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angjinhwa/작업실2: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8번째 줄:
흔치 않은 "삼진 포인트"는 미국 [[야구]](보통 [[투수]]만을 위함)의 수비 통계로 이닝의 분수 부분을 나타낸다. 공격 팀은 3번의 [[아웃 (야구)|아웃]]이 허용되므로 각 아웃은 방어 이닝의 3분의 1로 간주되고 '''.1'''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한 야구 선수가 4회, 5회, 6회를 모두 투구하여 7회에 2아웃을 달성한다면 해당 선수의 투구 이닝은 {{분수|3|2|3}}(일부 경기 기록관들이 대체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에 해당하는 '''3.2'''로 표기될 것이다. 이 사용법에서는 숫자의 부분만 내부 형식으로 작성된다.<ref>{{웹 인용|url=https://www.blessyouboys.com/2019/1/9/18172095/baseball-stats-for-beginners-earned-run-average-field-independent-pitching-explained|제목=A complete beginner’s guide to baseball stats: Pitching statistics, and what they mean|저자=Ashley MacLennan|날짜=2019년 1월 9일|웹사이트=Bless You Boys|확인날짜=2020년 7월 30일}}</ref><ref>{{웹 인용|url=https://www.mlb.com/stats/team/pitching/innings-pitched?split=rp|제목=Stats - Team - Pitching|웹사이트=MLB (Major League Baseball)|확인날짜=2020년 7월 30일}}</ref>
 
삼진법 수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나 [[칸토어 집합]]과 같은 자기 유사 구조를 편리하게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3번째 표현은 칸토어 집합이 구성되는 방식 때문에 칸토어 집합과 관련 점 집합을 정의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칸토어 집합은 숫자 1의 어떤 인스턴스도 포함하지 않는 3차 식을 가진 0부터 1까지의 점들로 구성된다.<ref>{{저널 name인용|이름="Soltanifar_2006_1"Mohsen|성=Soltanifar|제목=On A sequence of cantor Fractals|저널=Rose Hulman Undergraduate Mathematics Journal|권=7|호=1|id=Paper 9|날짜=2006년}}</ref><ref>{{저널 name인용|성="Soltanifar_2006_2"Mohsen|이름=Soltanifar|제목=A Different Description of A Family of Middle–α Cantor Sets|저널=American Journal of Undergraduate Research|권=5|호=2|쪽=9–12|날짜=2006년}}</ref> 삼진 시스템의 모든 종단 팽창은 마지막 0이 아닌 항 이전의 항과 동일하고 그 다음에는 1번째 표현의 마지막 0이 아닌 항보다 작은 항, 그 다음에는 2개의 무한 꼬리가 있는 식과 같다. 예를 들어 0.1020은 0.1012222...와 같다. 1번째 식 "2"까지 확장이 동일하기 때문에 2번째 확장에서는 2개가 감소했고 2번째 식에서는 후행 0이 후행 2로 대체되었다.
 
삼진법은 가장 낮은 밑 경제(Radix economy)를 가진 정수의 밑이며 [[이진법]]과 [[사진법]]이 근접하게 뒤따른다. 이는 [[자연로그의 밑]](''e'')에 근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효율성 때문에 일부 컴퓨팅 시스템에 활용되어 왔다. 또한 모든 분기에 간단한 경로를 허용하는 전화 메뉴 시스템과 같은 3가지 옵션 "트리"(Trees)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
 
이중 이진수 표시와 [[부호화된 숫자 표현]] 방식 가운데 하나인 중복 이진 표현(Redundant binary representation)는 낮은 수준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서 때때로 정수의 빠른 추가를 달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왜냐하면 캐리어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ref>{{저널 name인용|성1="Phatak_1994"Phatak|이름1=D. S.|성2=Koren|이름2=I.|제목=Hybrid signed–digit number systems: a unified framework for redundant number representations with bounded carry propagation chains|저널=IEEE Transactions on Computers|날짜=1994년|권=43|호=8|쪽=880–891|doi=10.1109/12.295850|url=http://www.cs.umbc.edu/~phatak/publications/hsdtrc.pdf|citeseerx=10.1.1.352.6407}}</ref>
 
=== 이진 코드 삼진법 ===
2진법 컴퓨터를 활용한 3진법 컴퓨터 시뮬레이션, 또는 3진법 컴퓨터와 2진법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에는 각 삼진수를 인코딩하는 데에 2비트가 사용되는 이진화 삼진법(Binary-coded ternary, BCT) 숫자의 사용이 포함될 수 있다.<ref>{{저널 name인용|성1="Frieder_1975"Frieder|이름1=Gideon|성2=Luk|이름2=Clement|제목=Algorithms for Binary Coded Balanced and Ordinary Ternary Operations|저널=IEEE Transactions on Computers|날짜=1975년 2월|권=C-24|호=2|쪽=212–215|doi=10.1109/T-C.1975.224188}}</ref><ref>{{저널 name인용|성1="Parhami_2013"Behrooz|이름1=Parhami|이름2=McKeown|성2=Michael|제목=Arithmetic with Binary-Encoded Balanced Ternary Numbers|저널=Proceedings 2013 Asilomar Conference on Signals, Systems and Computers|날짜=2013년 11월 3일|위치=Pacific Grove, CA, USA|쪽=1130–1133|doi=10.1109/ACSSC.2013.6810470|isbn=978-1-4799-2390-8}}</ref> BCT 인코딩은 [[이진화 십진법]](​Binary-coded decimal, BCD) 인코딩과 유사하다. 삼진법 값 0, 1, 2가 각각 00, 01, 10으로 인코딩된 경우에는 이진화 삼진법과 이진법 사이의 어느 방향으로든 변환은 로그 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ref>{{웹 name인용|성="Jones_2016_1"Jones|이름=Douglas W.|url=http://www.cs.uiowa.edu/~jones/ternary/bct.shtml|제목=Binary Coded Ternary and its Inverse|날짜=2016년 6월}}</ref> BCT 연산을 지원하는 [[C (프로그래밍 언어)|C 코드]]의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다.<ref>{{웹 name인용|성="Jones_2016_2"Jones|이름=Douglas W.|url=http://www.cs.uiowa.edu/~jones/ternary/libtern.shtml|제목=Ternary Data Types for C Programmers|날짜=2015년 12월 29일}}</ref>
 
=== 트라이트 ===
[[세툰]](Setun)과 같은 일부 [[3진법 컴퓨터]]는 "트라이트"(Tryte)를 6트리트<ref>{{서적 name인용|url="Impagliazzo_2006"https://books.google.com/books?id=-jSqCAAAQBAJ|제목=Perspectives on Soviet and Russian Computing: First IFIP WG 9.7 Conference, SoRuCom 2006, Petrozavodsk, Russia, July 3—7, 2006, Revised Selected Papers|성1=Impagliazzo|이름1=John|성2=Proydakov|이름2=Eduard|날짜=2011년 9월 6일|출판사=Springer|isbn=978-3-64222816-2}}</ref> 또는 약 9.5[[비트 (단위)|비트]]("사실상"의 [[이진법|이진]] [[바이트]]보다 더 많은 정보를 보유함)로 정의했다.<ref>{{웹 name인용|성1="Brousentsov_2010"Brousentsov|이름1=N. P.|성2=Maslov|이름2=S. P.|성3=Ramil Alvarez|이름3=J.|성4=Zhogolev|이름4=E. A.|제목=Development of ternary computers at Moscow State University|url=http://www.computer-museum.ru/english/setun.htm|확인날짜=2010년 1월 20일}}</ref>
 
== 각주 ==