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Falsenote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Falsenote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37번째 줄:
|동거인 =
|자녀 = 정학초(丁學樵)
|부모 = [[정재원 (1730년)|정재원]](丁載遠)(부)<br />윤소온(尹小溫, [[윤두서]]의 손녀)(모)
|가족 = [[정약현]] (형)<br />[[정약종]](동생)<br />[[정약용]](동생)
|상훈 =
57번째 줄:
1783년([[조선 정조|정조]] 7년) [[사마시]](소과)에 합격했다.
 
1784년 [[베이징]]에서 세례를 받고 온 [[이승훈 (1756년)|이승훈]]의 주도로 [[김범우]]의 집에 세운 조선 최초의 천주교회에서 동생 [[정약종|약종]]과 [[정약용|약용]], [[이벽]] 등과 함께 주일 [[미사]]와 [[설교|강론]] 등 천주교 종교 활동을 했고, [[가성직제도]] 하에서 사제직까지 수행하면서 초기 천주교 전파의 핵심적 역할을 했다. 이 시기에 동생들은 세례를[[세례]]를 받았지만, 정약전은 베이징에 가서 받을 생각으로 받지 않았다.<ref>{{뉴스 인용 |제목=[신앙의 명가를 찾아서] 정하상 바오로 성인의 후손들 |url=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201635 |날짜=1997-03-23 |확인날짜=2012-04-12 |뉴스=가톨릭신문 |호=2045호}}</ref> 이 활동은 1785년 3월, [[형조]](刑曹)에 적발되었지만, 김범우 이외의 참석자는교인은 처벌을 받지 않았다. ([[을사 추조 적발 사건|을사추조적발사건]])
 
1790년(정조 14년) [[증광시|증광별시]]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부정자(副正字)와 병조좌랑(정6품)을 지냈다. 1798년(정조 22년), 정조의 명으로 [[경상도]] 출신 인물들을 평한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편찬에 참여했다.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에 연루되어 [[전라도]] [[신지도]]에 유배되었다가, 조카사위인 [[황사영]]의 [[황사영 백서|백서 사건]]으로 다시 [[흑산도]]로 이배되었다. 유배 생활을 하며 서당을 지어 섬 아이들을 가르쳤고, 흑산도 연해에 서식하는 어류를 직접 관찰하고 연구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생물학 전문서인전문서《[[자산어보]]》, 조선 조정의 소나무 정책을 비판하는비판한 《송정사의》, 흑산도 [[홍어]] 상인 [[문순득]]의 표류기인 《표해시말》 등을 썼다남겼다.<ref>{{웹 인용 |제목=자산어보[玆山魚譜]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생물학 전문 서적 |url=http://contents.history.go.kr/front/kc/main.do?levelId=kc_r300780 |웹사이트=우리역사넷 |출판사=국사편찬위원회 |확인날짜=2021-04-12}}</ref>
 
1816년(순조 16년), 유배 16년 만에 내흑산 우이도(牛耳島)에서 59세을59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 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