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례명: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세례명'''(洗禮名, Christian name, baptismal name)은 [[기독교]](그리스도교)에서 [[세례]]를 받고 기독교인을 기념하며 부여받는 기독교 관련 이름을이름으로 부여받는다성경의 인물이나 기독교회 역사 인물의 이름이다. '기독교식 이름'이란 의미로 영어로 '크리스찬 네임'(Christian name)이라고도 한다. [[서방교회]]나 [[동방교회]]에서 기독교인이 되었음을 기념하며 주는 이름이다이름으로 대체로 유아세례 시에 주거나 기독교로 개종하면 준다. 전통적인 기독교 문화 지역인 서방교회 지역과 동방교회 지역에서는 태어난 아기에게 유아세례를 주며 가족과 부모가 지은 이름과 함께 세례명을 정한다. [[기독교]]가 [[아시아]]로 전래되며 유아세례가 아니라 성장 한 이후에 기독교로 개종하는 이들이 세례명을 선택하거나 추천을 받기도 한다.
 
== 기독교 교파별 이해 ==
 
=== 보편교회 ===
4세기에 [[기독교]]로 개종하는 이들이 세례를 받은 이후 부모과 준 이름과 기독교인으로서 이름을 새롭게 부여받기 시작하면서 세례명이 등장하였다. 세례 의식 중에 사제가 세례자의 이름을 부르는 관습이 생기면서, 교회는 세례자에게 성인의 이름을 부여하는 것을 장려하였다. 13세기 이래로 보편화되어 교회법에서도 이를 명하고 있다. 세례 때 새로운 이름을 받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이름의 변화가 그 사람의 변화를 말해 주던 성서적 사실에 그 근거를 찾아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구약성경]] 인물인 아브람이 [[아브라함]](창세 17:5)으로, [[신약성경]]에서 예수의 제자인 시몬이 [[베드로]](마태 16:l8)로, 사울이 [[바울로]]로 바뀌었다. 또한 성서에 개인의 이름이 가지는 영적인 중요성이 여러 곳에서 강조되며 개인의 이름이 그 사람에게 부여된 소명과도 연결되어 있었다.
 
기독교가 점차 보편적인 종교가 되면서 태어날 때부터 [[유아세례]]를 받는 기독교 문화가 형성되면서 [[유럽]] 지역은 [[기독교]] 문화권이 되었고, 가족 이름인 [[성씨]]와 부모가 준 이름과 세례명의 세 가지 이름을 갖는 형태가 일반적인 유럽인의 이름으로 정착하면서 세례명은 유럽문화가 되었다. [[유아세례]]를 받으며 부모 이외에도 신앙을 지켜줄 두번째 부모인 [[대부]]와 [[대모]] 제도가 형성되었고, 친척이나 오랜 친구 중에서 대부나 대모가 되었다. 남자 아이일 경우에는 대부를 여자 아이일 경우에는 대모를 선정하여 세례명을 함께 정하거나 세례시에 함께 하고, 아이가 성장하는 내내 두번째 부모의 역할을 하였다.
15번째 줄:
 
=== 서방교회 ===
서유럽 지역의 서방교회는[[서방교회]]는 유럽 문화권을 유지하며, 성씨와 부모가 준 이름, 세례명을 활용하여 이름을 짓는 문화를 형성하였다<ref>국가마다 성명의 순서가 다르다. 게르만 계열과 프랑스, 이탈리아는 이름과 세례명, 성씨 순서이며,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이름과 성씨, 세례명 순서이다.</ref>. 지금까지도 유럽의 대부분 국가는 이를 바탕으로 이름을 정하며, 기독교인이 아닌 경우에는 세례명을 다른 이름으로 짓기도 한다.
 
====천주교====
26번째 줄:
[[개신교]]는 [[유럽]]과 [[미주]] 지역 또는 [[유럽]] 문화를 수용한 지역에서는 서방교회 전통의 이름 형태인 성씨와 부모가 준 이름, 세례명을 활용한다. [[공교회주의]]를 따르는 [[개신교]] 교단에서는 대부모와 세례명을 중요한 세례예식으로 여기며, [[유아세례]]에서 가족과 함께 대부모의 참석을 권한다. 유아세례를 인정하는 [[개혁주의]] 교회에서도 이와 유사하다. [[유아세례]]를 거부하는 교단들에서는 유럽의 이름형태를 따르나 대부모 제도를 활용하지 않는다. 유아세례를 인정하는 교단으로는 [[루터교회]]와 [[성공회교회]], [[감리교회]] 등은 대부모와 세례명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개혁교회]]와 [[장로교회]] 등도 선택 가능하다. 세례 방식 중 침수례를 강조하는 교단인 [[침례교회]]와 [[순복음교회]] 등은 하지 않는다.
 
[[대한민국]]의 경우, '토착화 신학' 사상으로 기존 성명에 기독교식 이름을 추가하는 세례명 제도가 사라졌다. 현재 대한민국의 개신교회는 성씨와 세레명만을 사용하거나 한국식 성명만을 사용한다. 19세기 선교 초기에 [[공교회주의]] 교단인 [[감리교회]]에서는 세례명을 주었으나, 역사 문화적 배경으로 한국식 이름를 강조하며 추가적인 세례명은 사라졌다. [[감리교회]]에서 세례를 받은 한국 최초 여성 의사인 [[김점동]](박에스더)은 에스더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개신교회]]는 [[성씨]]와 부모가 준 [[이름]]에 세례명을 붙이는 [[유럽]]식 작명 제도를 불필요한 제도로 인식하기 시작했고, 한국식 이름이 세례명으로 부족하지 않다고 여겼다. 점차 서양식의[[서양]]식의 세 가지 이름을 만들기 위해 한국식 이름에 세례명을 추가하지 않게 되었다. [[기독교]]로 개종한 이후 세례명으로 개명을 하곤 하였지만, 세례명을 첨가하는 제도는 점차 사라졌다. 현재 대한민국의 개신교회에서는 유아세례에서 아이의 이름을 [[성경]] 인물 이름이나 기독교적인[[기독교]]적인 세레명을 정하여 성씨와 함께 공식적인 성명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학국식한국식 성씨와 이름 구조의 성명 제도를 따르며 성성명성명 이외에 세례명을 추가적으로 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개종한 이가 세례명을 요구한다면 정할 수 있는 교단도 있다. 교단 차이는 있지만, 대부모 제도는 남아서 세례 받은 이의 신앙을 지켜줄 후견인을 정하는 제도가 있는 교단도 있다.
 
예외적으로 대한민국 [[성공회]]에서는 세례명 제도를 유지한다. 세례명을 [[신명 (기독교)|신명]]이라고 한다. 2004년 개정된 [[성공회 기도서|성공회기도서]]에 따르면 성공회에선 [[종교 개혁|종교개혁]]이전 성공회가 존중하던 [[성인 (종교)|성인]]들과 [[존 웨슬리|요한 웨슬레]](증거자), [[디트리히 본회퍼]]([[루터교|루터교회]] [[목사]], [[순교자]], 2018년 기준으로 4월), [[마틴 루터 킹 주니어|마틴 루터 킹]]([[침례교|침례교회]] 목사, 미국의 인권운동가[[인권]]운동가, 2018년 기준으로 4월 5일)처럼 기독교 역사에서 의미를 남긴 분들을 [[교회력]]으로써 기억하는데, 성공회 신자들의 신명도 성공회의 전통에 따라 [[사도 파울로스|바우로]](사도), [[베드로]](사도), 마르코(복음사가), 요아킴(예수의 외할아버지), 마리아(예수의 어머니), 마르코(복음사가), 세실리아(순교자), 아가타(순교자)등이다. [[성공회 신문]]에서는 [[사제]], 신자를 소개할 때에 이름옆에 신명을 붙여쓴다.
 
==대한민국의 세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