠(Johann Friedrich Rochlitz, 1769–1842)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여기서 나의 음악을 듣지 못할 것입니다 ... ''피델리오''? 그들은 그것을 줄 수 없으며 듣고 싶어하지도 않습니다. 교향곡? 그들에게는 시간이 없습니다. 내 협주곡? 누구나 자신이 만든 재료만을 갈고 갑니다. 독주곡? 그것들은 오래 전에 유행에서 벗어났고 여기의 유행이 모든 것입니다. 기껏해야 슈판치히는 가끔 사중주를 파헤칩니다."{{sfn|Thayer|1967b|p=801}}
 
따라서 그는 베를린에서 미사곡과 [[교향곡 9번 (베토벤)|교향곡 9번]]을 초연하는 것에 대해 문의했다. 그의 [[빈]] 추종자들이 이것을 알게 되었을 때, 그들은 그에게 지역 공연을 준비해달라고 간청했다. 베토벤이 승리했고 교향곡은 1824년 5월 7일에 ''장엄미사'' 섹션과 함께 처음으로 연주되어 캐른트너토르테아트르에서 큰 찬사를 받았다.{{sfn|Kerman|Tyson|Burnham|2001|loc=§ 9}}{{refn|The first full performance of the ''Missa Solemnis'' had already been given in St. Petersburg by Galitzin, who had been a subscriber for the manuscript 'preview' that Beethoven had arranged.{{sfn|Kerman|Tyson|Burnham|2001|loc=§10}}|group=n}} 베토벤은 공연의 비트 타임 동안 지휘자 마이클미카엘 움라우프(Michael Umlauf, 1781–1842) 옆에 서 있었다. 움라우프는 베토벤이 [[청각 장애|청각장애인]]인 것을 배려한 콘트랄토 가수 캐롤라인카롤리네 웅거(Caroline Unger, 1803–1877)와 오케스트라에게 그를 무시하라고 경고했지만, 그의 귀먹음청각장애 때문에 그가 그것을베토벤이 목격하기 전 까지전까지 뒤따른 박수 조차박수조차 알지 못했다.{{sfn|Solomon|1998|p=351}} 웅거의 도움으로 객석을 향해 뒤돌아서게 된 베토벤은 그제서야 관객들이 떠들썩하게 박수를 치고 있는 것을공명함을 눈으로 확인, 관객들의 환대에 눈물을 흘렸다.<ref name=":0">{{저널 인용|제목=Some Tributes to Beethoven in English Verse|저널=The Musical Times|성=White|이름=Felix|연도=1927|권=Vol. 68|번호=No. 1010|발행월=1 April}}</ref> ''Allgemeine musikalische Zeitung'' ("일반음악신문")은 "지치지 않는 천재가 우리에게 새로운 세상을 보여줬다"고 표현했고, [[카를 체르니]]는 교향곡에 대해 "너무 신선하고 활기차며 정말 젊은 정신을 들이마셨다 ... 그는 때때로 확실히 낡은 가발이 머리를 흔들도록 이끌었지만, 이 독창적인 사람의 머리에서는 언제나처럼 많은 힘과 혁신, 그리고 아름다움이 뿜어져 나왔다"고 기록했다. 공연은 설치하는 데 드는 비용이 매우 많이 들었기 때문에 베토벤에게 많은 돈을 벌어들이게 하지는 못했다.{{sfn|Cooper|2008|p=317}} 5월 24일에 프로듀서가 그에게 최소한의 수수료를 보장한 두 번째 공연은 참석률이 낮았다. 조카 카를은 "많은 사람들이 이미 자기 나라로 입국했다"고 언급했다. 이것은 베토벤의 마지막 공개 공연이었다.{{sfn|Cooper|2008|p=318}} 베토벤은 쉰들러가 부정 행위를 하거나 티켓 영수증을 잘못 관리했다고 여겼고, 이로 인해 두 사람의 관계가 서먹해 졌다. 1826년에 두 사람은 화해를 했음에도, 결국 베토벤의 비서는 쉰들러에서 카를 홀츠(슈판치히 사중주단의 두 번째 바이올린 연주자)로 교체되었다.{{sfn|Cooper|1996|p=310}}
 
베토벤은 건강이 나빠졌음에도 불구하고 갈리친을 위해 현악 사중주를 쓰기 시작했다. 이것들 중 첫 번째의 [[현악 사중주 12번 (베토벤)|사중주 12번 E♭ 장조, 작품번호 127]]은 1825년 3월에 슈판치히 사중주단에 의해 초연되었다. 1825년 4월, [[현악 사중주 13번 (베토벤)|사중주 A 단조 15번, 작품번호 132]]를 쓰다가 갑작스런 병에 걸렸다. [[바덴]]에서 회복하면서 그는 "건강을 회복한 자가 신에게 감사하는 신성한 노래, 리디안 선법을 따름"이라고 불리는 느린 악장을 착수하게 되었다.{{sfn|Kerman|Tyson|Burnham|2001|loc=§10}} 다음으로 완성된 것은 [[현악 사중주 13번 (베토벤)|사중주]] 13번 [[현악 사중주 13번 (베토벤)|B♭ 장조, 작품번호 130]]이었다. 6악장에서 마지막 대위법의 악장은 1826년 3월의 초연에서 연주자와 관객 모두에게 매우 어려운 것으로 증명되었다. 베토벤은 출판사 아르타리아에 의해 추가 요금을 받으며 새로운 피날레를 쓰고 마지막 악장을 별도의 작품(대푸가, 작품번호 133)으로 발행하도록 설득되었다.{{sfn|Thayer|1967b|pp=974–975}} 베토벤이 가장 좋아하는 작품은 이 시리즈의 마지막 편인 [[현악 사중주 14번 (베토벤)|사중주 14번 C♯ 단조, 작품번호 131]]이며 베토벤은 이것을 가장 완벽한 단일 작품으로 평가했다.{{sfn|Morris|2010|p=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