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직칼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기존 문서에 성직칼라(로만칼라)가 개신교에서 유래하였다는 잘못된 사실과 정보를 담고 있기에 수정하였음. 영문 위키피디아의 오류를 그대로 차용하고 있었으나, 전문적인 학술 연구 내용에 따라 상당 부분을 수정함.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3번째 줄:
[[파일:CappelloRomano.JPG|섬네일| 수단 로만칼라 복장에 성직칼라를 한 [[천주교회]] 성직자]]
 
'''성직칼라'''({{llang|en|clerical collar|클레리컬 칼라}})는 로만칼라의 다른 말로서, 기존의 한국어 위키백과 문서에는 개신교 목사의 복장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잘못 서술되어 있었다. 이는 영문 위키백과에서 나타나는 오류섞인 내용을 그대로 차용한 것이다. 바로크 시대 상류층 남성의 격식있는 복장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칼라"는 검고 긴 옷("수단")과 더불어 이미 16세기부터 로마 가톨릭 교회의 성직자들의 복장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등장한다.<ref name=":0">{{저널 인용|제목=The Clerical Clothing of 17th Century|저널=Theological Perspective|성=An|이름=Pong Hwan|url=http://dx.doi.org/10.22504/tp.2017.06.197.71|날짜=2017-06-30|권=197|쪽=71-106|doi=10.22504/tp.2017.06.197.71|issn=1229-0297}}</ref> 이것이 (기존 위키피디아에서 일부 옳게 서술한 바와 같이) 일부 개신교회 목사들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현대적인 셔츠 복장으로 '개량'됨으로써 오늘날 우리가 볼 수 있는 "클러지망 셔츠"(clergyman shirt)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가톨릭 성직자들은 20세기 중반까지 수단에 로만 칼라를 착용하였는데, 오늘날에는 수단과 더불어 클러지망 셔츠도 성직자 복장으로 인정되기에 어느 쪽에든 로만 칼라를 함으로써 본인의 성직자 신분을 드러낸다. 이에 비해 개신교의 성직자 복장은 교파마다, 나라마다 사뭇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성공회의 경우, 전례와 복장 등에 있어서 자신이 갈라져나왔던 가톨릭 교회의 전통을 많이 따르고 있기에, 수단과 클러지망 셔츠, 로만칼라 혹은 성직칼라의 착용이 일상화되어 있다. 반면에 한국 개신교의 목사들은 일부 루터파 교역자를 제외하면, 대체로 클러지망 셔츠를 입거나 성직칼라를 착용하지 않는 편이었으나, 최근에는 마치 유행처럼 이러한 '성직자 복장'을 선호하고 있다. 그리스도교의 또다른 갈래인 정교회에서는 가톨릭의 수단과 흡사한 성직자 복장을 입지만, 서방교회와 같은 뚜렷한 성직칼라의 형태가 드러나지는 않는 편이다.
'''성직칼라'''({{llang|en|clerical collar|클레리컬 칼라}})는 [[기독교]] 성직자의 평상복장으로, [[개신교회]] [[성직자]]인 [[목사]]의 복장에서 유래한 목을 두르는 옷깃(칼라)인 목 장식의 한 종류이다. '''로만 칼라''' 또는 '''클러지 칼라''', '''목회자 칼라'''라고도 부르는 옷깃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원형은 흰 목띠 형태로 깃이 없는 셔츠에 부착하는 [[개신교회]] 성직자인 목사의 복장이다. 개신교에서 시작된 성직칼라는 개신교회와 같은 서방교회인 [[천주교회]]에서도 수용하였다. 천주교회에서 [[수단 (기독교)|수단]] 등의 전통적인 복장의 칼라만을 로만칼라라고 하나, 근래에 와서 성직칼라를 했을 때도 로만칼라로 혼용한다. 북미와 서유럽의 [[정교회]]에서도 성직칼라를 점차 착용하기 시작하였다.
 
== 유래와 의미 ==
 
=== 유래 ===
"우르바노 8세는 1624년 11월 26일 성직자들을 위한 법령에서 법조계 사람들, 대학 교수들과 의사들, 왕자들과 그 법률 대리들과 같이 박사(doctor)라는 칭호를 받은 일반인들의 복장과 사제의 복장을 구별하고 성직자 개혁을 지시하였다. ... 따라서 일반인과 외적 으로 구별하기 위하여 성직자에게는 비단옷을 멀리하고 검은색의 발목까지 내려오는 단정하고 정숙한 긴 겉옷을 입도록 하였다."<ref name=":0" /> 특별히 목의 칼라와 관련하여 본다면, "이탈리아어로 콜라리노(collarino)라고 부르는 로마 교회 성직자들이 착용하는 로만 칼라(Roman collar)는 라틴어 콜라레(collare)에서 유래한다. 로만 칼라가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는지 분명하게 단언할 수 없지만, 16세기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제4차 밀라노 교회회의(1574)와 리미니 교회회의(1557), 프랑스의 캉브레(Cambrai, 1586), 이탈리아의 피아첸자(Piacenza, 1589)와 아퀼레이아(Aquileia, 1596) 교회회의, 17세기에 이탈리아의 아우구스타(Augusta, 1610)와 피렌체(Firenze, 1619), 프랑스의 랭스(Reims, 1650) 교회회의에서 이미 목 칼라에 대해 다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목 칼라의 본래적인 기능은 땀으로부터 성직자 복장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위생 및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목 주위를 유연하게 감싸줄 수 있는 단순하고 조 금 폭이 넓은 흰색 천을 사용하라고 성직자들에게 권하였다. 그런 이유로 성직자에게는 목 칼라나 소맷부리를 자수와 화려한 레이스로 장식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17세기에 이르러 우르바노 8세는 1624년 11월 18일의 법령에서 성직자에게는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는 고유한 표지로서 목 칼라를 사용하도록 하는 동시에 일반인에게 는 그런 목 칼라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였고, 그에 따른 처벌도 강화하였다. ... 이런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목 칼라의 일차적인 목적이 위생 및 청결이라는 기능에 있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른 일반인과 성직자를 구별하기 위한 표식으로 점차 변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ref name=":0" />
성직칼라는 [[개신교회]] 성직자인 [[목사]]가 기존의 세운 흰 옷깃 셔츠 복장을 흰색 목띠 형식으로 만든 것에서 유래한다. 이는 [[18세기]] 경부터 명예와 지위를 상징하는 넥타이와 같은 장식을 거부하고 셔츠에 흰 깃(칼라)만을 부착해 입기 시작했던 [[개신교회]] 성직자, [[목사]]들의 예배 및 평상 복장을 바탕으로 [[개신교]]인 스코틀랜드 국교회([[장로교]]) 글래스고우 지역 교회의 성직자, 도널드 맥러드(Donald McLeod) 목사가 셔츠에 착용이 쉽게 흰 목띠 형태의 옷깃(칼라)로 발전시켜 처음으로 고안해낸 것이다.<ref>Glasgow Herald, 1894.12.6</ref><ref>1909년 글래스고 도날드 맥러드 목사에 관한 기사, http://gdl.cdlr.strath.ac.uk/eyrwho/eyrwho1230.htm 글래스고 디지털 도서관 에서 온라인 재발행됨</ref><ref>The Times, 2002.3.14.</ref> 19세기 후반 이후 발전된 성직칼라를 [[개신교회]] 전반에서 착용하여 다른 [[서방 기독교]] 교파인 [[천주교회]] 등에서도 널리 퍼지게 되었다. 특히 천주교회는 성직칼라를 전통복장에 착용하기 위하여 복장을 개선해서, 수단 안감과 깃 등에 단추와 고리 등을 추가하였다.
 
성직칼라 착용 초기에는 무명이나 아마포로 만들었으나 요즘은 개선된 셔츠에 작은 흰색 플라스틱 띠를 부착 가능하게 만들기도 한다.
 
개신교회에서 18세기에 시작되어, 19세기 중반 [[영국]] 내 [[개신교회]]인 스코틀랜드 국교회([[장로교]])에서 형태를 갖춘 셔츠에 착용하는 목 장식 복장이 [[개신교회]]뿐만 아니라 [[천주교회]]와 [[정교회]]에서도 착용하는 전세계 기독교계의 복장으로 발전하였다.
 
=== 의미 ===
앞서 소개한 로만칼라의 유래에서 알 수 있듯이, 로만칼라 혹은 성직칼라는 "검은 옷"(수단)과 더불어 그리스도교 유럽 사회에서 일반인과 성직자를 구별하고, 특별히 가톨릭 성직자들이 청결하면서도 단정하고 정숙한 복장을 갖춤으로써 화려함과 허세를 피하고 성직의 품위를 드러내게끔 하기 위한 일종의 문화적 표징이라 할 수 있겠다. 일부 가톨릭 신자들은 로만칼라가 가톨릭 성직자의 독신과 순명을 드러내는 표지라고 말하는데, 수단 혹은 그 현대적 형태인 클러지망 셔츠와 로만칼라가 성직의 품위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아주 틀린 이야기는 아니지만, 본래의 "로만칼라"는 독신이나 순명이라는 가치보다는 일차적으로 성직자의 신분을 단정하고도 무난하게 드러내기 위한 장치라 하겠다.
성직칼라 복장의 의미가 [[개신교회]]의 세운 칼라에 사회적 신분을 상징<ref>조선시대에는 모자를 신분 표시에 활용했던 것처럼 유럽에서는 근대까지 목 장식을 관료나 사회 계급의 신분 표시에 사용했다. 넥타이 또한 군복에서 유래하여 상류층과 중상층 지식인 이상이 하던 목 장식이었다. 지금도 유럽의 판사들은 법정에서 대부분 네모 앞깃 형태의 목 장식을 착용한다.</ref>하는 넥타이와 같은 목장식이 생략된 복식형태에서 유래하여 세상의 명예와 지위를 거부한 성직자의 청빈과 평등의 의미를 지닌 성직자 복장이다. [[천주교회]]에서는 [[개신교]]의 이 의미를 수용하고, 기존 성직자 복장을 바탕으로 착용하여서 성직의 구별과 독신 성직 의미를 강조하는 복장이 되었다.
 
== 교파별 착용 ==
 
이전의 위키피디아 문서에서 "개신교회에서 시작된 칼라가 다른 종파에도 퍼져나갔다"고 서술하였지만, 이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부족한 지식과 오해에서 기인한 주장이라 하겠다. 아래 개신교회에 대한 내용도 몇몇 오류가 발견되지만, 독자들의 판단에 맡기고, 천주교회의 내용만 간략하게 수정하며 마무리하겠다.
[[개신교회]]에서 착용을 시작한 이후 기독교의 각 교파에 널리 퍼졌다. [[기독교]] 영향을 받은 대부분 국가의 교회에서는 성직칼라를 교파와 관련 없이 기독교 [[성직자]]들이 착용한다. 특히 [[서방교회]] 지역인 [[서유럽]]과 [[북유럽]] 지역에서는 개신교, 천주교 구분 없이 기독교 모든 종파의 성직자들이 착용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bbc.com/news/uk-northern-ireland-politics-48271973|title=Stormont talks: Church leaders urge 'courageous leadership' |출판사= 《BBC》|날짜=2019년 5월 14일|확인날짜=2019년 6월 10일}} - 영국 주요 기독교 교단 지도자들이 정부에게 공동 촉구를 하는 장면 사진으로 영국의 성공회교회, 장로교회, 감리교회, 천주교회 성직자들이 모두 성직칼라를 착용하고 단상에 있음.</ref>. 영어권에서도 [[개신교회]] 대부분과 [[천주교회]], [[정교회]]에서도 착용하며, [[북미]]와 [[중미]], [[남미]] 지역의 기독교계에서 성직자들이 착용하며, 개신교와 천주교만이 아니라 정교회에서도 부분적으로 착용한다. 이 지역 개신교 [[기독교 근본주의|근본주의]] 영향을 받은 교단 일부만 착용을 꺼리는 편이다.
 
국교가 있는 [[서유럽]] 국가 중에서 [[영국]]의 기독교 교단들 대표가 공식석상에 모일 때, 모두 성직칼라 셔츠를 착용하며, [[잉글랜드]] 국교인 [[성공회]]는 자주색, [[스코틀랜드]] 국교인 [[장로교회]]는 흰색, [[감리교회]]는 하늘색, [[천주교회]]는 검은색 성직칼라 셔츠를 관례적으로 착용하여 교단 대표를 구분한다. 공식석상에서만 관례적으로 적용될 뿐이며, 행사 성격에 따라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교회별 활동이나 예배 등 성직자의 평상 활동시에는 셔츠 색상을 구분하지 않는다. 기독교가 왕실 종교나 국교 또는 국가 세금과 연관된 유럽 국가들에서도 성직자들의 일상복과 공식석상 복장에 기존 복장만이 아니라 성직칼라셔츠를 교파 구분없이 착용한다.
 
===개신교회===
줄 30 ⟶ 24:
 
[[대한민국]]의 경우 신학적으로 개신교 [[공교회주의]](보편교회주의) 영향의 교단들이 주로 착용하며, [[개혁주의]] 영향의 교단들은 비교적 착용이 적은 편이다. '[[공교회주의]]' 영향의 교단 중에서 [[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교]]는 공식적으로 착용하며 [[감독 (기독교)|감독]] [[목사]]는 자주색의 성직셔츠에 성직칼라를, [[목사]]는 자주색을 제외한 검은색, 청색, 회색, 흰색 등의 성직셔츠에 성직칼라를 착용하여 입는다<ref>기독교대한감리회 신앙과직제위원회.《새예배서》.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2006). 684.</ref>. [[기독교한국루터회|루터교]] 목사와 [[대한성공회|성공회]] 사제는 항시 착용한다. [[성결교회]]에서도 부분적으로 착용하며, [[구세군]]교회는 군복형태의 독자적 복장이 있으므로 착용하지 않는다. '[[개혁주의]]' 영향의 교단 중에서 [[장로교]]는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 교단과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통합]] 교단의 경우 부분적으로 착용하나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합동]] 교단을 비롯한 기타 교단의 경우 기피하는 편이고, [[기독교한국침례회|침례교]]에서는 거부하는 입장을 보인다.
 
대체로 한국에서 1990년대 후반까지는 대부분의 개신교 목사들이 특별한 '성직자 복장'을 입지 않았다.<ref>{{웹 인용|url=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199812260012955696?t=20210327121310|제목=목사도 제복 입는다/한국기독교총연합회 3종 4색 확정|날짜=1998-12-26|언어=ko-KR|확인날짜=2021-03-27}}</ref>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점점 많은 개신교 목사들이 클러지망 셔츠에 로만칼라(성직칼라)를 착용하고 있는데, 다른 한편으로 이는 개신교 안에서도 비판의 대상이 되곤 한다.<ref>{{웹 인용|url=http://www.dangd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578|제목=보라색 감독예복에 문제가 많다 - 당당뉴스|언어=ko|확인날짜=2021-03-27}}</ref>
 
===천주교회===
 
현재 수단/클러지망 셔츠와 로만칼라는 가톨릭 성직자(주교, 신부, 부제)의 공식적인 복장이다. 성직자뿐만 아니라 신학생들도 수단과 클러지망 셔츠를 입고 로만칼라를 착용할 수 있다. 기존의 위키피디아 내용에서 몇몇 보수적인 성직자들이 클러지망 셔츠 착용을 거부했다고 하면서, 그 이유가 성직칼라는 개신교회의 복장이었기 때문이라고 소개하고 있지만, 애초에 수단과 클러지망 셔츠, 로만칼라(성직칼라)의 개념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한 서술이라 하겠다.
성직칼라를 수용한 이후에 20세기 중반까지도 [[수단 (기독교)|수단]]처럼 의무적 착용이 아니었으나, 1960년대가 지나면서 천주교 사제의 기본 복장으로 변화했다.
 
천주교회에서 성직칼라를 수용했으나 20세기 중반까지도 의무적인 기본 복장이 아니어서 착용여부를 사제 본인이 선택했다. 1940년대까지도 흰색의 성직칼라는 사제의 의무적인 기본 복장이 아니었다. 선택적으로 착용했고, 미사 집전시에 흰색 성직칼라 없이 검은색 수단만을 착용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www.newliturgicalmovement.org/2014/10/an-ef-education-resource-catholic-paper.html?m=1#.X0eFxotS_IU | title=An EF Education Resource: Catholic Paper Dolls from 1943 | 출판사= 《New Liturgical Movement》|날짜=2014년 10월 22일|확인날짜=2020년 8월 15일}} - 1943년 미국 천주교에서 활용했던 전례 학습 교재용 그림 인형, 성직칼라 없는 검은색 수단만을 입은 사제와 관련 물품의 그림</ref>. 현재는 성직자 일상복으로 전통적인 [[수단 (기독교)|수단]]과 1960년대에 도입한 셔츠형태의 복장까지 있는 기본 복장이 되었다. 전통복장인 [[수단 (기독교)|수단]]에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반에 흰색의 성직칼라를 수용하여, 수단 복장에 기능을 추가해서 성직칼라를 부착하여 착용하였다.
 
현재는 모든 품급의 성직자, 요컨대 [[주교]], [[사제]], [[부제 (기독교)|부제]](일반적으로 잠정적 부제가 착용하지만, 이따금 종신부제도 착용함)가 성직칼라를 착용한다. [[로마 교구]] 같은 경우, 종종 [[사제직]]에 입후보한 신학교 학생들도 착용하는 것을 허락해 왔다. 그리고 전례를 집전하는 동안에는 대학생과 대학원생 수준의 신학생들도 수단과 함께 성직칼라를 착용하는 것이 허용된다.
 
천주교 사제는 20세까지도 수염을 길렀으므로 목 장식이 아니라 옆으로 접히는 칼라의 장식을 하곤 했다. 단지 예외적으로 학교와 공직에 근무할 때만 공무원을 상징하는 네모 앞깃 형태의 목 장식을 했다. 20세기가 되면서 면도가 일반화하며 착용하기 시작한 성직칼라 도입 초기에는 성직칼라를 [[수단 (기독교)|수단]]과 기존 사제 복식에만 착용하였고, 1965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부터 [[수단 (기독교)|수단]]만이 아니라 셔츠형태에 성직칼라를 붙여 착용하게 되었다.
 
====성직칼라 셔츠 착용 결정과 거부운동====
 
현재의 셔츠형태의 성직칼라는 1965년 이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기존의 복장에 추가적으로 셔츠 형태인 성직칼라셔츠 착용 결정을 내림에 따라 시행되었다. 이후 셔츠형태 성직칼라 셔츠를 전통 복장인 수단을 대신해 일상복으로 착용하기 시작했다. 이에 [[천주교]] 내부에서도 특히 [[서유럽]] 지역에서 [[수단 (기독교)|수단]]이 아닌 셔츠에 성직칼라를 착용한다는 사실에 셔츠형태의 성직칼라인 [[개신교회]] 복장을 따라 한다는 이유로 보수적 입장의 사제들과 주교들이 집단적으로 착용을 거부하고 반대하기도 하였다<ref>1960년대 말과 70년대 초에는 반대입장이 거셌다. 이런 상황은 동시대 이탈리아의 만화가이자 소설가였던 과레스키의 소설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의 이야기 중에도 반영되었다. 주인공 사제 돈 까밀로가 성직칼라셔츠 착용을 거부하고, 새롭게 제정한 전례를 반대하며 기존 전례를 집전할 건물을 매입하는 내용이 있다.</ref>.
 
====대한민국의 천주교회====
 
최소한 한국사회에서는 오랫동안 수단이나 클러지망 셔츠, 그리고 로만칼라가 가톨릭 성직자의 고유한 복장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런데 1998년 12월 22일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 클러지망 셔츠와 칼라를 개신교 성직자복 예복으로 특허청에 등록 출원하였고, 이에 대해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가 이의를 신청하였다. 특허청은 개신교 측에서 '출원한 특허'를 가톨릭교회의 전통 성직자복장과 동일한 것으로 최종 판단하여 2000년 4월 14일 의장등록 취소 결정을 내렸다.<ref>{{웹 인용|url=http://m.cpbc.co.kr/paper/view.php?cid=168111|제목=로만칼라 형태 개신교 성직자복, 특허청서 의장등록 취소 최종 결정|언어=ko|확인날짜=2021-03-27}}</ref> <ref>{{뉴스 인용|제목=2000. 5. 13 한국성결신문 제279호}}</ref>
[[대한민국]]의 경우 성직칼라셔츠는 1960년대 후반부터 일부에서 착용을 시작하여 1970년대에 착용하였다. [[수단 (기독교)|수단]]을 입던 관례에 따라, 성직칼라의 명칭이 사제 복장, [[수단 (기독교)|수단]]에 달린 세운 칼라만을 의미하는 로만칼라와 혼용이 되어서 성직칼라와 로만칼라를 동일한 것으로 여기나, 수단을 착용할 때 바깥 부분인 수단의 솟은 옷깃인 '로만칼라'와 안쪽 부분의 넣어 목에 두르는 흰색 띠를 '성직칼라'로 구분하여 부르고 착용한다. 따라서 겉옷인 수단이 아닌 일상복, 안쪽 속옷인 성직셔츠의 흰색 네모가 보이는 깃의 정확한 명칭도 '성직칼라'이다.
 
===동방정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